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0 Download: 0

안현정 편곡 ‘양금과 25현 가야금 두 대를 위한 <대지의 노래Ⅱ>’분석

Title
안현정 편곡 ‘양금과 25현 가야금 두 대를 위한 <대지의 노래Ⅱ>’분석
Authors
이향묵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재숙
Abstract
본 논문은 이성천의 ‘21현 가야금 독주곡 제 61번 <대지의 노래>’와 이를 편곡한 안현정의 ‘양금과 두 대의 25현 가야금을 위한 <대지의 노래Ⅱ>’의 작품 해설과 악곡구조를 살펴본 후, 각 악기의 조현법과 연주법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율의 변화를 중심으로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악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1악장: 1월- 생명의 땅’의 악곡구조는 󰆲 – 연결구 – 󰆳 - 연결구 - 󰆲′ – 종지구로 나뉘어 두 곡이 동일하였다. 선율의 경우, <대지의 노래>에서 주선율이 발전하는 것을 <대지의 노래Ⅱ>는 대선율을 통해 리듬을 확대하고 음정을 추가하여 화성 요소를 보강하거나 주선율을 한 옥타브 차이로 unison하여 음역대를 확장하여 강조하였다. 리듬의 경우, <대지의 노래>가 글리산도를 진행하는 반면, <대지의 노래Ⅱ>에서는 글리산도를 정박리듬과 분할리듬으로 표현하여 중심음을 강조하였다. 화음의 경우, <대지의 노래>는 오스티나토를 통해 syncopation 리듬형을 나타내고, <대지의 노래Ⅱ>에서는 화음을 추가하여 이러한 리듬형을 강조하였다. 둘째, ‘2악장: 5월- 새 생명’의 악곡구조는 󰆲 - 󰆳 - 연결구 - 󰆴도입부 - 󰆴로 나뉘며 두 곡이 동일하였다. 선율의 경우, <대지의 노래>는 주선율이 발전하여 진행하는데, <대지의 노래Ⅱ>는 가야금 1, 2가 옥타브 간격으로 unison하여 선율 진행의 변화를 강조하거나 전 단락에서 등장하지 않던 파트를 추가하여 선율의 발전을 강조하였다. 리듬의 경우, <대지의 노래>는 셋잇단음표와 비확정음군를 대비하여 제시하는데, <대지의 노래Ⅱ>는 음형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각 악기별로 진행하였다. 화음의 경우, <대지의 노래>는 단선율로 진행되는 부분을 <대지의 노래Ⅱ>는 파트를 추가하여 중심음을 5도 위에서 동시에 진행하여 화성요소를 보강하였다. 셋째, '3악장: 7월- 생명의 소리'의 악곡구조는 󰆲 - 연결구 - 󰆳 - 󰆲′- 󰆴 - 󰆲″로 나뉘며 두 곡이 동일하였다. 선율의 경우, <대지의 노래>는 주선율을 트레몰로로 진행하며 분할리듬이 주선율을 뒷받침하는데, <대지의 노래Ⅱ>는 파트를 나누어 진행하며 트레몰로를 옥타브 차이로 unison하여 강조하여 음역대의 확장을 보여주었다. 리듬의 경우, <대지의 노래>의 도입부에서 헤미올라가 나타나는 부분을, <대지의 노래Ⅱ>는 파트를 분리하여 진행함으로써 리듬적 유연성을 보여주려 한 원곡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나타내었다. 화음의 경우, <대지의 노래>는 주선율과 오스티나토의 진행을 보였는데, <대지의 노래Ⅱ>에서는 저음부에서 화음을 추가하여 화성 요소를 보강하였다. 넷째, '4악장: 11월- 대지의 노래'의 악곡구조는 󰆲 (Ⓐ-a, 연결구, Ⓐ-b) - 연결구 - 󰆳 - 󰆴 - Ⓐ-b′- 종지구로 나뉘며 두 곡이 동일하였다. 선율의 경우, <대지의 노래>의 주선율이 다성부적 독주형태로 진행하는데, <대지의 노래Ⅱ>는 원곡에는 없는 연속적인 음형을 추가하여 선율을 보강하며 진행감을 주었다. 리듬의 경우, <대지의 노래>와 <대지의 노래Ⅱ>의 리듬형을 동일하게 진행함으로써 원곡의 형태를 유지하였다. 화음의 경우, <대지의 노래>는 아래 성부에서 화음을 제시하는데, <대지의 노래Ⅱ>는 4도 화음을 추가하여 화성요소를 보강하였다. 필자는 <대지의 노래Ⅱ>는 편곡을 통해서 원곡의 느낌을 최대한 유지하였고, 21현 가야금 한 대에서 양금과 25현 가야금 두 대로 악기 편성을 확대하여 서로 다른 악기간의 어울림을 모색한 작품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원곡을 기반으로 창작된 작품을 해석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연주자에게 곡의 이해도를 높이고 실제 연주에 이바지되길 바란다.;This study examined music structure of and interpretation on 21-string Gayageum solo, No., 6 composed by Lee Seong-Cheon and for Yanggeum and two 25-string Gayageums arranged by An Hyeon-Jeong, identifying the tuning and execution of each instrument.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a change of the melody shows research findings by movement as follows. Firstly, as for music structure of 'the 1st Movement: January-Land of Life', it is divided into 󰆲 – connecting phrase – 󰆳 - connecting phrase - 󰆲′ – coda and identical to each other in both pieces. As for the melody, in , main melody is developed, and in , rhythm is expanded through the main melody and harmonical elements are reinforced through adding intervals. Also, compass is expanded and emphasized through unison of the main melody with difference of an octave. As for rhythm, shows a glissando motion while a central tone is emphasized through expressing the glissando into original rhythms and divisive rhythms in . Besides, as for chord, shows a syncopation rhythm by ostinato and such a rhythmic pattern comes to be emphasized by adding a chord in . Secondly, as for music structure of 'the 2nd Movement: May-A New Life', it is divided into 󰆲 - 󰆳 - connecting phrase - 󰆴intro - 󰆴 and identical to each other in both pieces. As for the melody, in , main melody is developed, and in , a change of the melody motion is underlined through unison of the Gayageum 1, 2 in an octave interval or a development of the melody is emphasized through adding a part not appeared from the previous paragraph. As for the rhythm, triplet and a non-fixed tone group are suggested through contrast in but motioned by instrument based on a figure in . As for the chord, a part of monophony in comes to be motioned simultaneously with a central tone above 5 degree through adding a part to strengthen harmonical elements in . Thirdly, as for music structure of the 3rd Movement: July-Sound of Life', it is divided into 󰆲 - connecting phrase - 󰆳 - 󰆲′- 󰆴 - 󰆲 and identical to each other in both pieces. As for the melody, main melody is motioned with tremolo and divisive rhythm supports the main melody in . In . part is divided with unison of tremolo with an octave difference, showing expansion of compass. As for the rhythm, part with hemiola in the intro of is motioned with part separated in , showing effectively the intention of the original on the flexibility of rhythm. As for the chord, reveals the motion of the main melody and ostinato while enhances harmonic elements through adding a chord at the bass. Fourthly, as for music structure of the 4th Movement: November-Song of the Earth', it is divided into 󰆲 (Ⓐ-a, connecting phrase, Ⓐ-b) - connecting phrase - 󰆳 - 󰆴 - Ⓐ-b′- coda and identical to each other in both pieces. As for the melody, in . main melody is motioned as polyphonic solo while in continual figures are added, which may not be seen from the original, strengthening the melody and giving a feeling of motion. As for the rhythm, a rhythmic pattern of and that of are motioned identically, aiming to maintain the pattern of the original. Besides, as for the chord, presents the chord at the lower part and reinforces harmonic elements through adding the quartal harmony. In conclusion, is the work pursuing to achieve the harmony among different musical instruments by preserving a feeling of the original to the most through the arrangement and expanding instrumental organization from one Gayageums to Yanggeum and two 25-string Gayageum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give aid to interpreting a creative work based on the original and contribute to increasing understanding of a piece for actual performance of a play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