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0 Download: 0

중국 조선어 기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 연구

Title
중국 조선어 기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eaching Korean Lexis for Korean Learners in China based on the Joseon Language : Focusing on analyzing Vocabulary of Textbook 『Joseoneomun』
Authors
WANG, DI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조선어 기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밝히고, 한국어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한다. 이는 한국어 언어 통일 대비와 한국어 표준화 실현의 차원에서 교육적 지원 및 방안 모색에 근간을 두고 있다. 2000년부터 한국어, 중국 조선어, 북한어의 언어 사용에 대한 합의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中國新聞社(중국신문사)’에서 2019년까지 출판할『한조사전』에 관한 기사가 나온 후에 언어상의 일치를 위한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중국 제6차 인구 조사 결과(2010)에 따르면, 중국 조선어를 모어로 쓰고 있는 조선족은 1,830,929명이다. 이 180여만 중국 조선어 사용자는 한국과 왕래를 하여 노동자로 근무할 가능성이 있으며 한국어 학습자가 될 수 있다. 언어 교육에는 발음, 문법, 어휘 등 여러 기능이 있지만 그 중 어휘에 대한 지식은 글을 이해하거나 언어를 사용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는 이런 점에 착안하여 중국 조선어 기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 조선족 중학교에 사용하고 있는 연변교육출판사의『조선어문』 교재의「어휘풀이집」에 수록된 어휘를 기본 자료로 선정하고 중국 조선어의 표기 양상을 밝히고 중국 연변인민출판사에서 출판한『조선말사전』과 한국 국립국어원에서 편집된『표준국어대사전』을 참조하여 분석하였다. 중국 조선어 기반 한국어 학습자들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실현하기 위해 한국어 어휘 교육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학습 영역이다. 그러므로 중국 조선족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조선어문』교재의 어휘집에 수록된 어휘를 정리하여 표기 양상의 특징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를 통해 중국 조선어의 기초적인 실력을 지닌 중국 조선어 기반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과 학습활동 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연구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 조선어의 표기규정의 변천을 밝혔다. 본고에서 중국 조선어의 표기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음법칙이다. 중국 조선어의 경우는 한자어가 음절마다 해당 한자음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는 조선어 맞춤법은 북한의 맞춤법에 따라 제정한 것이기 때문이다. 초성이 ‘ㄴ’, ‘ㄹ’인 한자음이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의 표기에서 차이가 난다. 한국에서는 현실 발음을 존중하여 ‘ㅇ’이나 ‘ㄴ’으로 표기하지만, 중국 조선어는 한자의 본음 ‘ㄴ’, ‘ㄹ’을 밝혀 표기한다. 둘째, 음소변화이다. 음소변화는 모음변화, 자음변화, 음소추가와 음소삭제 네 가지가 나타난다. 모음변화는 어휘 중에 어느 음절의 모음만 표기 차이가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자음변화는 어휘 중에 어느 음절의 자음만 표기 차이가 있는 것이다. 셋째, 음절변화이다. 음절변화는 어휘의 어느 음절에 표기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음소변화와 달리 한국어 어휘 표기 양상을 비교하면, 단순하게 어느 음소만 변화하는 것이 아니고 더 복잡한 변화로 어휘가 큰 변화가 나타나면 음절변화에 포함한다. 특히, 모음과 자음이 동시에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넷째, 사이시옷의 상이함이다. 한국어는 사이시옷을 표기하지만「조선말 맞춤법」에서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날 경우에도 다른 합성어들을 적을 때와 마찬가지로 본래의 형태를 밝혀 적을 뿐 사잇소리를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다섯째, 한자 표기의 상이함이다. 중국 조선어의 경우는 한자어를 음절마다 해당 한자음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는 조선어 맞춤법이 북한의 맞춤법에 따라 제정된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한국에서도 한때 맞춤법을 북한 맞춤법에 따르기는 하였지만 수차례 수정을 거쳐 현재 사용하고 있는『한글 맞춤법 해설』을 마련하였다. 여섯째, 외래어 표기의 상이함이다. 외래어의 경우 중국 조선어에 있는 외래어 인명, 지명을 중국어로 표기할 때 한자음대로 표기한다. 또한, 중국 조선어는 경음을 더 많이 쓴다. 이 특징들을 파악하여『조선어문』교재의 어휘집에 수록된 어휘 중에서 한국어와 비교할 만한 어휘를 선정하고 중국 조선어의 표기 양상을 분석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국 조선어 기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형태 구분 어휘 교수법’, ‘개념 활용 어휘 교수법’, ‘단락 다시 쓰기 어휘 교수법’과 ‘문화 인식 어휘 교수법’으로 세분화한 어휘 교육 방안의 개발을 기본 방향으로 제시하고 기존의 연구 원리를 바탕으로 어휘 교육 방안과 학습활동 모형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theoretical light on the concepts of the Korean language for Korean learners in China based on the Joseon language an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fluently communicate. It has its roots in establishing educational support and strategies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s and achieving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s. Since the year of 2000, there has been an emphasis on the need to establish an agreement on the language use of Korean, the Chinese Joseon language, and North Korean. In particular, after the publication of an article in the JoongAng Daily which addressed the news about the “Korean-Joseon Dictionary” to be published by 2019,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many aspects of the linguistic agreement. Also,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ixth census in China, there are 1,830,929 ethnic Korean-Chinese residing in China whose mother tongue is the Chinese Joseon language. These nearly 1.8 million speakers of the Chinese Joseon language can possibly go to South Korea to work and become learners of Korean. Among the many features of language education such as pronunciation, grammar and vocabulary, the knowledge of vocabulary is an essential factor in understanding written scripts or speaking the language. Motivated by this point, this study has developed a strategy for teaching Korean vocabularies to Korean learners in China who speak the Joseon language. For this purpose, we have selected vocabularies listed in “Vocabulary Explanation” in 『Joseoneomun』 published by Yanbien Education Press, a textbook used in Korean-Chinese middle schools in China. Then we have articulated the way that the Chinese Joseon language is transcribed, and analyzed them by consulting the “Joseon Language Dictionary” published by Yanbien Education Press in China, the “Small Dictionary of the Joseon Language” compiled by the Historical Linguistics Research Center in Yanbian Korean-Chinese autonomous prefecture, and the “Korean Standard Dictionary” edi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order to ensure that Joseon-language-based learners of Korean obtain the skills for smooth communication, education of Korean vocabularies is a learning area that must be completed in advance. Therefore, we have arranged vocabularies listed in the vocabulary book of the textbook 『Joseoneomun』 used in Korean-Chinese middle schools in China and analyzed them by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their Not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have proposed a teaching method and a learning activity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Joseon-language-based learners of Korean in China who have basic knowledge of the Chinese Joseon language. What follows are our findings regarding the main causes of vocabulary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the Joseon language in the historical aspect and analyzing the No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Joseon language. The first is the initial law.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Chinese Joseon language, Sino-Korean words are written with the corresponding sound of the Sino-Korean character for every syllable. This is because the spelling system of the Joseon language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spelling system of North Korean. The difference is found in writing words where a Sino-Korean character sound with the initial sound ‘ㄴ’ or ‘ㄹ’ is the beginning of the word. While such words are written with ‘ㅇ’ or ‘ㄴ’ in South Korea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pronunciation, the original Sino-Korean character sounds with ‘ㄴ’ and ‘ㄹ’ are written as they are in the Chinese Joseon language. The second is the phonemic change. The phonemic change includes vowel change, consonant change, phoneme addition, and phoneme ellipsis. The vowel change refers to cases where there is difference only in notating a vowel of a syllable in the word. Similarly, the consonant change occurs when there is difference only in notating a consonant of a syllable in the word. The phoneme addition refers to phenomena where a phoneme is added compared to the way vocabularies are transcribed in Korean. Conversely, the phoneme ellipsis refers to cases where a phoneme is omitted compared to the notation of Korean vocabularies. The third is the syllable change. The syllable change means that there is difference in notating a syllable in the word. As opposed to the phonemic change, the syllable change does not refer to cases where only a phoneme changes compared to the notation of Korean vocabularies, but includes cases in which there is a more complex change in the word notation. In particular, there are cases where both vowels and consonants are altered. The syllable change is categorized into three sorts of change: general syllable change, syllable addition, and syllable ellipsis. The fourth is the difference in writing the ‘inter-Siot’ While inter-Siots are transcribed in Korean, according to “Orthography of the Joseon Language”, inter-Siots are not separately transcribed and original forms of words are written in the same way that other compound words are transcribed even when the inter-Siot pronunciation occurs. The fifth is the difference in writing Sino-Korean words. In the case of the Chinese Joseon language, the principle is to transcribe each syllable of the Sino-Korean wor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ino-Korean character’s sound. This is because the spelling system of the Joseon language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spelling system of North Korean. On the other hand, though the spelling system of North Korean was previously followed in South Korea, the “General Rules of Hangeul Orthography” was completed after a few amendments and is currently used. The sixth is the difference in the way that loanwords are written. Personal names and place names that are loanwords in the Chinese Joseon language are transcribed with their Sino-Korean character sound when they are transcribed in Chinese. In addition, the Chinese Joseon language uses fortis sounds more frequently. By grasping these characteristics, from the vocabularies listed in the vocabulary book of the textbook 『Joseoneomun』, we have selected vocabularies that are comparable to Korean vocabularies and analyzed the No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Joseon languag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proposed a strategy for teaching Korean vocabularies to Joseon-language-based learners of Korean in China. The strategies for vocabulary teaching proposed include the ‘form-distinguishing method’, the ‘concept-utilizing method’, the ‘paragraph-rewriting method’, and the ‘culture-recogniz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se methods, in this study we have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such a vocabulary education strategy as the basic orientation, and proposed a vocabulary education strategy and learning activity model based on existing research princip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