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혜련-
dc.contributor.author전영은-
dc.creator전영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0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07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직무배태성의 관점에서 구성원들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과 일-가정 갈등을 줄이고자 함을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구성원들이 조직에 잔류하려고 하려는 원인을 알고 이직을 미리 예방해보고자 한다. 즉, 구성원이 지각하고 있는 환경까지 포함하고 있는 직무배태성의 관점에서 이직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최근 여성인력의 증가와 맞벌이 가구의 보편화로 인하여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가정 양립에 관한 문제는 많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구성원이 조직 내에서 경험하는 일-가정 갈등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를 직무배태성의 관점에 조명해보고자 한다. 특히 Ng & Feldman(2012)의 연구를 토대로 직무배태성과 일-가정 갈등의 관계를 보존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론적 가설을 전개하려고 한다. 즉,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 및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며,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로 개인의 태도변수인 경력몰입도 함께 살펴보려고 한다. 구성원이 조직에 깊게 배태되면 직무 및 조직에 대한 적합성이 증가하고, 동료들과의 좋은 관계가 형성되며, 조직에서 지원해주는 환경 때문에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따라서 직무배태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와 일-가정 갈등은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경력몰입이 높은 구성원일수록 이직의도와 일-가정 갈등도 줄어들 것이고, 이는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 및 일-가정 갈등의 부정적인 관계를 더 강화시킬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직무배태성을 두 가지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Mitchell, Holtom, Lee, Sablynski & Erez(2001)이 제시한 본래의 측정방법을 토대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으며, 그 이후에 제시된 Crossley, Bennett, Jex & Burnfield(2007)의 포괄적인 측정방법으로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최초로 직무배태성을 두 가지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이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국내 대기업의 5개 계열사(유통업, 금융업, 광고 홍보업)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응답자 중 23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직무배태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직무배태성이 높은 직원일수록 조직에 깊이 배태되며 이직하려는 의도를 줄일 수 있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직무배태성이 높을수록 일-가정 갈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무배태성과 일-가정 갈등의 관계를 보존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개인이 자신의 시간과 에너지를 보존함으로써 일뿐만 아니라 가정에 시간과 에너지를 더 투자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일-가정 갈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경력몰입이 높을수록 이들 간의 부정적인 관계를 더 강화시킨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직무배태성이 구성원들의 조직에 잔류하려고 하는 원인을 미리 파악함으로써 이직을 예방할 수 있는 요인임을 증명하였다. 또한 직무배태성과 일-가정 갈등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로 국내에서는 최초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연구대상 중 미혼자가 많고 초급직원이 많았기 때문에 일-가정 갈등을 연구하기에는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재구성하여 일-가정 갈등을 연구해볼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직무배태성을 두 가지의 측정방법을 통해서 비교분석함으로써 직무배태성 연구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It is important for a company to manage and develop its human resources to improve its competitiveness in modern society. While it is necessary to employ and foster excellent, competent individuals, not losing them and maintaining them are also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ays to prevent the turnover of members.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urnover focused their research on why members are trying to leave their organization (Why do people leave?); in contrast, this study will aim to identify the cause for why members are trying to stay in their organization (Why do people stay?) and prevent turnover in advanc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turnover in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job embeddedness that includes the environment perceived by members beyond the attitude variable of individuals. With the recent increase of female workers and the dual-income household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toward the balance of life and work. Accordingly, problems on the compatibility of work-family have been raised as many issues. This study seeks to focus on the perspective of job embeddednes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work-family conflict that is experienced by members in an organization. Especially, based on Ng & Feldman (2012)'s research, the study will observe the relationship of job embeddedness and work-family conflict from conservation perspective and develop a theoretical hypothesis. In other words, by conducting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job embeddedness turnover intention and work-family conflict, the study aims to examine career commitment, an individual’s attitude variable, 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work-family conflict If members are deeply embedded in an organization, their fit for job and organization will increase, a good link with colleagues will be formed, and a favorable environment will be created where they can perform their duties efficiently because of the sacrifices they will have to make by leaving the organization. Therefore, the study predicted that higher job embeddedness will decrease turnover intention and work-family conflict. Likewise, it is expected that members of higher career commitment will have less turnover intention and work-family conflict, and the study also predicted that higher career commitment will strengthen the negative relationship of job embeddedness, turnover intention, and work-family conflict To empirically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job embeddedness was measured in two methods.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ased on the original measure suggested by Mitchell, Holtom, Lee, Sablynski & Erez (2001), and an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global measure of Crossley, Bennett, Jex & Burnfield (2007) proposed later on. Job embeddedness was measured by two method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hich was analyzed and compared later. Study subjects were 5 affiliates of large Korean companies (distribution, financial industry, and advertising and promotion industries), and the data by 232 respon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at higher job embeddedn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is proved that employees with higher job embeddedness were deeply embedded into their organization, which can be a factor to decrease their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higher job embeddedn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work-family conflict.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work-family conflict was examined from conservation perspective, which indicated that individuals can invest more time and energy into not only their work but also family by conserving their time and energy, decreasing work-family conflict as a result. Lastly, the results showed that career commitment strengthen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work-family conflict. The study result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By identifying the cause that will make members stay in an organization in advance, the study proved that job embeddedness was a factor that can prevent turnover. Also, the study confirmed it was the first research in Korea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work-family conflict. However, there were some weaknesses to deeply examine work-family conflict because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d many unmarried or entry-level employee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reconstitute the study subjects to research work-family conflict in future studies. Finally, the results suggested a new direction for the research on job embeddedness by comparing and analyzing it through two measurement metho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절차 4 C. 논문의 구성 5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6 A. 직무배태성(job embeddedness) 6 1. 직무배태성의 정의 및 개념적 발전 6 2. 직무배태성의 하위차원 7 B.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 13 1. 이직 및 이직의도 13 2.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16 C. 직무배태성과 일-가정 갈등 19 1. 일-가정 갈등 19 2. 직무배태성과 일-가정 갈등 간의 관계 22 D. 경력몰입의 조절효과 26 1.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 27 2. 직무배태성과 일-가정 갈등 간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 28 E. 연구모형 30 Ⅲ. 연구조사 방법 31 A.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31 B. 설문지의 구성 35 C. 연구대상 및 자료의 수집 36 D. 자료분석 방법 37 Ⅳ. 연구 결과 38 A. 연구대상의 특성 38 B.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40 C. 가설검증 44 Ⅴ. 결론 및 논의 59 A. 연구결과 및 의의 59 B.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 61 참고문헌 64 부록. 설문지 70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52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 및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and Work-Family Conflict-
dc.format.pagev, 78 p.-
dc.contributor.examiner정명호-
dc.contributor.examiner안지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