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혜선-
dc.contributor.author김지은-
dc.creator김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7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7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고령화 시대에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아웃도어 웨어를 생산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액티브 시니어에 해당하는 노년 전기 남성의 체형을 분석하여 액티브 시니어 남성을 대상으로 소비자 착용실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아웃도어 업체의 생산 및 판매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존 아웃도어 재킷과 팬츠 각각 3벌 씩 선정하여 패턴을 비교하고 착의실험을 실시하여 가장 우수한 아웃도어 재킷과 팬츠를 선정하였다. 가장 우수한 평가를 얻은 기존 아웃도어 재킷과 팬츠를 기준으로 액티브 시니어 남성을 위한 아웃도어 재킷 및 팬츠에 대한 패턴을 수정 보완하여 연구 패턴을 제안하고, 소비자 설문조사 디자인 선호 결과를 반영하여 연구복을 제작하였다. 연구복 착의실험 결과를 토대로 수정사항을 확인하고 액티브 시니어 남성을 위한 아웃도어 웨어 제작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1. 노년 전기 남성 체형 분석 액티브 시니어에 해당하는 노년 전기 남성의 체형 분석 결과, 중년 남성과 비교하여 볼 때, 키를 비롯한 높이항목과 길이항목은 작아지는 반면, 둘레항목에 있어서는 허리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배둘레 항목은 큰 것으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배가 나오는 체형임을 알 수 있었다. 노년 전기 남성 체형의 정면모습은 가슴너비, 허리너비, 엉덩이너비 항목의 차이가 작게 나타나 중년 남성과 비교하여 볼 때, 허리굴곡이 뚜렷하지 않은 체형이며, 특히 허리두께와 배꼽수준허리두께 항목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 노년 전기 남성의 측면모습은 배가 돌출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반면, 엉덩이두께는 중년 남성에 비해 노년 전기 남성의 평균치수가 작게 나타나 노년 전기 남성의 엉덩이 측면모습은 중년 남성에 비해 밋밋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30~50세가 타깃인 아웃도어 웨어를 액티브 시니어 남성이 착용하게 되면 맞음새가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 진다. 중년 남성과 노년 전기 남성에 해당하는 35~69세 남성은 세 가지로 유형으로 나뉘었는데, 왜소한 체형이나 몸무게에 비해 배가 나온 유형1, 키는 보통이고 몸통부위는 날씬하며 어깨·등너비는 넓으나 어깨가 처진 체형의 유형2, 키가 크고 몸무게도 많이 나가 전체적으로 체격이 큰 체형인 유형3으로 나뉘었다. 연령집단별로 유형의 분포 상태를 살펴 본 결과, 중년 남성은 키는 보통이고 몸통부위는 날씬하며 어깨·등너비는 넓으나 어깨가 처진 체형인 유형2가 가장 많으며, 노년 전기 남성은 왜소한 체형이나 몸무게에 비해 배가 나오고 팔·다리는 가늘며 어깨·등너비는 좁고 상반신 길이가 짧고 어깨가 처지지 않은 체형인 유형1이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30~50세가 타깃인 아웃도어 웨어를 액티브 시니어 남성이 착용하게 되면 맞음새가 부적합하기 때문에 액티브 시니어 남성의 체형의 특징을 반영하여 아웃도어 웨어 패턴 설계 시에 이를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다. 2. 소비자 착용실태 조사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아이템은 방풍재킷과 긴바지이며, 액티브 시니어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그 이유를 ‘착용감’을 첫 번째로 꼽았으며, 아웃도어 웨어 구매 시, 고려사항에서도 착용감과 사이즈 항목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액티브 시니어 남성은 착용감을 매우 주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편하게 느끼는 부위별 치수로는 재킷의 배둘레, 소매길이, 재킷길이와 팬츠의 밑위길이, 팬츠길이로 나타나 액티브 시니어 남성 체형에 맞는 아웃도어 웨어 패턴을 위해서는 이 부위의 패턴치수가 수정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3. 아웃도어 웨어 업체의 실태조사 아웃도어 웨어 업체의 실태조사 결과, 사용하고 있는 호칭 표기 방법은 재킷은 동일한 방법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팬츠의 경우 브랜드마다 다르게 표기하고 있었다. 10개 아웃도어 웨어 업체 모두 재킷의 경우 가슴둘레로 표기하고 있었으며, 치수의 간격은 모든 아웃도어 업체에서 5cm 간격으로 전개되고 있었으며, 이는 KS의류 치수 규격을 따르고 있었다. 팬츠의 경우 허리둘레로 호칭을 표기하고 있었으며, 각 아웃도어 브랜드마다 치수 범위와 치수 간격, 호칭 표기 방법을 다르게 설정하고 있었다. 치수의 간격은 KS의류 치수 규격을 따르지 않고 4~5cm 간격으로 업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치수 간격 또한 일정하지 않아 업체별로 생산하고 있는 호칭의 범위와 편차, 호칭 표기 방법에 차이가 있어 아웃도어 웨어 구입 시 적절한 치수를 선택하는데 혼란을 줄 우려가 있다. 55세 이상 69세 이하의 남성을 위한 아웃도어 개발 시 가장 우선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각 아웃도어 웨어 매장의 판매직원을 대상으로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한 결과, 액티브 시니어 남성 체형에 적합한 맞음새, 디자인/색상의 다양성, 젊어 보이는 디자인, 연령에 적합해 보이는 디자인, 활동하기 편안함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성보다는 디자인과 맞음새에 관한 의견이 많았다. 4. 기존 아웃도어 웨어 착의실험 및 패턴 분석 기존복으로 선정된 아웃도어 웨어의 착의실험 결과, 아웃도어 재킷의 경우, 브랜드 C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그 제품 치수가 브랜드 A나 브랜드 B보다는 약간 작은 것으로 나타나 피험자들은 브랜드 C 재킷의 맞음새에 대하여 다소 불편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길이 항목에서 세 브랜드 모두 점수가 낮았으며, 재킷 앞길이 항목에서는 브랜드 B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존 아웃도어 재킷으로 선정된 세 브랜드의 재킷의 치수만족도는 브랜드 B의 재킷에서 가장 높은 점수의 항목이 많아 기존복에서는 브랜드 B 재킷의 외관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웃도어 팬츠의 경우, 바지길이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대체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나 바지길이 항목에서 세 브랜드 모두 가장 낮은 점수가 나타나 가장 불편한 부위로 나타났다. 허리둘레의 경우, 브랜드 B와 C의 사이즈 호칭은 ‘86’인 반면, 브랜드 A의 사이즈 호칭은 ‘84’이므로 브랜드 A의 평가는 세 브랜드 모두 엘라스틱 밴드가 삽입되어 있는 디자인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낮은 점수를 얻어 브랜드 A의 호칭 84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브랜드의 팬츠의 치수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 중 우수한 평가를 받은 항목이 모든 브랜드에서 1개의 항목씩 나타나 우열의 순위를 가릴 수는 없어 전체 평가 항목의 평균치를 구한 값과 전체적인 맞음새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브랜드 C의 팬츠가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5. 연구복 제작 및 착의실험 결과 기존복 착의실험 결과, 브랜드 B의 재킷과 브랜드 C의 팬츠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정된 브랜드의 패턴을 참고하여 맞음새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난 부위에 대하여 여유분량을 가감하며 문제가 나타난 부위를 수정하여 연구복 패턴을 설계하였다. 아웃도어 재킷과 팬츠의 연구복 디자인은 앞서 분석한 착의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얻은 아웃도어 웨어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소비자 착용실태 설문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선호하는 의복 형태와 색상을 참고하여 연구복을 디자인하였다. 소재는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합성수지의 얇은 막을 본딩한 2-layer에 망사를 특수 접착한 유사 원단을 사용하였다. 제작된 연구복은 우수한 평가로 선정된 기존복과 비교하여 착의실험을 하였으며, 대부분의 항목에서 연구복의 착의적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복 착의실험을 통하여 몇 가지 개선이 필요한 항목의 수정을 통해 최종 아웃도어 재킷와 팬츠의 최종 패턴을 제안하고 최종 제안된 연구복은 OptiTex CAD 3D를 활용하여 노년 전기 남성 체형을 반영한 가상 아바타를 생성하여 3D 가상 의복을 제작하였다. 또한 기존복과 연구복의 공극량에 대한 비교 분석을 병행하여 앞서 실시한 착의실험에서 우수한 연구복의 착의적합성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로 제시하였다.;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outdoor wear production for active senior males emerging as a new consumer bracket in the rapid aging age.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consumers’ wearing reality targeting active senior males through an analysis of younger old males’ body types. Three pairs of existing outdoor jackets and pants were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ir patterns were compared. In this manner, an wearing assessment was conducted. To do so, this study selected the most excellent outdoor jacket and pants. This study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patterns of outdoor jackets and pants for active senior males, based on the existing outdoor jackets and pants that received the most excellent evaluation. Based on these, this study proposed research patterns, and made research outdoor wear by reflecting the design preference result of the consumer questionnaire survey.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outdoor wear wearing assessment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e matters to modify, and proposed the matters to consider in manufacturing outdoor wear for active senior males. 1. Body Type Analysis of Younger-Old Males As a result of the body type analysis of younger-old males, who are active seniors in comparison with middle-aged males, the former’s height items including height became shorter, compared to the middle-aged males, but wai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omphalion) and abdominal extension circumference, which are circumference items, were bigger. This is actually the body type of belly becoming bigger, as people get older. As for the front image of younger-old males’ body type, the differences in chest breadth, waist breadth and hip width items were small in comparison with middle-aged male body type. In addition, the younger-old males’ body type has no clear waist curvature, and big differences were shown in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 circumference (omphalion). That is, younger-old male’s side image demonstrated a belly-protruded body type. Meanwhile, younger-old males’ mean measurement of hip thickness was smaller than middle-aged males’, and therefore the side image of younger-old males’ hips was flat, compared to that of the middle-aged males. From such a result, fit does not seem to be adequate, if an active senior male wears the outdoor wear targeted for males aged 30~50. The males aged 35~69, who are middle-aged males and younger-old males, were divided into three body types in this study: Type 1 – small body type with protruded belly, compared to weight. Type 2 – body type of slim torso with wide shoulder-back widths, but with sagging shoulder. Type 3 – big body type overall with tall height and heavy weight. According to body type distribution by age group, the middle-aged males had type 2 body type the most, namely height is moderate, torso is slim, shoulder-back widths are wide, but sagging shoulder is shown. The younger-old males showed type 1 the most, namely, arms and legs are slim, shoulder-back widths are narrow, upper body length is short, and sagging shoulder is shown. Because fit is not appropriate, if active senior males wear the outdoor wear targeted for males aged 30~50, there is a need to reflect active senior males’ body type characteristics in the outdoor wear pattern design. 2. Survey of Consumer Wearing Reality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active senior males, the outdoor wear items that they had the most were windbreaker jackets, long pants, and they said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ir preferred brand was wearing sensation. The matters to consider in purchasing outdoor wear were also wearing sensation and size. Consequently, the active senior males regard wearing sensation as very important. The measurements that they felt uncomfortable by body part were the abdominal extension circumference, sleeve length and jacket length of a jacket, and the rise and lengths of pants. To design the outdoor wear patterns suitable for the active senior male’s body type, the pattern measurements of these body parts need to be modified. From the fact-finding survey result on outdoor wear companies, their measurement indicating method was the same for jackets, but each brand used different methods for pants. 3. Fact-Finding Survey on Outdoor Wear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fact-finding survey on outdoor wear companies, all the ten companies used chest circumference for jacket, and the gap of measurement was 5cm. Such a method actually complied with the KS clothes measurement standard. For pants, waist circumference was used, and each outdoor wear brand used different methods indicating measurement range, and size name. The gap of measurement did not comply with the KS clothes standard, and it was 4~5cm depending on companies. Also, the gap of measurement was irregular. Namely, each company used different methods in terms of size name, range and deviation, which may give confusion to consumers in selecting proper measurement upon buying outdoor wear. This study made each outdoor wear outlet’s sales people freely describe the matters to improve in prior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outdoor wear for males aged 55~69. As a result, there were many opinions on the fit suitable for active senior males’ body type, variety of designs and colors, design making them look young, design appearing to be appropriate for age, and design comfortable for activity. Overall, more opinions on design and fit than functionality were presented. 4. Wearing Assessment and Pattern Analysis on Existing Outdoor Wear As a result of wearing assessment of the outdoor wear selected as existing outdoor wear, brand C showed the lowest score in terms of outdoor jacket. The reason is that the measurement of brand C’s products was slightly smaller than brand A or brand B, and the survey participants thought the fit of brand C’s jacket felt uncomfortable to some degree. In the item of sleeve length, all the three brands received low scores, and brand B showed the lowest score in the front length of jacket. Concerning size satisfaction of the three brands’ jackets selected as existing outdoor jacket, the most items receiving the highest scores were shown in brand B’s jacket. Therefore, the appearance of brand B’s jacket was assessed as the most excellent in existing outdoor wear. Regarding outdoor pants, the three brands received excellent assessment in all items except pants length. The three brands actually received the lowest scores in pants length, and therefore it was the most uncomfortable part. As for waist circumference, the size name of brands B and C was “86,” but brand A’s size name was “84.” The assessment of brand A received the lowest score, although elastic band was inserted in all the three brands’ designs. For this reason, the size name “84” of brand A was not adequate. The three brands actually did not show superiority, because each one item was shown in all three brands in terms of the item receiving excellent assessment among the item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size satisfaction of the three brands’ pants. In this regard, brand C’s pants received the most excellent assessment through synthesizing the mean value of entire assessment items and overall fit assessment result. 5. Research Outdoor Wear Manufacture and Wearing Assessment Result As a result of existing outdoor wear’s wearing assessment, the jacket of brand B and the pants of brand C were revealed to be the most excellent ones. This study actually designed research outdoor wear patterns by modifying the problematic parts by adding and subtracting spare length or circumference on the parts, where fit satisfaction was low, by referring to the selected brands’ patterns. The research outdoor wear was designed by referring to the preferred outdoor types and colors that were reveal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 of consumer wearing reality, based on the designs of the outdoor wear receiving the most excellent assessment in wearing assessment. Fabric that specially glued two-layered mesh that bonded the thin membrane of synthetic resin with polyester fabric was used as a material in this study. Wearing assessment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manufactured research outdoor wear and the existing outdoor wear selected as excellently assessed outdoor wear. Consequently, this study verified the wearing fit of the research outdoor wear was more excellent in most items. This study proposed the final patterns of outdoor jacket and pants suitable for active senior males through the modification of several items that need some improvements via the wearing assessment of the research outdoor wea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2 II. 이론적 배경 4 A. 시니어 세대에 관한 고찰 4 1. 시니어의 개념과 특징 4 2. 액티브 시니어의 개념과 특징 8 3. 시니어 남성 체형에 관한 선행연구 12 B. 아웃도어 웨어에 관한 고찰 15 1. 아웃도어 웨어의 개념과 업계 동향 15 2. 아웃도어 웨어의 종류와 요구되는 소재 기능성 20 3. 아웃도어 웨어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 31 III. 연구방법 및 절차 33 A. 노년 전기 남성의 체형 분석 36 1. 연구대상 36 2. 분석항목 36 3. 분석방법 38 B. 아웃도어 웨어 소비자 착용실태 조사 40 1. 조사대상 및 설문조사 기간 40 2. 설문조사 내용 40 3.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41 C. 아웃도어 웨어 업체의 실태조사 43 1. 조사 기간 및 방법 43 2. 조사 대상 및 내용 43 D. 기존 아웃도어 웨어의 착의실험 및 패턴 분석 45 1. 피험자 선정 및 인체계측 45 2. 기존 아웃도어 웨어 선정 및 제품 치수 측정 48 3. 기존 아웃도어 웨어 착의적합성 평가 방법 및 내용 52 4. 기존 아웃도어 웨어 패턴 치수 측정 및 분석 55 E. 연구복 제작 및 착의실험 58 1. 연구복 제작 58 2. 연구복 착의적합성 평가 방법 및 내용 61 3.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61 4. 연구복 최종 패턴을 이용한 3D 가상 의복 제작 62 IV. 연구결과 및 고찰 63 A. 노년 전기 남성의 체형 분석 63 1. 노년 전기 남성과 중년 남성의 신체치수 비교 분석 64 2. 체형 구성 요인의 추출 76 3. 체형의 분류 80 B. 아웃도어 웨어 소비자 착용실태 조사 결과 86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 86 2. 아웃도어 웨어 구매 실태 89 3. 아웃도어 웨어 착용 실태 98 4. 아웃도어 웨어 맞음새 만족도 102 5. 아웃도어 웨어 디자인 선호도 110 C. 아웃도어 웨어 업체의 실태조사 결과 117 1. 아웃도어 웨어 업체의 일반적인 사항 117 2. 아웃도어 웨어 업체의 치수 사용 현황 119 3. 핏(fit)에 따른 아웃도어 웨어의 분포 현황 122 4.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아웃도어 개발의 필요성 및 개선사항 125 D. 기존 아웃도어 웨어의 착의실험 및 패턴 분석 127 1. 피험자 신체치수 및 기존 아웃도어 웨어의 제품치수 127 2. 기존 아웃도어 웨어 착의실험 결과 132 3. 기존 아웃도어 웨어 패턴 분석 142 E. 연구복 제작 및 착의실험 154 1. 연구복 제작 154 2. 연구복 착의실험 결과 170 3. 연구복 최종 패턴을 이용한 3D 가상 의복 제작 178 V. 결론 및 제언 191 A. 결론 191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93 참고문헌 195 부록 201 ABSTRACT 2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554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액티브 시니어 남성을 위한 아웃도어 웨어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55~69세 남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utdoor Wear for Active Senior Males : Focused on Males Aged 55~69-
dc.creator.othernameKim, Jieun-
dc.format.pagexiv, 232 p.-
dc.contributor.examiner이진희-
dc.contributor.examiner도월희-
dc.contributor.examiner김은경-
dc.contributor.examiner김동은-
dc.contributor.examiner최혜선-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