View : 9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근-
dc.contributor.author배원희-
dc.creator배원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2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21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ption on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which had been applied to all secondary schools starting 2014 and analyze how it is practiced among the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applied through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and it focused to reveal change occurring from applying the new system into practi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isplayed positive view about the change: from an intense school atmosphere sensitive to rank order to an environment without hierarchy which enabled a shift in perception in evaluating students from teachers' point of view to of students'. Level adjustments, allowing English textbooks to be more accessible, thus raising up self-confidence to engage in passionate learning, is one of the positive effects that can be expected from this very system. But at the same time, it also can cause confusion for students for not being able to figure out the relative position within the class. Furthermore, a slow progression of transforming achievement standards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customized standards at each school’s disposal was found as a common characteristic amongst secondary schools. Although there was a positive aspect to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s having been introduced in 2014, providing a sense of unity centering the English education, however some teachers think that an essential part of teaching is to put pressure. The introduction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in secondary school has brought a change in teachers’ focus on whether the students are reaching standards in the evaluation domain or not. Teachers gave a try in implementing standard-based assessment based on an aspect considering educational, intrinsic values despite the difficulties of implementing such complex procedures. They felt strong accountability for evaluation result as it was related to student's performance based on a grading scale of A to 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high ratio of students with grade E as an indication that students' achievement standards aren't very high. Thus a distortion in the system, away from its original goal, was noticed among teachers that they were rather being focused on reducing the number of Es in the class than to score students under strict grading policy. Therefore, an easy practice followed by generous evaluation caused a concern that the evaluation may be standardized upward regardless of the student's actual performance. As a result, the class focused on reaching achievement standards brought by the change of teaching practice which enabled students to learn from carefully selected and important materials versus from a comprehensive progress-oriented teaching style from the past. While such teaching practice had provided the students opportunities to learn fundamental and important basic contents, limitations were also realized for delivering advanced contents. An additional discussion should be made to address how should a school accommodate honor students' profound and extensive need for comprehensive English education. The implications for English education field suggest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al changes are required to be able to get agreements and supports from many teachers in the process of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s selection. Second, the change in perception is asked to strengthen the accountability for evaluation. Hence, enhancing students' achievement levels in an internally stable environment. This should be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rather than in the interest of reducing E grade ratio itself from students. Third, it is the introduction of flexibility that is relieving the operational rigidity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s scheduling for yearly overview plan on learning and evaluation can be made with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be given opportunity to have it modified, many faculties will consent to idea of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s a policy supporting and not limiting the teacher's evaluation rights. Finally, as external supports are required to operat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with internal stability, the most shared common opinion from teachers was to have administrative tasks reduced. When a teacher's positive perception of the changed evaluation system is added with reduced administrative tasks, it is expected that ideal work place for students and teachers will be possible. The efforts suggested above would contribute to the settlement of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글로벌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다양하고 광범위한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는 능력뿐 아니라, 지식과 정보를 창의적으로 생산하고 전달하는 능력도 요구된다. 이러한 인재육성의 필요성은 창의적인 학교교육의 실현이라는 과제를 낳았고, 학교가 자율적으로 창의적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되었다. 이에 교육과학기술부는 학생의 적성과 소질계발에 중점을 둔 교육과정의 취지와 부합되는 동시에 학생들의 창의력, 인성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평가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는 요구를 반영하여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였다(2011.12.13.). 이 방안의 핵심은 창의·인성 수업모델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성취평가제의 도입이다. 본 연구는 2009 개정교육과정의 도입과 동시에 시작되는 성취평가제가 현장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조사하고,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과 실행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어과 교육에서 성취평가제의 목적을 달성하고 그 의의를 살리기 위해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지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0개의 대구 소재의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영어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학교교육 선진화를 실현하는 중요한 방법으로서 평가의 질적 개선을 포함한 성취평가제가 학교현장에 성공적으로 정착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교사들을 성취평가제를 유지 발전하는 핵심 주체로 세우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취평가제를 경험하고 있는 영어과 교사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단위학교에서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성취평가제의 적용에 따른 변화 모습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영어교사들의 성취평가제 운영에 대한 인식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연구에 참여했던 대다수의 교사들은 상대적 서열에 민감하던 학교 현장의 분위기가 줄 세우지 않는 교육으로, 평가에 대한 관점이 교사의 입장에서 학생의 입장으로 변화된 부분에서 성취평가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 변별에 목적을 둔 평가를 지양하게 되면서 성취기준에 입각한 수업과 평가문항 출제로 이어져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 교과에 대한 자신감, 재미를 붙이게 하고 학습 동기부여를 촉진하는 긍정적인 부분으로 이어지기도 하지만 학생 자신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한 혼란을 불러온다는 부정적인 의견도 갖고 있었다. 국가수준에서 제공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학교의 현실에 적합한 것으로 수정하고 보완하는 재구성이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 또한 공통적인 의견이었다. 현장의 교사들은 성취평가제의 도입 취지를 비교적 잘 이해하고 운영을 하고 있었으나 대학입시라는 현실의 교육제도와의 엇박자로 인해 성취평가제 도입의 취지가 퇴색되고, 그로 인해 취지에 맞는 운영이 어려워 실질적으로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 어렵다고 하였다. 2014년부터 도입된 핵심성취기준이 영어과 교육의 중심을 잡아주는 통일감을 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었지만 꼭 가르쳐야 할 부분에 대한 국가의 요구와 압박으로 느끼는 교사들 또한 존재하고 있었다. 정책에 따라 교사들은 성취기준에 기반을 둔 수업을 실행하고 있었다. 성취기준 중심의 수업은 그동안 모든 것을 가르쳐야 한다는 진도 위주의 넓은 수업에서 중요한 것을 정리, 선택하여 가르칠 수 있는 수업 실행의 변화를 가지고 왔다. 이는 교사로 하여금 수업 실행상의 여유와 교수·학습 방법 적용상의 유연성을 가져왔다. 이와 같은 수업의 실행은 학생들에게 기초적이고 중요한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배우게 되는 기회이기도 하지만 중요한 내용의 깊이 있는 공부로 이어지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기도 하였다. 상위권 학생들의 깊이 있고 넓은 영어과 교육에 대한 수요를 어떻게 끌어안을 것인가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영어과에서의 성취평가제 도입은 평가 영역에 있어서 교사들로 하여금 학생의 성취기준의 도달 여부에 초점을 두도록 하는 변화를 가지고 왔다. 교사들은 평가결과에 대한 강한 책무성을 느끼고 있었는데 이는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교과목별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로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A-B-C-D-E)이 결정되는 상황과 관련이 있었다. 특히 높은 E등급의 비율은 성취기준에 미흡하게 도달한 학생의 비율이 높다는 해석을 가능케 하는 부분으로 이는 교사의 수업과 평가에 대한 실패로 판단되기에 성취평가제 하에서 교사들의 평가 실행은 E등급을 줄이는데 초점을 두게 되었다. 낮아진 난이도에 후한 평가점수의 부여는 학생들의 실제 영어 수행능력과는 상관없이 평가점수가 상향평준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담고 있었다. 성취평가제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운영의 실태파악을 목표로 한 본 연구에 의하면 성취평가제의 도입 취지는 이해하고 있으나 현실적인 절차상의 어려움과 이원화된 평가제도로 인한 혼란, 대학 입시와 연계성 없는 평가제도라는 인식의 한계 등으로 인해 그 운영에서 많은 제약과 불편함을 겪고 있다는 의견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창의・인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을 목표로 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그 취지에 부합하는 평가 제도로서의 성취평가제는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교육의 본질을 찾는 시도의 첫 단계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성취평가제가 교육과정의 취지에 올바르게 부합되고 시대의 흐름을 주도하는 제도가 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과 학생을 공감시킬 수 있는 평가와 교육의 미래에 대한 큰 그림을 보여줄 수 있을 때 가능할 것이다. 성취평가제는 여러 긍정적, 부정적 효과를 지니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정책의 흐름에 적응하려는 교육평가의 변화에 있다. 평가 방법의 변화가 교육과정의 질을 높이고 시대 흐름에 부합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성취평가제에 대한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하는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성취평가제를 위한 대입제도의 개편, 운영 매뉴얼의 개발, 성공사례에 대한 연구의 시행을 비롯하여 평가전문가 양성, 교사의 평가전문성 함양, 수업 현장의 개편을 통해 양질의 평가를 바탕으로 네 기능의 균형 있는 영어 수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7 A. 규준지향평가와 준거지향평가 7 B. 영어 학습 평가 9 C. 환류효과 10 D. 성취평가제의 도입 및 운영 15 1. 성취평가제의 도입배경 15 2. 성취평가제의 운영 18 E. 선행연구 23 1. 영어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23 2. 환류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25 3. 성취평가제에 관한 선행연구 27 Ⅲ. 연구방법 35 A. 연구 질문 35 B. 연구 대상 35 C. 연구 도구 36 1. 설문지 36 2. 인터뷰 38 D. 자료 수집 및 분석 41 1. 양적 분석 41 2. 질적 분석 41 E 연구의 제한점 4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3 A.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43 B. 성취평가제 운영 실태 58 C. 성취평가제가 영어과 수업에 미치는 변화 인식 87 Ⅴ. 결론 및 제언 97 참고문헌 105 부록 1. 설문지 110 부록 2. 면담 질문 119 ABSTRACT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03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등학교 영어과 성취평가제 운영실태 및 교사 인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nglish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dc.creator.othernameBae, Wonhee-
dc.format.pagevii, 124 p.-
dc.contributor.examiner이은주-
dc.contributor.examiner이미진-
dc.contributor.examiner신상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