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1 Download: 0

Sergei Prokofiev의 〈Piano Sonata No. 7〉에서 보이는 전통의 재구성

Title
Sergei Prokofiev의 〈Piano Sonata No. 7〉에서 보이는 전통의 재구성
Authors
나지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계명선

김은하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Piano Sonata No. 7, Op. 83 of Sergei Prokofiev (1891-1953), and the piece analysis redirects the interaction between "tradition" and "innovation," which was the major issue for 20th century Russian composers and also a regularly discussed issue in 19th century Russian music history. Many 20th century composers illustrated the union of "tradition" and "innovation" in their pieces, such as Dmitrii Shostakovich's (1906-1975) Piano Concerto No. 1 (1933), Paul Hindemith 's (1895-1963) song cycle Das Marienleben (1926) and symphony Mathis der Maler (1938), and Igor Stravinsky's (1882-1971) Piano Sonata (1924) and Capriccio Sonata for Two Pianos and Orchestra (1944). In particular, Prokofiev's Piano Sonata No. 7 (1942) is noteworthy for its successful attempt in blending modern and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surface in 1939, easy music for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was required in the Soviet Union due to Social Realism and its goals of revolution. While intensive regulation of arts was strictly enforced, World War II brought significant freedom in creativity for Soviet composers due to relaxed control compared to before the war. Prokofiev's Piano Sonata No. 7 was composed during this period, which is considered one of his representative works in his late period. It is regarded a great piece due to its clear subject, neoclassical trend, and comprehensibleness. Although it did not follow traditional tonality, its essential characteristics include continuation of tonal center through tonic, triad harmony chord, simple rhythm and phrase, and cadency. The motif development found in Ludwig van Beethoven's (1770-1827) composition technique leads the entire piece, displaying a close organic relationship. By citing the subject melody and incorporating the projected lyrics from "Wehmuth," a song from Robert Alexander Schumann's (1810-1856) song cycle Liederkreis, op. 39, Prokofiev expressed his inner mind metaphorically and highlighted lyricism even more. Prokofiev presented his unique modern character by applying innovative harmony, dynamics, and strong expressiveness with meter change, ostinato, and jazz components. This thesis focuses on Prokofiev's compositional technique, musical citation, and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innovation by analyzing Prokofiev's Piano Sonata No. 7, which was composed during the period when Social Realism and WWII were coexistent. Further, it also highlights Prokofiev's thematic change and development throughout the piece.;이 논문은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Sergei Prokofiev, 1891-1953)의『피아노 소나타 제 7번(Piano Sonata no. 7, op. 83)』에 관한 연구로서, 작품의 분석을 통해 19세기 러시아 음악사에 자연스럽게 대두되고 20세기에 활동한 러시아 작곡가에게 주요 화두였던 ‘전통’과 ‘혁신’의 상호작용을 재조명한다. 쇼스타코비치(Dmitrii Shostakovich, 1906-1975)의 『피아노 콘체르토 제 1번(Piano concerto No. 1』(1933), 힌데미트(Paul Hindemith, 1895-1963)의 가곡집『마리아의 생애(Das Marienleben』(1926), 교향곡『화가 마티스(Mathias der Maler』(1938),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의 『피아노 소나타(Piano sonata』(1924)와『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카프리치오(Capriccio Sonata for two pianos and Orchestra』(1944)등 20세기의 많은 작곡가들이 작품에서 ‘전통’과 ‘혁신’의 결합을 제시하였고 그들 중, 프로코피에프의 『피아노 소나타 제 7번(Piano Sonata no. 7)』(1942)은 현대적인 것과 전통적인 것을 융합시킨 성공적인 시도로서 고유의 특별함을 갖는다. 『피아노 소나타 제 7번(Piano Sonata no. 7)』이 작곡되기 시작한 1939년은 표면적으로‘사회주의 리얼리즘(Social Realism)’이라는 기치아래 혁명과 당의 목표를 위하여 대중들이 즉시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음악이 요구되고, 예술에 대한 통제가 엄격하게 이루어졌지만 러시아의 사회, 문화적 삶을 급격히 변화시킨 세계 제 2차 대전이 일어난 후 전쟁기간동안 전쟁발발 이전에 비해 오히려 당의 예술정책이 느슨해지면서 소련 작곡가들의 자유와 창조력이 왕성해지는 시기이기도 하였다. 이런 사회적 배경 속에 작곡된 프로코피에프의 후기 소나타들 중 대표적인 작품『피아노 소나타 제 7번(Piano Sonata no. 7)』은 뚜렷한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고, 이해하기 쉬우면서 신고전적 경향으로 쓰여 진 곡으로 완성도가 높다. 전통적인 화성을 취하지 않았지만, 중심 음을 통해 조성적 중심을 지속시키며, 3화음적 화성 구조, 단순한 리듬과 프레이즈 구성, 그리고 종지의 성격을 가지는 가운데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작곡기법에서 나타나는 모티브 전개가 곡 전체를 이끌어가며, 서로 유기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연가곡집 『리더크라이스(Liderkreis), op. 39』중 <비애 ‘Wehmuth' >의 주제선율의 인용과 투영된 가사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서정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프로코피에프는 또한 악곡에 혁신적인 화성 및 박의 변화를 통한 다이나믹과 강력한 표현력, 집요한 오스티나토, 재즈(jazz)적인 요소 등을 적용하여 그 특유의 현대적 어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사회주의 리얼리즘(Social realism)’과 ‘세계 제 2차 대전’이 공존하는 시기에 작곡된 『피아노 소나타 제 7번』을 통해 프로코피에프가 어떤 방식으로 전통양식을 활용하면서 주제의 변화 및 발전을 곡 전체에 걸쳐 유기적으로 구축해 가는지 그의 작곡방식 및 순환기법의 차원, 음악적‘인용’에 대해 언급하고, 프로코피에프에게서 발견되는 전통의 재구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