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서영주-
dc.creator서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2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27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통합적인 교육방법을 적용한 유아발레 프로그램에 대한 강사와 학부모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실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준거적 선택에 의해 통합적인 교육방법을 지향하고 있는 유아발레 교육전문기관의 강사 3인과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3인의 학부모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과 프로그램 강의계획서, 강사용 핸드북,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교재와 음악CD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삼각검증법과 동료 간 협의, 구성원 간 검토의 방법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사와 학부모는 새로움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 그리고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일반 유아발레 프로그램으로부터 어려움을 직면한 연구 참여자는 유아에게 적합한 발레 프로그램을 모색하던 중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으며, 기존의 유아발레 교육방법과는 다른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에 대해 ‘괜찮을까?’라는 걱정과 두려움, 그리고 ‘새로움’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참여하게 되었다. 다양한 영역을 접목한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은 유아에게 흥미를 가져다주었기에 연구 참여자는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발레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 또한 가지게 되었다. 둘째, 발레의 즐거움을 발견하게 되었다.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은 유아의 발달단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었으며, 연령별 특성에 따른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이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유아는 발레에 대한 흥미와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다. 스토리텔링을 통한 발레 교육은 유아기에 배워야하는 내용과 유아가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을 주제로 다루기 때문에 매주 다양하고 새롭게 발레 동작을 접할 수 있었으며, 강사는 발레 작품과 동화 이야기를 재미있는 이야기로 구성하여 전달함으로써 상상력이 풍부한 유아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었다. 또한 소품과 교재, 음악CD 등 다양한 교구를 활용함으로써 그날 배워야 하는 주제를 유아에게 더욱 명확하게 이해시킬 수 있었고, 창의적인 활동을 통해 유아에게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었다.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에서 유아는 음악, 미술, 연극 등 다양한 예술을 체험할 수 있었으며, 통합예술교육으로서의 발레 교육을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발레에 대한, 발레를 통한 새로운 관심이 형성되었다. 유아는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을 통해 발레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발레 교육에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발레 공연에 대한 관심도 가지게 되었으며, 나아가 진로를 결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 넷째,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였다.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성장을 도모하였으며,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창의성,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주고 있었다. 다섯째,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먼저 다양한 교육내용을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수준별 학습을 통한 발레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초등 발레교육으로의 연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유아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성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대에서 발표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강사는 유아에게 체계적으로 발레를 지도하기 위해 유아관련 지식과 교육방법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강사의 자질 및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전문 강사 양성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전문 강사를 유지 및 확보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교육환경에 있어서는 교육시간 및 횟수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으며, 유아를 세심히 관찰하고 지도하기 위해서는 적정 인원수로 제한해야 한다고 하였다.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교육장소 및 전문시설이 확충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에 대한 무용관련 지도자와 학부모의 인식제고를 통해 많은 유아들이 적극으로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통합적인 교육방법을 적용한 유아발레 프로그램은 강사와 학부모에게 발레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지게 함으로써 발레 교육을 대중화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또한 유아의 발달 및 특성을 고려한 교육내용 및 방법은 유아의 흥미를 유발시킴으로써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발레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으며, 발레 교육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었기에 전인발달로의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e materials required to invigorate an infant ballet program b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instructors and parents in the program which implemented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the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study participants included three instructors at an infant ballet professional institution that follows integrated teaching method based on referential selection and three par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depth interview, program lecture plan, instructor handbook, materials used in class and music CD were collected as research materials an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with inductive domain analysis. Veracity of this study was acquired through triangulation, consultation between colleagues and review by membe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structors and the parents all had worries, fears and expectations about novelty.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faced difficulties in general infant ballet programs were seeking for a more suitable ballet program for their children and came to know about the integrated infant ballet program. They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infant ballet program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nfant ballet teaching methods with worries and fears thinking ‘Is it really effective?’ and also expectation towards something ‘New’. The children were highly interested in the integrated ballet program as it grafted various fields with ballet and therefore, the research participants came to have positive recognition of the program and also new type of awareness towards ballet education. Secondly, the children were pleas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integrated infant ballet program was structured with the consideration of different features of infants’ development phases, and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each age group which enabled children to have interest on ballet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 ballet education through storytelling enabled children to approach new ballet movements every week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s it introduced various themes that should be learned in their infancy and have easy access to. The instructors composed stories with ballet work and fairy tales which enabled the children to take higher interest and curiosity with imagination. Besides, by utilizing different materials, textbook and music CD, the children were able to learn the day’s topic more clearly and through creative activities, it was possible to provide children with greater pleasure. The integrated infant ballet program provided the children to experience various forms of arts including music, art and drama, and they could also experience ballet education as a form of integrated art education. Thirdly, through the program, the children took a new interest on ballet. They consistent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ith great interest on ballet, which made them to pay more attention on ballet performances and the program also helped the children select their future career. Fourthly, they experienced different changes. The integrated infant ballet program promoted comprehensiv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children and helped them with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creative and social and holistic development. Fifthly, to provide a suggestion for the future direction, the ballet education has to be conducted through program development with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teaching contents, learning based on levels while developing connected programs as elementary ballet education. Moreover, in order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to children and to improv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it is necessary to give them opportunities to present their performance on stage. Ballet instructors are required to have professional understanding on infant-related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s and to teach children ballet more systematically. Also, professional instructors should be cultivated to reinforce their qualification and competencies.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maintain and secure professional instructors who have different experiences and know-how. In terms of teaching environment, it is suggested to increase the hours and numbers of training. To observe and guide infants in detail, the number of children should be minimized. The number of ballet practice and training site and institution facilities for integrated infant ballet program should be increased and active promotion and advertisement need to be carried out. More infants need to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the integrated infant ballet program through recognition enhancement of ballet instructors and parents about the program. The infant ballet program with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teaching method has its significance in contributing to popularization of ballet education through helping instructors and parents have new recognition towards ballet education. Also,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reflecting features of infant development helped children pro-actively participate in ballet education by stimulating their interests. It can be said it had positive impact from the aspect of holistic human development since the program increased persistency of ballet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D. 연구의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8 A. 유아의 발달 및 특성 8 B. 유아발레 교육의 현황 13 1. 유아발레 교육의 필요성 13 2. 유아발레 교육의 현황 15 3. 유아발레 교육의 문제점 17 C. 통합 유아발레 교육에 대한 이해 20 1. 통합 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0 2. 통합 유아발레 교육의 현황 22 Ⅲ. 연구절차 및 방법 29 A. 연구절차 29 B. 연구방법 30 1. 연구 참여자 30 2. 자료수집 34 3. 자료분석 40 4. 연구의 진실성 확보 41 5. 연구의 윤리 4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3 A.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43 1. 새로움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 그리고 기대 43 2. 발레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 46 B. 통합 유아발레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 49 1. 발레의 즐거움을 발견하는 과정: 씨앗심기 49 2. 발레에 대한, 발레를 통한 새로운 관심 형성: 키우기 63 3.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다: 열매 맺기 67 C.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81 1. 프로그램 81 2. 강사 85 3. 교육 환경 91 Ⅴ. 결론 및 제언 98 A. 결론 98 B. 제언 101 참고문헌 102 부록1. 1차 강사 심층면담 질문지 109 부록2. 1차 학부모 심층면담 질문지 112 부록3. 연구 참여자 동의서 114 ABSTRACT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16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통합 유아발레 교육경험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Integrated Infant ballet Education-
dc.format.pagevii,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과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