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경옥-
dc.contributor.author정지영-
dc.creator정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0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07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편평족을 대상으로 줄넘기 운동시 신체 정렬선 시각정보 피드백이 발변형, 하지 정렬 교정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E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중 RCSP 측정방법을 기준으로 RCSP≤-4°이고 전족 내반 보상을 동반한(FRA≥4°) 편평족 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은 2개의 집단 (실험집단 : 신체 정렬선 시각정보 제공이 있는 줄넘기 운동 집단, 통제집단 : 신체 정렬선 시각정보 제공이 없는 줄넘기 운동 집단)으로 나뉘었다. 독립변인은 신체 정렬선 시각정보 피드백의 유무이다. 시각정보 피드백은 신체 정렬선 정보 제공은 전상장골극과 슬개골 중앙과 경골 조면을 따라 발목의 중앙을 잇는 하지 정렬선과, 발의 정렬은 종골에서 두 번째 발가락이 일직선으로 표시 하는 발정렬선을 거울을 통한 시각정보로 제공하였다. 종속변인은 발과 하지정렬의 운동학적 변인으로 안정시 종골기립각도, 후족에 대한 전족각도, 주상골 높이 변화, 대퇴사두근각으로 하였다. 안정시 종골기립각도는 디지털 수직 측각기(digital vertical goniometer), 주상골 높이는 30cm 자, 후족에 대한 전족각도는 관절각도계측기(tractograph), 대퇴사두근각은 사진 촬영 후 각도측정 프로그램(free screenshot captur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Window용 SPSS 18.0을 사용하여 집단 간의 사전, 사후 차이는 Mann-whitney U 비모수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내 변인들 간의 차이는 Wilcoxon 부호 순위 비모수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 검증은 유의수준 p<.05로 설정하였다. 실험과 측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안정시 종골 기립각도는 실험집단(Z=-3.23**)과 통제집단(Z=-2.03*)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여 줄넘기 운동이 종골의 기울기 교정에 효과가 있었다. 주상골 높이 변화도 실험집단(Z=-3.18**)과 통제집단(Z=-2.56*)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여, 내측 족궁의 높이 변화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후족에 대한 전족각도는 통제집단은 사전, 사후 차이가 없었지만, 실험집단(Z=-2.27*)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여 신체정렬선 시각정보 피드백을 제공한 줄넘기 운동이 전족의 교정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대퇴사두근각에서는 통제집단, 실험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각도가 커지며 부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 사전, 사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줄넘기 운동 자체는 종골의 기울기나 주상골의 높이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후족에 대한 전족각도에서는 신체 정렬선 시각정보 피드백 제공 받은 실험집단만 유의한 감소를 보이며, 후족부위인 종골의 기울기 교정과 함께 전족각도 교정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줄넘기 운동은 안정시 종골기립각도와 주상골 높이 변화 교정에 효과를 주는 운동으로 밝혀내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신체 정렬선 시각정보 제공을 통한 줄넘기 운동은 후족과 전족부 정렬에서 내측부위의 과도한 신장을 교정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줄넘기 운동이 하지의 부정렬을 함께 교정할 수 있도록 긴장된 근육 이완 및 약화된 근육의 단관절 근육강화 운동이 선행되어야 함을 규명하였다. 나아가 줄넘기 운동 시 탄력밴드를 이용하여 하지정렬을 전반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규명은 추후 연구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 immediate effect of body alignment line visual information feedback during rope skipping on foot deformation, lower limb alignment correction of a flatfeet. Of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study was carried out targeting 27 people with flatfeet accompanied by forefoot varus compensation(FRA≥4°) and RCSP≤-4°based on RCSP measurement method.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rope skipping exercise group with body alignment line visual information, control group : rope skipping exercise group without body alignment line visual information). An independent variable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body alignment line visual information feedback and body alignment line information provided lower limb alignment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ankle along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center of patellar and tuberosity of tibia and foot alignment line shown in a straight line by the second toe in the calcaneus as visual information through the mirror. As kinematic variables of feet and lower limb alignment, dependent variables include resting calcaneal stance position, fore foot angle for rear foot, navicular height change, quadriceps angle. Resting calcaneal stance position, navicular height, fore foot angle for rear foot and quadriceps angle were measured by using digital vertical goniometer, a 30cm ruler, tractograph and free screenshot capture, respectively. By using SPSS 18.0 for Window, Mann-whitney U nonparametric test was conducted for pre- and post-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Wilcoxon signed-rank nonparametric test was carried out for the difference in variables in the group. All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set to a significance level of p <.05.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experiments and measurements are as follows: resting calcaneal stance posi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both in the experimental group(Z=-3.23**) and control group(Z=-2.03*), indicating that rope skipping exercise was effective for correcting the slope of the calcaneus. Navicular height change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both in experimental group(Z=-3.18**) and control group(Z=-2.56*), showing that rope skipping exercise wa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in height change of inner foot arch. The fore foot angle for the rear foot showed no pre, post-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bu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perimental group(Z=-2.27*), indicating that rope skipping exercise providing body alignment line visual information feedback is effective for the correction of the fore foot. However, bot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driceps angle and the negative effect was rather shown with the increase in the angle.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shown in the pre, post comparis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n conclusion, rope skipping exercise itself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esting calcaneal stance position and height change of the navicular. In the fore foot angle for the rear foo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body alignment line visual information feedback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nd showed the forefoot angle correction effect with the slope correction of the calcaneus, the rear foot area.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revealing that rope skipping exercise itself is exercise effective for resting calcaneal stance position and navicular height change correction. Also rope skipping exercise through body alignment line visual information feedback offer can be seen to be effective for correcting excessive stretch of the inner part in the rear foot and fore foot part alignment. It was also identified that an exercise program of strengthening and relaxing the muscles of the simple joint should be preceded before the rope skipping exercise program to ensure that rope skipping exercise can correct the malalignment of lower limbs as well. Futhermore, the effects of rope skipping exercise program with elasticband should be identified in further stud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연구 가설 6 D. 연구 제한점 6 E.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10 A. 발 10 B. 하지의 생체역학 15 C. 시각정보 16 D. 줄넘기 17 Ⅲ. 연구 방법 19 A. 연구 대상 19 B. 연구 변인 20 C. 측정 도구 21 D. 연구 절차 22 E. 측정 방법 및 절차 23 F. 맨발, 양발, 전족착지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 27 G. 자료처리 방법 29 Ⅳ. 연구결과 30 A.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 30 B. 집단 간 사후 검정 결과 31 C. 실험집단 내 사전, 사후 검사 결과 33 D. 통제집단 내 사전, 사후 검사 결과 38 Ⅴ. 논의 43 A. 안정시 종골 기립 각도 43 B. 주상골 하강 44 C. 후족에 대한 전족 각도 45 D. 대퇴사두근각 46 Ⅵ. 결론 및 제언 47 참고문헌 49 ABSTACT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54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줄넘기 운동시 신체 정렬선 시각정보 피드백이 편평족의 발변형과 하지정렬 교정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mmediate Effects of Jump Rope with or with out visual feedback on Foot deformation and Lower extremity alignment correction of a flatfeet-
dc.creator.othernameJung ji young-
dc.format.pagevii,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과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