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삼근-
dc.contributor.author홍정희-
dc.creator홍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5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58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참여위원회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교육적 의미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청소년들은 어떠한 계기와 경로를 통하여 참여활동을 시작하게 되고, 이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게 되며, 그 결과로 어떠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참여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의 구체적인 경험 안에는 참여의 의미와 실천을 위한 행위 모두가 포함되어 있다. 청소년들의 참여활동 현재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정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참여활동에 진입하는 맥락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참여활동으로 무엇을 경험하고 있는가? 셋째, 참여활동 경험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나타나는 성과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지역사회의‘청소년참여위원회’에서 1년 이상 참여활동 경험이 있거나, 현재 활동을 하고 있는 17세 이상 되는 청소년 15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하고, 그들의 활동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청소년들의 참여활동 진입 배경과 경험, 그리고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은 학교안 학생회활동과 동아리활동을 통해 진입하고 있으며, 참여활동의 공간 확장을 통해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주체자로 자신을 전환시켰다. 둘째, 회의, 캠페인활동, 참여활동 기획은 참여의 목적을 구체화하는 프로그램이 되었고, 공동체에 무게를 두고 실천적 행위의 주체자로 거듭나는 경험과 함께 참여활동 과정 자체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였다. 청소년들이 가장 의미 있어 하는 것은 참여활동 기획이다. 이는 막연하고 추상적인 개념들을 구체화시키는 작업이며, 실천을 위한‘판’을 짜는 행위가 되었다. 그리고 청소년들은 참여의 의미를 확장시키고 자신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있었다. 즉, 청소년에게 참여는 직접 관여하고 알고, 도전하는 의미였다. 그들에게 참여는 자신과 같은 처지의 청소년들이 편 가르지 않고 함께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참여는 주체적으로 책임과 인식을 지닌 타자를 위한 나섬이었으며, 공동체에 소속된 구성원으로서 소신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의미화하였다. 셋째, 청소년들은 참여활동의 성과로서 주체적인 행위자성을 생성하고 보다 견고해진 관계의 결을 통해 타자들에 대한 새로보기가 가능해졌다. 또한, 사회적 차원으로 인식의 지평이 확장되었으며, 적극적 방식의 사고를 통해 지역사회 성원으로 자신의 삶을 반추하면서, 변화와 발전의 주체로 지역사회의 의미가 덧붙여지고 있었다. 참여활동은 청소년에게 내재된 지식들과 사회적 경험을 통합하면서‘좋은 삶’,‘좋은 사회’를 추구하는 공공선의 실천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의미 있는 실천적 행위 표출을 위해 참여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지역사회에 영향력 있는 사회적 존재로 성장하고 있는 등의 성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청소년 참여활동 경험에 대하여 갖는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참여활동 경험은 연결성 있게 이어지면서, 청소년 자신에게 다가오는 삶의 맥락 면면을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통합하는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둘째, 참여활동으로 청소년들은 실천력을 지닌 주체자로 변화하였고, 성찰적 의미가 담긴 프락시스(praxis)적 참여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들은 실천적 행위를 기획하는‘감’이 부족함을 성찰하고, 새로운 실천 지식으로써 비판적 성찰이 수반되는 참여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넷째, 참여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은 기존의 앎의 테두리에 실천이 가미되면서, 한층 더 지역사회 성원으로 다가가고 있었다. 다섯째, 참여활동의 결속체로서 공동체는 청소년들에게 내재된 지식과 실천적 행위로 얻어진 경험적 지식을 한데 모으고 다시 흩어지는 방식으로 공동체 성원들 간의 간극을 메우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참여활동을 통한 청소년교육의 과제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참여활동 진입 맥락에서부터 참여의 개념을 주체적인 행위자로서 재구성하게 하고, 이를 반영한 실천적 행위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청소년들은 참여활동 진입 맥락에서 사전 준비됨 없이 곧바로 그 활동에 나서고 있다. 따라서 실천적이고 성찰적 의미의 변화를 가져오며, 그것이 행위로 지속되기 위해서 참여활동에 대한 준비교육이 필요하다. 이는 학교안 교과교육에서 부분적으로 다뤄지는 것이 아니라 독립된 분야로서의 참여학습을 의미한다. 즉, 학교안과 학교밖 공간적으로 이원화되지 않고, 통합적 차원에서의 청소년 참여학습을 강조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 청소년 참여활동 현장을 연구하고 청소년이 처해있는 현실 상황에 적합한 청소년 중심의 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성공적인 참여활동 모델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는 청소년활동의 부수적인 수준에만 머물러 있거나, 성인주도의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사회적 실천의 맥락에서 청소년 자신의 삶과 관련되고, 청소년이 속한 공동체에 적용 가능한 참여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요청된다. 무엇보다도 실천 행위로서 참여활동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 청소년 자신이 참여에 대한 개념을 명료화하는 프로그램적 요소가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이 주체가 되는 참여활동의 양적 기회에 자족하지 않고, 청소년 현재의 참여활동이 참여학습으로 재구성되도록 돕는 평생교육적 관점에서의 교육적 지원이 요구된다. 이는 청소년 참여활동이 의례적이거나 형식적인 수준에 머무르지 않고 진정성 있는 참여가 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에 관련된다. 따라서 학교안 참여학습과 더불어 보다 실천적 의미를 담아내는 학교밖 참여활동이 되기 위해서, 참여의 맥락을 제한하지 않는 평생교육적 차원의 교육적 지원이 요청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derive meaning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he young people involved in the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 Young people are beginning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and instruments through any route, what is the experience with this, saying that the party was any acquisition performance as a result. Inside the concrete experiences of youth participants that includes both the act for the meaning and practice of participation. In terms of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activities of youth participation it was defined as a specific research question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ntext in which young people entering the community involvement activities? Second, how young people experience what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Third, what is obtained by the youth through participation experience? 15 people are selected to interview a juvenile over 17 years of age who are currently active participation, or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in the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 of the communities to which the data were collected as a way to observe their activities. Results youth participation entry of background and experience of the study, and their meaning is as follows. First, young people are not entering through the school student council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t was converted into their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actors through space expansion. Second, conferences, campaigns, activities, participation was planning a program that embodies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were given a greater sense of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itself, with the weight placed on the community to become actors of practical experience acts. The participatory planning activities are the most meaningful for young people. This is a work that embodies the vague and abstract concept, became an act of weaving a "board" for the practice. 'Participation plan' to experience the excitement of participation is to allow young people had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enemy praxis to reflect the attitude of the world. Youth development and attract external reality encountered and did not recognize myself in the world ever to have become the gateway. In the same youth participation experiences were expanded and reconstructed the meaning of the partici pation of youths in their perspectives. In other words, youth participation and direct involvement know, it was meant to challenge. Participation in them that were reconstructed with the plight of their youth such as myself without teaching side.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was independent and responsible for taking action with a recognized others, the screen was meant to serve as a belief that the members belonging to the community. Third, young people made ​​possible the new view of the batter over the results of the independent Province of actors created and made ​​more robust as a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 social dimension in the horizon of awareness was expanded to reflect on their lives, while community members through the proactive way of thinking, change and a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to the subject of development it was getting. Participation was the practice of the common good while integrating an embedded knowledge and social experiences for young people to pursue the‘good life',‘good society'. Was aware of the need to participate in this learning process for young people practical actions that express meaning, it can be seen that the growing influence of social presence in the community. Significance of education for the youth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youth participation, allowing them to stretch, applies to the opportunities to integrate all the aspects of the Youth’s lives actively and independently. Second, participating in youth activities transformed young people to the independent doer and intensified reflectional praxis. Third, young people reflected on the lack of‘sense' to conduct a practical plan, and recognized the need for participatory learning where critical reflection is accompanied as new practical knowledge. Fourth, young people were going to reach more community members as a practical tinge on the rim of the existing knowledge through participation. Fifth, a community, as a member of the participation solidarity, played a role to fill up a gap between community members through the way to collect and disperse empirical knowledge gained by the inherent knowledge and practices. The implied youth education’s meaning and implication in this research are shown below mainly based on keyword: The first is that participation requires educational support in the context entry. Youth are scrambling to its activities without being directly involved in preparation activities entering the contex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is training to be continued as a Reflective Practice and Participation Act with significant changes. This is not an independent sector is partly covered in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prepare training means training for participation. And it refers to the educational assistance in an integrated dimension rather than being divided into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Second, we need to research Korea youth participation programs and need to create the participation activity program model which is suitable for youths’reality. Even the successful participation model has been suggesting, but it remains only the level of activity itself, and most of them are adult –led programs as well. Thus, in the context of social practices related to the life of his youth and the youth requested that the subject program.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program involves elements that clarify the concepts of youth participation and their involvement at the same time. Third, it is clear that youth participation opportunities that are subject to quantitative expansion. But this future-sufficient civil society participation as a member of the youth today without him is requested to help educational support that learning. This is related to the need for youth participation should be involved in the authenticity of not staying on the courtesy or form ever level. Therefore, lifelong education that will support the educational dimension to be highlighted in this out-of-school activities that put more involved with the school cannot participate in learning practical mea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5 C. 용어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10 A. 청소년 참여활동의 개관 10 1. 청소년 참여에 대한 관점 11 2. 청소년 참여활동의 의미 18 3. 청소년 참여활동 현황과 실태 22 B.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한 제논의 35 1. 참여활동의 진입 39 2. 참여활동의 수준 42 3. 참여활동의 특성 45 4. 참여활동과 지역사회의 관계 49 C. 청소년 참여활동의 성과 51 1. 참여활동과 교육적 경험 52 2. 역량과 참여활동과의 관계 56 3. 성장적 의미의 참여활동 59 D. 청소년 참여활동 선행연구 검토 6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68 A. 연구 방법 68 B. 연구참여자의 선정 71 1. 예비조사 72 2. 연구참여자 선정 75 3. 연구참여자 특성 76 C. 자료의 수집과 분석 81 1. 자료 수집 81 2. 분석의 틀 83 Ⅳ. 연구결과 85 A. 참여활동 진입의 맥락 85 1. 참여활동의 첫 진입, 학교안 참여활동 95 2. 참여활동 공간 확장의 다양한 방식 100 3. 새로움에 대한 갈망과 조우 108 4. 주체자로서의 드러냄과 생산적 활동 110 B. 참여활동 경험의 장 117 1. 회의: 공론과 자기성찰의 기회 117 2. 캠페인 활동: 획일적인 생활의 탈피와 인식의 성장 122 3. 참여활동의 기획: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참여의 맛 130 4. 참여의 의미 확장과 개념 재구성 143 C. 참여활동 경험의 성과 156 1. 주체적인 행위자성의 생성 156 2. 관계의 재구성: 눈치보기에서 당당해지기 173 3. 사회적 차원으로 인식의 확장 190 4. 참여학습에 대한 추구와 성장 198 Ⅴ. 결론 및 제언 215 A. 연구결과 215 1. 참여활동 진입의 맥락 215 2. 참여활동의 경험 탐색 218 3. 참여활동의 성과 222 B. 논의 및 제언 227 1. 청소년교육의 의의와 시사점 227 2.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233 참고문헌 235 부록 245 ABSTRACT 2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595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청소년 지역사회 참여활동 경험의 교육적 의미-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청소년참여위원회’활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ducational Meaning of Experiences of Youth Participation in Community : Focused on Activity in‘Youth Participation Committee’-
dc.creator.othernameHong, Jeounghee-
dc.format.pagevii, 250 p.-
dc.contributor.examiner황규호-
dc.contributor.examiner김안나-
dc.contributor.examiner정제영-
dc.contributor.examiner기순신-
dc.contributor.examiner곽삼근-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