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소현-
dc.contributor.author이지수-
dc.creator이지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8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869-
dc.description.abstract자폐 범주성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최근 출현율이 급증하면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들의 독특한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지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은 시각적 정보 처리에 강점을 보이나 어떤 일을 계획하고 조직화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인다. 또한 낮은 학습 동기와 주의 집중의 어려움으로 인해 과제를 완수하거나 독립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의 원만한 학업 생활을 유지를 위해 장애의 독특한 특성을 고려한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이 가진 특별한 흥미 및 관심 영역은 SIA(special interest area)로 지칭되면서,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모든 영역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이는 SIA가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동기를 유발시키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이를 교수적 지원의 매개 요소로 활용할 경우 학업 및 발달적 성취와 사회적 능력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외부의 도움 없이 독립적이고 자립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관리하는 것임을 감안할 때,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이 중재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의 행동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들이 스스로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개발시키는 자기관리 전략에, 동기 유발을 통해 행동을 습득시키고 이를 일반화 및 유지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SIA를 활용하는 것은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 연령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에게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 이들의 과제 수행 행동 및 독립적 과제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 3명을 대상으로 대상학생의 특수학급 교실에서 개별 과제 수행 시간에 실시되었다. 먼저 사전 관찰과 담당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대상학생의 개별적인 SIA를 선정하고, 소속된 학급의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이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지시나 촉진에 의존하는 과제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관리 전략 중 자기점검과 자기평가, 자기강화를 사용하였고 대상학생은 자기점검 기록지를 통해 각 목표행동을 수행하고 스스로 수행 여부를 점검하여 그 결과를 자기평가 기록지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과제 수행 행동은 부분 간격 기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독립적 과제 성취는 그들이 수행한 과제 활동지를 바탕으로 채점기준에 따라 측정되었다. 중재 효과가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중재가 종료된 9주 후에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유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 모두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 중재를 통해 과제 수행 행동이 증진되었다. 둘째,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 중재를 통해 증진된 과제 수행 행동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두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에게서 유지되었다. 셋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 모두 SIA를 활용한 자기 관리 전략 중재를 통해 독립적 과제 성취율이 증진되었다. 넷째,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 중재를 통해 증진된 독립적 과제 성취율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두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에게서 유지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은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에게 적용하였을 때, 과제 수행 행동과 독립적 과제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 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SIA를 학업 기술 향상을 위해 사용함으로써, 향후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SIA 활용의 필요성 및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자기관리 전략 구성에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SIA를 개별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자기관리 전략과 차별화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동기와 주의 집중을 유발시켜 독립적인 과제 수행을 촉진하는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을 학교라는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실행함으로써, 추후 이들이 통합될 환경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는데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applying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IA to middle school aged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s on on-task behavior and independent task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or thi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ree autism spectrum disorder students attending a special class of a middle school in Seoul while they were working independently in their special classroom. First of all, the target students' individual SIAs were selected through pre-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special instructor in charge. In addition, the tasks student could perform independently within the curriculum of the class they belong but they usually depend on instructors or facilitators in was organized. Self-management in this study included self-monitoring, self-evaluation and self-reinforcement. Th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required to perform the target behavior, then check whether they had accomplished mentioned behavior or not, through self-monitoring sheets, and finally record the results on self-evaluation forms. This study used a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with three participants to check the effect of intervention. The on-task behavior was measured by using partial interval recording and independent task achievement was measured through the worksheets they had worked on based on a scoring criteria. To examine whether the intervention effect was maintained, the maintenance itself was measured again 9 weeks after terminatio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baseline. The key finding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n-task behavior of all three autism spectrum disorder students improv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IA. Second, on-task behavior improved through the self-management strategy instruction using SIA was maintained for two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fter the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ird, the independent-working achievement of all three autistic students was improv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IA. Fourth, independent-working achievement improved through the self-management strategy instruction using SIA was maintained for two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IA has a positive effect on task performance behavior as well as independent-working achievement and the effects can be maintained when applied t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is study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on self-management strategies in that it used each student's SIAs to organize its self-management strategy. Moreover, it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proposed the necessity and directions of using SIA in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the future by using SIA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with autism. Lastly, this study proves that the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IA which promotes independent-working by inducing interest and attention can be useful in the future where they will be combined into general education cla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학업 특성 8 1. 정보 처리 특성 9 2. 학업적 과제 수행 특성 11 B.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 전략 13 1. 특별한 관심 및 흥미 영역을 활용한 전략 13 2. 자기 관리 전략 18 3.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의 적용 26 Ⅲ. 연구 방법 28 A. 연구 참여자 28 B. 실험 기간 31 C. 실험 환경 31 D. 실험 설계 및 조건 33 E. 관찰 및 측정 39 F. 관찰자간 신뢰도 42 G. 사회적 타당도 44 Ⅳ. 연구 결과 46 A.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이 과제 수행 행동의 습득 및 유지에 미치는 영향 45 B.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이 독립적 과제 성취 및 유지에 미치는 영향 50 Ⅴ. 논의 및 제언 56 A. 논의 56 B. 연구의 제한점 62 C. 제언 63 참고문헌 65 부록 78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6793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실행된 SIA를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및 독립적 과제 성취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Self-management strategy using SIA on On-task behavior and Independent task achievem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urism spectrum disorders in Special classes-
dc.format.pagevii,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