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최주미-
dc.creator최주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4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45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plain collocation aquisition by providing explanations and annotations for the vocabularies in the text, in further hoping to aid the reading of a literature by a Korean reader. In order to do so, high-quality words were extracted from a literature text from a Korean textbook, with annotations given at each word. The test group was divided into two ; while one group(the general group) was only given the literal meaning of a vocabulary, the other group(the specific group) was given annotation with specific example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find out a difference in the collocation aquisition by the two groups which were given different annotations. Further,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annotation types and the retention ability. In chapter 1, I drew research questions by stating the purpose and the need for this study by introducing previous related studie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general annotation and specific annotation(with examples) on collocation acquisition, respectively. In order to do so, I examined the scores of the 1st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the 1st vocabulary test of each group, and tri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two group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eneral and specific annotations given in literature texts on the learning retention ability. For this experiment, 2nd lapsed vocabulary test was conducted by each group, with a lapse of a week after the 1st vocabulary test. In chapter II, I tried to arrange many on-going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literature text and vocabulary aquisition, annotation and collocation. In chapter III, I defined specifically the experiment tool, method, and analytical tool for the research. In chapter IV, I tried to answer my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experiment results. Lastly, in chapter V, I delineated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Regarding my first research question,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further comparison was conducted by dividing 8 target collocations into restricted collocations and semi-restricted collocations of which the customary collocations was divided into,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llocations acquisition. Therefore, general annotation group showe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the specific group regarding semi-restricted collocations, giving a meaningful significance. This proved that in learning collocations through literature texts, it is more effective to provide meanings through general annotations rather than specific ones in regards to semi-restricted collocations. The following is the outcome of my second research question. After the 2nd lapsed vocabulary test,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the average score of each test group and in the 1st and 2nd targeted collocation vocabulary tests. However, by correlating the average scores of the 1st and 2nd targeted collocation vocabulary tests per question in each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ay the table’ and ‘show jealousy’ in the general group. Also, in the specific group, ‘set up in a separate family,’ ‘exercise one’s talent’ and ‘pick on somebod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This result signifies the need to design collocation learning tool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llocations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specific annotation in continuous collocation learning and general annotation in immediate collocation learning. This analysis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figure out the possibility of collocation acquisition through a real text by utilizing literature texts beneficial to both reading and vocabulary comprehension. I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offering foundation for promoting vocabulary education using literature texts in Korean education.;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학 텍스트 읽기를 돕기 위하여 텍스트 내 어휘 설명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어휘 주석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학습자의 연어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에 실제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재에 실린 문학 텍스트를 선정하여 텍스트 내 고급 수준 어휘를 추출하고 어휘 주석을 제공하였다. 실험 집단은 어휘의 사전적 의미만을 제공한 일반 주석 집단과 사전적 의미와 함께 활용 예문을 제공한 예문 주석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주석의 유형을 다르게 하여 텍스트를 제공하였을 때 학습자의 연어 습득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보고자 하였다. 또한 주석의 유형이 학습자의 연어 학습 기억 효과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관련된 선행 연구를 기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일반 주석과 예문 주석이 학습자의 연어 습득 및 읽기 이해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검증하기 위해 1차 본 실험에서 진행한 읽기 이해 평가와 1차 어휘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두 집단의 시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문제 2는 문학 텍스트 읽기를 위해 제공된 일반 주석과 예문 주석이 학습자의 연어 학습 기억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 1차 어휘 평가 후 일주일의 시간 간격을 두고 진행한 2차 사후 지연 어휘 평가를 통해 집단 간 연어 학습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학 텍스트 읽기와 어휘 학습의 관계, 한국어 교육에서 어휘 주석과 연어에 관한 논의들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문학 텍스트 내 어휘 주석의 유형을 다르게 하여 제작한 본 연구의 실험 도구와 실험 방법 및 분석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 문제 1을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습적 연어를 체언의 의미 부류에 따라 각각 ‘제약적 연어’와 ‘준-제약적 연어’로 나눈 기준을 바탕으로 목표 연어 8개를 제약적 연어와 준­제약적 연어로 분류하여 집단 간 목표 연어 습득 양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준­제약적 연어에서 일반 주석 집단의 평균 점수가 예문 주석 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문학 텍스트를 활용하여 연어를 학습할 때 준-제약적 특성을 가지는 연어들은 일반 주석을 통해 의미를 제공하는 것이 예문 주석을 제공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연구 문제 2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차 사후 지연 어휘 평가 결과 2차 어휘 시험의 집단 간 평균 점수와 1·2차 목표 연어 어휘 평가의 평균 점수 모두 결과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두 집단 내에서 1·2차 목표 연어의 평균 점수를 문항별로 대응한 결과 일반 주석 집단에서는 ‘상을 보다’와 ‘샘을 내다’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예문 주석 집단에서는 ‘살림을 나다’, ‘재주를 부리다’, ‘트집을 부리다’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목표 연어의 1·2차 어휘 시험 평균 점수 비교를 통해 제약적 연어에는 일반 주석을, 준-제약적 연어에는 예문 주석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연어의 유형별 분류에 따라 각기 다른 연어 학습 방안을 고안할 필요성이 있음을 검증한 것으로 지속적인 연어 학습에 있어서는 예문 주석이, 즉각적인 연어 학습에서는 일반 주석이 더 효과적임을 증명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학 텍스트라는 특정 읽기 제재를 중심으로 그 안에서 한국어 연어에 주목하였다는 점과 이를 활용한 연어 습득 방안을 연구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제약적 연어와 준-제약적 연어로 연어의 유형을 분류하여 습득 양상을 살펴본 후 이에 따른 어휘 주석의 제시와 함께 효과적인 연어 학습의 필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5 C. 연구 문제 12 Ⅱ. 이론적 배경 15 A. 문학 텍스트 읽기와 어휘 학습 15 B. 어휘 주석 17 C. 연어 20 Ⅲ. 연구 방법 26 A. 예비 실험 26 B. 본 실험 29 C. 분석 방법 47 Ⅳ. 결과 및 논의 48 A. 주석의 유형이 연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48 B. 주석의 유형이 연어 학습의 기억효과에 미치는 영향 61 Ⅴ. 결론 및 제언 75 참고문헌 81 부록1. 실험 참여자 기초 설문지 84 부록2. 본 실험용 일반 주석 텍스트 86 부록3. 본 실험용 예문 주석 텍스트 91 부록4. 읽기 내용 이해 평가지 97 부록5. 1차 어휘 평가지 99 부록6. 2차 사후 지연 어휘 평가지 102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46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문학텍스트 내 어휘 주석 유형에 따른 한국어 연어 습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llocation Aquisi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Annotations in Literature Texts-
dc.creator.othernameChoi, Jumi-
dc.format.pagevii, 106 p.-
dc.contributor.examiner이정란-
dc.contributor.examiner박성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