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8 Download: 0

교과 교육과정 교육 내용 구성 방안의 쟁점과 개발 과정의 개선 과제 분석

Title
교과 교육과정 교육 내용 구성 방안의 쟁점과 개발 과정의 개선 과제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Issues and Challenges Regarding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Authors
박희경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이 연구는 교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구성과 관련된 주요 쟁점들을 명료화하고 향후 지속적인 연구 및 논의를 위해 필요한 과제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숙의 과정에서 개발자들의 인식 및 관점에 해당하는 플랫폼을 명료화하는 것은 합리적 숙의를 촉진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직접 참여한 총론 및 교과 교육과정 개발자들의 인식 및 관점을 통해 교육 내용 구성과 관련된 숙의가 어떠한 플랫폼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것인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후속 논의를 위한 쟁점을 명료화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이 연구는 교육 내용 구성과 관련된 쟁점들과 관련하여 추후 지속적이고 합리적인 숙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구성 방안에 대한 개발자들의 인식 및 관점은 어떠한가? 둘째,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개선 과제에 대한 개발자들의 인식 및 관점은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발자 11명, 교과 교육과정 개발자 18명, 교육부 관계자 1명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의 인식 및 관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교과 교육과정 교육 내용 구성 방안에 대한 인식 및 관점은 교육 내용의 선정 및 조직 측면과 교육 내용 진술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전자는 교과 교육과정 내용체계표의 ‘핵심 개념’과 ‘기능’을 중심으로, 후자는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핵심 개념의 의미에 대한 개발자들의 인식 및 관점은 ‘상위 개념으로서의 핵심 개념’, ‘통합 개념으로서의 핵심 개념’, ‘근본 개념으로서의 핵심 개념’, ‘주요 내용으로서의 핵심 개념’, ‘내용 범주로서의 핵심 개념’과 같이 크게 5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고 이와 관련된 주요 쟁점 및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핵심 개념이라는 용어를 두고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해석이 이루어진바, 핵심 개념을 도입한 근본 취지가 무엇이었는지를 명확히 하고 교과별 특성에 따라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핵심 개념이라는 용어 자체의 적절성과 함께 일반화된 지식과 핵심 개념의 관계 설정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기능의 의미에 대한 개발자들의 인식 및 관점은 학습의 결과로서 기대되는 능력을 의미하는 ‘수행으로서의 기능’, ‘탐구방법 및 사고능력으로서의 기능’, ‘활동으로서의 기능’으로 그 유형이 구분되었고 이와 관련된 주요 쟁점 및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의 결과로서 기대되는 능력을 의미하기 위해 기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기능을 교육 내용과 별도의 차원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기능과 역량의 관계를 명료화하고 역량과 별도로 기능을 내용체계에 제시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교육 내용 진술방식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의 적절성에 대한 개발자들의 인식 및 관점은 ‘수행 기준의 성격을 강조하는 관점’과 ‘내용 기준의 성격을 강조하는 관점’으로 구분되어 나타났고 이와 관련된 주요 쟁점 및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되는 성취기준의 성격이 무엇인지, 무엇을 위한 것인지를 명료하게 하고 이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 둘째, ‘내용요소 + 기능’이라는 성취기준 작성 지침의 적절성과 수행의 의미에 대해 교과별 특성을 고려한 검토가 필요하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의 개선 과제에 대한 개발자들의 인식 및 관점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총론과 각론의 역할 분담과 관련하여 개발자들은 총론에서 제시한 지침을 교과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수동적으로 따르는 것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총론과 각론이 교육 내용의 구성 방향을 함께 설정하여 이에 대한 충분한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총론과 각론의 의사소통 구조에 대해서는 소통의 기회가 확대된 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지만 세부적인 의사소통 방식에 있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 개발 지침의 적용 과정 측면에서는 지침이 명료하고 체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며 특히 교육과정 용어가 일관되게 사용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넷째, 대다수의 개발자들은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총론과 각론의 상시적인 공동 연구 체제 구축이 필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교과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후속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총론과 각론의 상시적인 소통과 협력적 연구 기회의 확대를 통해 교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구성과 관련된 공동의 이해 기반을 마련하고 어젠다를 함께 설정해가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각 교과별로 교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구성과 관련된 체계적인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발 지침은 다양한 교과의 입장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하며 구체적인 실행가능성을 고려하여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 교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구성 방안에 대해서는 매우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므로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지침을 마련할 때는 총론에서 일방적인 처방을 내리기보다는 지침의 수정 가능성을 열어 두고 교과와 함께 충분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명료한 의사소통을 위해 교육과정 관련 용어가 일관성 있게 사용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구성과 관련하여 보다 합리적인 숙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방적이고 민주적인 의사소통 구조가 제도적으로 정착되어야 하며 국가 교육과정 개발 체제도 함께 개선되어야 한다. 여섯째,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결과에 대해 총론과 각론의 공동 반성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토대로 후속 연구 또한 총론과 각론의 협력 체제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은 교육 내용의 구성 방안을 개선하기 위해 총론과 각론이 함께 숙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쟁점들이 부각되었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한 합리적 숙의가 지속되어 교과 교육과정 개선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This study aimed to clarify major issues in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for subject curriculum and derive essential challenges for the continuous research and discussion Clarification of the platform that means participants’ perspectives in the process of deliberation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is an important project to promote rational delibe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in 2015 national curriculum to determine the platform used in deliberation for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Then, this study aimed to clarify issues for further discussion. This study aimed to derive challenge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regard to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ubject curriculum, for sustainable and rational deliberation in the future. Consequently, this study established specific research issues as in the following. First, how was participants’ perspectives in regard to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for subject curriculum? Second, how was participants’ perspectives in challenge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regard to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ubject curriculum?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made with 11 participants in general guideline for 2015 national curriculum, 18 participants in subject curriculum and one official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their cognition and viewpoints. The summary of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participants’ perspectives in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for subject curriculum in two aspects – selecting and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 and stating educational content. The former focuses on ‘key concepts’ and ‘skills’ from a content table of the subject curriculum, while the latter focuses on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analysis. Participants’ perspectives in the key concepts we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such as ‘key concepts as big concepts’, ‘key concepts as cross-cutting concepts’, ‘key concepts as fundamental concepts’, ‘key concepts as the major content’, and ‘key concepts as the category of content’. Major issues and challenges related to this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at the term ‘the key concept’ was interpreted differently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2015 national curriculum, more systematic discussion and research regarding how to clarify the fundamental goal of the key concept and how to make an approach according to a feature of each subject, are imperativ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sit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ized knowledge and the key concept as well as the adequacy of the key concept itself. Next, participants’ perspectives in the meaning of skills we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skills as an performance: expected abilities as learning outcomes’, ‘skills as inquiry and thinking skills’, and ‘skills as an activity’. Related major issues and challeng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mpulsory to revisit the adequacy of using the term ‘skill’ that is intended to represent expected abilities resulting from learning. Second, it is also necessary to revisit the adequacy of discerning ‘skill’ as a completely different dimension from educational content. Third, clarifying the relation between competencies and skills and investigating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skill apart from competencies into the content table are imperative. Next, participants’ perspectives on the adequacy of achievement standards that represents the statement of educational content, were classified into ‘the viewpoint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standards’ and ‘the viewpoint underscoring the characteristic of content standards’. Related major issues and challenges are as follows: First, what the characteristic of achievement standards proposed by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is, and w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for, need a clarification and general consensu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dequacy of guidelines for making achievement standards, which represents ‘content + skill’ and the meaning of performance according to a feature of each subject. Results of participants’ cognition and perspectives on challenges in the procedures for developing subject curriculum, which is the second research subjec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out a problem regarding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They specifically addressed the problem in that participants of subject curriculum passively followed the direction guided by the general guidelines.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atisfactory consensus by establishing a shared dir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Second, while most developers positively evaluated the communication structures of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because it increased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detailed communication methods. Third, mos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ubject curriculum must be clearly and systematically presented. Particularly, they emphasized that the terminology related to curriculum must be consistently used. Fourth, most participa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a constant joint research system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we proposed the followings as subsequent studies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 curriculum.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basis for common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for the subject curriculum by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and by expanding cooperative research opportunities. It is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n agenda together. Second, systematic research accomplishments in regard to educational content for the subject curriculum per subject, should be accumulated.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 curriculum, a specific development guideline should embrace various aspects of a subject and consider their specific viability. In particular, as there exist extremely diverse viewpoints on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for the subject curriculum, it is imperative to open up chances to modify the guidelines, rather than to blindly employ unilateral general guidelines. Fourth, for clear commun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subject curriculum should be consistent. Fifth, in order to accomplish more rational deliberation in regard to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for the subject curriculum, a democratic communication system is urgently needed and the system for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necessitates imperative improvement. Sixth, regarding the results of revised curriculum, the general guidelines for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ubject curriculum need mutual reflections. Based on this, subsequent studies need to be implemented under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aised a variety of issues while general guidelines and subject curriculum discussed cooperatively,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ubject curriculum through a rational deliberation on those iss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