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동철-
dc.contributor.author전보혜-
dc.creator전보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3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30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used a matched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made to develop a Dental Office Smoking Cessation Program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ADDIE model. The matching variables used were nicotine dependence scores, ag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moking family member. After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the program,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 in-depth interview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the program, and extract the elements that needed modifica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October 2015 to May 2016,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smoking, adult men (10 in the experimental group, 10 in the control group) wanting to get smoking cessation treatment.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SPSS 23.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percentage,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the hypothesis test were done with paired t-test.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shown. 1. The Development of Dental Smoking Cessation Program Based on TTM and ADDIE Models This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ADDIE procedures and we confirmed the needs with proof from experts, and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s in korea as well as other countries. In the design stage, we focused on the topic,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d in the development stage we solidified the contents and the subjects of the program, and the validity was confirmed. Based on specific hospital schedules, patients received 6 treatments in a term of 8 ~ 12 weeks, each session being 10 minutes long. For evaluation, a quantitative survey was undertaken. 2. Testing the effects of a dental smoking cessation program. 1) The hypothesis suggesting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higher self-satisfactio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as proven valid. 2) The hypothesis suggesting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Pros score of decisional balance will be lower proved to be true but Cons score of decisional balance will be higher proved not be valid. 3) The hypothesis suggesting that the rate of change will be high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en valid 4) The hypothesis suggesting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moking knowledge will be greater proved to not be valid. 5) The hypothesis suggesting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level of change (the amount of change regarding the patient) being higher proved to be true. 6) The hypothesis suggesting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mo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 proved to be true. The results shown above prove that the dental smoking-cessation program will raise the patient's self esteem and help them make right decisions, and the results showing the program satisfaction also prove that this program is a very effective program. We expect this program along with the dental hygienist's consulting to be very helpful in raising the rate of smoking-cessation attempts and success.;본 연구는 범이론적 모형(Transtheoretical model, 이하 TTM)과 ADDIE 모형을 이용한 치과 금연프로그램(이하,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실시한 대조군-실험군 매칭 사전-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matched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이다. 매칭변수는 니코틴 의존도 점수, 연령, 가족 중 흡연자 유무를 사용하였다. 연구는 본 프로그램을 개발, 프로그램 실행 후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타당성 여부를 파악하고, 수정·보완이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0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치과를 방문한 성인 남성 흡연자로 금연치료를 희망하는 실험군, 대조군 각각 10명씩, 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이용하였으며, 가설 검정은 대응 t-test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TM과 ADDIE 모형을 이용한 치과 금연프로그램 개발 본 프로그램의 개발은 ADDIE 단계에 따랐으며 분석단계에서 국·내외 금연 관련 문헌고찰을 실시하고,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였다. 설계단계는 주차별 프로그램의 주제 및 내용, 활용전략 및 방법과 매체를 선정하였고 개발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과 매체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프로그램은 병·의원 금연치료의 기간에 맞추어 8∼12주 동안 6회기로 1∼2주 간격으로 진행하였으며, 상담시간은 약 10분으로 실행하였다. 평가는 양적조사와 질적조사를 실시하였다. 2. TTM과 ADDIE 모형을 이용한 치과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검정 1) 일반 치과 금연치료와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하 실험군)은 일반 치과 금연치료를 받은 대조군(이하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지지되었다. 2)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의사결정균형 점수 중 흡연이득평가 점수는 낮을 것이고, 흡연손실평가 점수는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흡연이득평가 면에서는 가설이 지지되었으나 흡연손실 평가 점수 면에서는 기각되었다. 3)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변화과정 점수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4)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흡연 관련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5)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변화단계가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6)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TTM과 ADDIE 모형을 이용한 치과 금연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의사결정균형에 영향을 미치며, 변화과정과 변화단계, 프로그램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검정되었다. 이에 치과에서의 금연치료 시 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치과위생사가 상담에 참여하여 금연성공률과 금연치료 참여 이행률을 높이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연구의 가설 6 D. 용어의 정의 7 E. 연구의 제한점 10 Ⅱ. 문헌 고찰 11 A. 흡연에 대한 고찰 11 B. 보건소 금연클리닉 16 Ⅲ. 이론적 배경 22 A. 범이론적 모형 22 B. ADDIE 모형 29 Ⅳ. 연구방법 31 A. 연구 설계 31 B. 연구 대상 34 C. 연구도구 및 내용 35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41 E. 설문 자료 분석 방법 45 Ⅴ. 연구결과 46 A. TTM과 ADDIE 모형을 이용한 치과 금연프로그램 46 B. 양적조사 68 C. 질적조사 82 Ⅵ. 논의 94 Ⅶ. 결론 및 제언 105 참고문헌 107 부록 116 ABSTRACT 1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592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범이론적 모형과 ADDIE 모형을 이용한 치과 금연프로그램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of Dental Smoking Cessation Program Based on TTM and ADDIE Models-
dc.format.pagevii, 153 p.-
dc.contributor.examiner김명-
dc.contributor.examiner김혜경-
dc.contributor.examiner안정훈-
dc.contributor.examiner김영숙-
dc.contributor.examiner서동철-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관리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