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2 Download: 0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평가

Title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평가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environment influencing health
Authors
이정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명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the effects of social environment on health in a local community.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the effects of social environment on health, we established configuration and subordinate areas, developed questionnaires, and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novel tool. During establishment of the configuration and subordinate areas, each area of the social environment that influences health was established based on a preliminary study, an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as verified. The configuration and subordinate area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using the Delphi method. As a result, the areas of the social environment that influence health were divided into eight configuration areas: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Social network’, ‘Social support’, ‘Compliance with the norm’, ‘Social trust’, ‘Organization system’, ‘Health culture of the organization’, and ‘Capacity of local community’. For the subordinate areas, one subordinate area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was established in daily life. For the social network, one privat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For social support, one subordinate area was established, which was the degree of support and help received. For compliance with the norm, two subordinate areas were established: acceptance of diversity and normative behaviors. For social trust, two subordinate areas were established: general and public trust. For the organization system, three subordinate areas were established: operating system of the organization, conflict within the organization, and structure of communication. For the health culture of the organization, two subordinate areas were established: alcohol-related culture of collectivism and atmosphere of realization of health. For the capacity of the local community, three subordinate areas were established: identity, cohesiveness, and cooperation. In total, 110 questions were initially selected for questionnaires based on a preliminary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subordinate areas of the social environment that influence health; repetitive questions were then eliminated, leaving 87 questions that were developed based on an expert review of the questions used in the health survey. Based on verific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64 questions were subsequently retained. To verify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preliminary surveys and the main survey were conducted. For the preliminar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15 adults in one rural area and one urban area. In addition,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were performed. Through this, a survey consisting of 56 questions was generated as the measurement tool. Data were collected from 680 people in two areas: a rural area and an urban area. The final measurement tool was developed through principal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hrough principal factor analysis, questions related to nine configuration areas—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y, social network (A), social network (B), social support, compliance with the norm, social trust, organization system, health culture of the organization, and capacity of local community—were associated through specific factors and thought to explain the social environment of heal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verify unidimensionality and the 52 questions in nine configuration areas were confirmed to be appropriate.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improving health standards and inspecting the social environment in local communities. Further studies of this novel measurement tool are required to monitor its validity continuously. However, we performed an analysis of various aspects to verify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ocial environment on health and heath behaviors, and propose percentile and standard points.;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구성영역과 하위영역 설정, 문항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 등의 단계를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성영역과 하위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의 각 영역을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델파이기법을 활용하여 내용 타당도를 검정하고 구성영역과 하위영역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 영역을 ‘사회참여 및 활동’,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지’, ‘규범 준수성’, ‘사회적 신뢰’, ‘조직 체계’, ‘조직 건강문화’, ‘지역사회 역량’의 8개 구성영역으로 구분하였다. 하위영역으로는 사회참여 및 활동 영역에 일상생활에서의 자유로운 사회참여 및 활동 1개 하위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에 사적 관계망의 1개 하위영역, 사회적 지지 영역에 도움 및 지원받는 정도 1개 하위영역, 규범 준수성 영역에 다양성 수용과 규범적 행동의 2개 하위영역, 사회적 신뢰 영역에 일반적 신뢰와 공적 신뢰의 2개 하위영역, 조직 체계 영역에 조직의 운영체계, 조직 내 갈등, 의사소통 구조의 3개 하위영역, 조직 건강문화 영역에는 집단주의 술 문화와 건강생활실천 분위기의 2개 하위영역, 지역사회 역량 영역에는 정체성, 응집력, 협력의 3개 하위영역을 설정하였다. 문항개발 단계에서는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의 하위영역별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110여개 문항을 선정하여, 중복 문항을 제거하고 건강조사에서 활용하는 문항을 중심으로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1차적으로 87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내용 타당도 검정을 통하여 문항 수정 및 제외하여 64개 문항을 예비조사 도구로 개발하였다. 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 단계에서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먼저 예비조사에서는 농촌과 도시 각 1개 지역에서 성인 21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총 56개 문항으로 구성된 본조사 측정도구를 확정하였다. 본조사에서는 농촌과 도시 각 2개 지역에서 6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주인자 요인분석(PFA)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주인자 요인분석을 통하여 사회참여 및 활동, 사회적 관계(A), 사회적 관계(B), 사회적 지지, 규범 준수성, 사회적 신뢰, 조직 체계, 조직 건강문화, 지역사회 역량의 9개 구성영역의 문항들이 서로 다른 요인으로 묶여 건강에 대한 사회적 환경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단일차원성 검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들 9개 구성영역의 52개 문항에 대한 모형이 적합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측정도구는 향후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환경 수준을 파악하고,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로서 개발된 측정도구와 관련 도구 및 문항과의 지속적인 타당도 평가연구, 건강 및 건강행동에 미치는 사회적 환경 영향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다양한 경로분석 연구, 백분위 및 표준점수 제시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