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7 Download: 0

음악 교과에서의 통합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인식 및 수업 실태 조사

Title
음악 교과에서의 통합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인식 및 수업 실태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f middle·high school music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in music classes
Authors
김설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음악 교과에서 활용되고 있는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수업 실태를 조사하여 음악교육에서의 통합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교과에서의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관심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수업 외 과중한 업무 부담과 프로그램 및 수업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통합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통합 프로그램 및 관련 수업 자료가 개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선행연구에서 통합교육에 관한 수업지도안이나 지도 자료 개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은 연구의 부족이 아니라 자료에 대한 교사의 접근이 어려운 것이 원인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둘째, 음악 영역과 음악 외의 영역 간 통합교육을 실시할 때 음악교사가 활용하는 영역으로는 각각 미술과 문학, 언어와 역사 영역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과 음악 외 영역 간 통합을 실시할 때 음악과 관련성이 높은 영역 간 통합의 활용도는 높고, 비교적 직접적인 관련성이 낮은 수학과 과학 등의 영역 간 통합의 활용도는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을 실시할 때 통합수업에 대한 개념이나 교수·학습 방법과 더불어, 교사의 전공과목이 아닌 타 교과들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을 높이는 교육을 함께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급에 따른 음악 영역과 타 교과 영역 간 통합교육 실시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 음악교사는 한 달에 한 번이나 한 학기에 한 번 정도 실시하였으나 고등학교 음악교사는 실시하지 않았다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음악교사 모두 음악 영역과 타 교과 영역 간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가 인식하는 음악 영역과 타 교과 영역 간 통합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에 대해서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과 실태와의 차이가 대학 진학에 목적을 둔 교육과정 때문인지 학교급에 따른 행정적 지원에서 비롯된 차이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근무지역에 따른 음악 교과에서의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서울특별시의 관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음악 영역 내 통합, 음악 영역과 예술 영역 간 통합, 음악 영역과 타 교과 영역 간 통합교육 실시 정도는 근무지역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는 실행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에(Thompson, 1992), 관심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수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관련기관과 학교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의 관심도가 무엇에서 비롯되었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실시하여, 서울 외 지역의 교사의 관심도를 높이고 잠재적인 통합교육의 실현 가능성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음악교육에서의 통합교육의 유형과 음악의 영역별 교사의 인식 및 수업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의 학교급, 근무지역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계기로 통합교육과 관련한 웹사이트가 개설되어 통합교육 지도 방안과 지도 자료에 대한 교사의 접근이 용이해지고 이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수업 예시가 제공되며, 교사 공동체나 교사 연구회 등의 교사 모임이 창설되어 음악교육에서의 통합교육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current situations of music integrated education and to try to find ways to invigorate integrated education in mus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100 in-service music teachers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ross-analysi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The summary and discus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general perceptions of music integrated education revealed that teachers’ understandings and attentions on integrated education were high. However, teachers felt difficulties in conducting integrated education due to their heavy burden of extra classes and the lack of educational programs and materials.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programs and associated educational materials was emphasized. Nevertheless, since a lot of previous studies have actively investigated teaching guide and materials in terms of integrated education, it was assumed that teachers’ inaccessibility to materials was the problem in question rather than the lack of related materials. Second, the domains that music teachers utilized when conducting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domain and non-music domain were respectively art and literature, language and history in general, which revealed that the rate of integrating the domains that had higher relevance to music was high, while the rate of integrating the domains that had comparatively lower relevance to music, such as mathematics and science, was low. Therefore, when performing teachers’ training for integrated education, fostering the knowledge and expertise of other subjects than teachers’ major subjects is required as well as the concept and teaching · learning method of integrated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conducting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domain and non-music domain according school levels,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music teachers in middle schools conducted integrated education once a month or once a semester, while the majority of music teachers in high schools mainly did not conducted integrated education.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they both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domain and non-music domai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ttentions and students’ attentions toward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domain and non-music domain. Thus,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whether such gap between the perceptions and current situations were derived from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university entrance or the administrative support depending on school level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attentions toward music integrated education according to working locations, the attention rate in Seoul was the highest. However, conducting integrated education among music domains, between music domain and art domains, between music domain and other subject domain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working locations. Since teachers’ attentions toward integrated education become the motivation of practice(Thompson, 1992), support from related institutions and school is required so that teachers’ attentions can be developed to actual classes. Moreover, additional studies to explore the sources of teachers’ attentions are also required to improve teachers’ attentions in the other locations out of Seoul and the realization possibilities of potential integrated education. This study had an implication of investigating integrated education types, teachers’ perceptions per domain,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s’ school levels and working loca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more active music integrated education by establishing a website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to promote teachers’ accessibility to integrated education teaching guide and materials, providing actual teaching examples to be applied to lectures, forming teachers’ groups such as communities or seminar groups of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