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종목-
dc.contributor.author홍정희-
dc.creator홍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5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6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555-
dc.description.abstract끊임없는 과학의 진보와 발전, 문화·예술 전반의 향유 속에서도 인간은 필연적 불안을 내재하고 있어서, 불완전한 인간이 완전자인 신 (I AM WHO I AM)을 찾는 의식, 즉 신을 향한 묵상은 인간의 본질을 향한 자연스러운 의식이다. 본 연구자는 창작활동의 주된 관심사인 신에 대한 묵상을 한 단계 높여 묵상의 시각화를 연구하였다. 동양화에서는 묵상을 표현해내는 방법을 사의(寫意)라고 한다. 사의(寫意)는 뜻(意)을 그린다(寫)는 의미로 사의가 주제이고 화법은 사의를 표현하는 장치 역할을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인은 묵상을 주제로 하고 묵상을 표현하는 장치로써 ‘원’과 ‘빛’을 선택하였다. 그 이론적 배경으로는 ‘원의 상징성’과, ‘빛의 철학자 - 플로티노스’를 연구했다. 원은 신의 완전함에 비유되어 우주의 창조와 구조의 상징일 뿐만 아니라 일반종교에서는 명상에 이르는 길에 도움을 주어 영적 성장의 발판이 되기도 한다. 빛은 플로티노스의 예술론의 일자(一者)의 빛과 영혼의 빛으로 보았다. 일자는 만물의 원천으로 가장 완벽하고 근원적인 것의 실재이며, 그 일자에서 빛이 유출되어 만물을 비추고 일자의 빛에서 유출된 영혼의 빛은 감성계와 초감성계를 잇는 매개라고 주장하였으며 원을 일자와의 합일의 상징으로 보았다. 묵상이 어떤 생각이나 주제가 사람의 내면으로 들어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원이라는 조형언어와 빛의 이미지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체계화했다. 표현 방법적 연구로는 ‘묵상의 형태적 이미지’와 ‘빛의 묵상적 이미지’와 ‘묵상의 표현으로서의 수묵추상’으로 분류하여 연구했다. 묵상의 형태적 이미지로는 원과 기도하는 손을 구체적으로 고찰했고, 빛의 묵상적 이미지로는 홍운탁월(紅雲托月)의 기법을 사용했다. 그리고 화면 중앙을 비우고 작은 원에서 점진적으로 큰 원으로, 농묵에서 담묵으로, 원의 반복과 중첩을 통해 묵상의 정신적 파동을 중심에서 밖으로 퍼져나가게 하였고, 묵상의 표현으로서의 수묵추상에서는 원의 자유로운 변형과 수묵의 표현방법으로 파묵법과 발묵법으로 묵상의 빛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는 본인에게 인간 실존의 질문과 삶의 문제를 창작의 원동력으로 삼는데 도움이 되었다. 사유의 체계와 창작을 같은 선상으로 연결시키고 철학적 이론과 작품을 체계화 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인간을 향한 실존적 이해와 말씀의 묵상에서 오는 감동을 회화적 언어로 재구성하여서 동양화의 기본정신을 잇는 현대수묵화로서의 발판을 닦아 창작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In spite of constant development of science and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in general, the inevitable anxiety is internalized in human beings. In this sense, the ritual of investigating God (I AM WHO I AM) as the complete existence, in particular, the meditation for God is a natural conduct for the core of human beings. This study aims to represent the mediation for God, which is one of the major topics of creative expressions, as a visualization of meditation in a higher state. Therefore, this study starts from the visualization of meditation in the formative languag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ncludes the traditional symbolism of circle and the theory of light leakage of Plotinos. In the oriental painting, the way of expressing the meditation is called Sa-eui(寫意), which refers to ‘painting the thoughts’. Sa-eui is can be regarded as a root, and the language style acts as an embodying instrument for the root. Thus, this study selected ‘meditation’ as the root and selected ‘circle’ and ‘light’ as the instrument for the root. The completeness of circle resembles the creation and structure of universe which implicates the completeness of God. Also, it can be a foundation for spiritual growth to contribute to the way for mediation in general religions. Plotinos, the philosopher of light, considered an artist as a mediator to combine hyper-emotional world (transcendent world) and emotional world (the reality) and did not consider art as a duplication of nature. He also regarded ‘circle’ as a sign of the integration with ‘the one’(一者). Given that meditation refers to the influences of specific thought or theme into the inner side of a person, ‘the light of meditation’ can be expressed more efficiently through the formative language of circle and the images of light. The exploration for representation method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formative image of meditation’ and ‘the meditative image of light’ and ‘ink abstract painting as an expression of meditation’. For the formative images of the meditation, circles and praying-hands were utilized. For the meditative image of light, the technique of red cloud and hazy moon(紅雲托月) was utilized. Moreover, the light images of meditation can be effectively expressed by locating the emptiness in the painting and drawing the spiritual waves of the mediation spread from the core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petition and over-wrapping of circles. This study helped the author to apply the questions of human existence and life-related issues to the impetus for creation. In the process of systematizing the thoughts and works in continuum to link the frame of thought and produc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epare the foundation for modern ink paintings to succeed the basic spirit of the oriental painting and expand the scope of creation by reorganizing the inspirations from the ontological comprehension for human beings and the meditation as the pictorial langu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1 Ⅱ. 이론적 배경 4 A. 원의 상징성 4 1. 원의 전통적 상징들 5 2. 구 - 성부, 성자, 성령 6 B. 빛의 철학자 - 플로티노스 9 1. 빛의 종류 9 2. 빛의 유출설 13 C. 원과 빛을 주제로 한 작품들 16 Ⅲ. 표현 방법적 연구 20 A. 묵상의 형태적 이미지 20 1. 원 : 신성의 메타포 20 2. 기도하는 손 : 묵상의 메타포 21 B. 빛의 묵상적 이미지 23 1. 원의 반복을 통한 빛의 시각화 23 2. 한지를 통한 빛 이미지 28 C. 묵상의 표현으로의 수묵추상 29 Ⅳ. 작품분석 31 Ⅴ. 결론 69 참고문헌 71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745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원의 상징을 통한 묵상의 빛 이미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light image of meditation based on the symbolism of circle-
dc.format.pagex,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