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대석-
dc.contributor.author황의정-
dc.creator황의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5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53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non-socialist deeds of social members and the legal prescriptions by the state that define such deeds as crimes in North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premise that there exis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erous legislations and revisions of laws and regulations promoted by North Korean authorities from 2004 to 2012 and social changes that occurred during the period. The intent of this study was to reverse the existing viewpoint in the study of laws of North Korea that considers them to be merely nominal or dead. In the early 2000s,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North Korean laws, particularly in criminal law and laws relevant to public order and administrative punishment, which are the means for controlling deviations and crim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w and the society of North Korea by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non-socialist deeds of members of North Korean society, which amount to social deviations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 the social changes happening in North Korea, and the relevant laws, the means of controlling them. For this purpose, ‘non-socialist deeds‘ and ‘crime-definition(criminalization)‘ were used as conceptual tools in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background, development, and content of the criminalization of non-socialist deeds. Based on the results,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criminalization of non-socialist deeds were determined; criminalization of non-socialist deeds was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rrelation between law and society; and future North Korean policies concerning criminalization were predicted. At first, the spread of non-socialist deeds and the background of their criminalization were examined in the social context of economic crisis and laxity in government control. Viewed from the context of economic crisis, non-socialist deeds were spread throughout North Korean society under the influence of multiple factors, including the collapse of the food ration system, development of black markets, conflicts between social norms and survival strategies, collision between outside cultures and socialist values, rampant corruption and illegalities of bureaucrats, etc. Viewed from the context of the laxity of control, non-socialist deeds were generated and spread all over the society due to the collapse of such material controlling systems as the national ration system. The collapse of material control systems led to the laxity in organizational and ideological control systems. To cope with such conditions, North Korean authorities strengthened the physical means of repression systems to regulate non-socialist deeds. But with the weakened governing power, they failed to take significant effect. The Kim Jong-il regime, which began after the ’arduous march’, started to rearrange national control systems. Organizational and ideological controls over social members were strengthened with the ‘theory of the construction of a prosperous and powerful nation’, and ‘military-first politics and ideology’, etc. The regime also urged the eradication of non-socialist phenomena with this theory of constructing a prosperous and powerful nation. However, such an attempt at ideological control could not be internalized among North Koreans who had gone through changes in values, including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n authorities made adjustments to the food ration system, too, matching the prices of grain set by the government with those in the market and legalizing markets and trade activities. Marketing activities of individuals, institutions, enterprises, organizations, etc. were possible only under government approval. They tried a normalization of the food ration system but failed due to insufficient conditions. Most of North Korean residents still had to gain their subsistence through such non-socialists ways as illegal trade. Even after entering the 2000s, as ideological and materialistic control systems continued to fail in taking effect, North Korean authorities made a different approach, applying a significant change to the legal control system. They started to apply punishments of impact based on the legislation that had ‘expanded penal provisions’, prescribing all kinds of non-socialist deeds as crimes and illegal acts. Next, the development process of criminalization was considered on the level of legal ideology and theory, and the level of a practical methodology. On the level of legal ideology and theory, North Korean authorities developed criminalization employing the legal ideology, theory, and logic of legal justification, which are based on North Korean-type socialism, including the theory of the duty to live abiding by socialist legislation, and the ideology and theory of constructing a law-governed state. On the practical methodology level, they insisted on the validity of the project of adjusting socialist legislation and secured justification for exercising regulatory control in the way of persuading members of the society by launching publications containing relevant laws and press coverage. They also adopted the method of publishing public law books, a way of opening legal documents to the public. On this foundation, national criminalization that defines non-socialist deeds as crimes under criminal law and illegal acts under laws concerning administrative punishment. Finally, with a view to look into the content of criminalization, provisions concerning crimes and illegal acts under criminal law and laws relevant to public order and administrative punishment, the means of controlling non-socialist deeds, were analyzed. The analysis was made, focusing on extracting the provisions concerning such crimes and illegal acts that are non-socialist deeds in nature. The results of analyzing criminal law by time of revision showed that, among the sectors of violation, including defense, economy, culture, administration, cohabitation, life, property, ect., a considerable number of criminal provisions in the sectors of economy, culture and cohabitation were about non-socialist types of deeds in the criminal law of 2004. A notable manifestation was in the sector of economy, where 45% of criminal provisions were covering non-socialist deed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aws relevant to administrative punishment by time of revision, like the case of criminal law of 2004, showed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provisions concerning illegal acts in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sectors in the laws of 2004 relevant to administrative punishment were handling deeds of the non-socialist type. The types of non-socialist deeds revealed in the provisions concerning illegal acts in the economic sector, in particular, were almost identical with those revealed in criminal provisions under criminal law. Analysis of additional rules of criminal law revealed the type of non-socialist deeds related to market control, which started in earnest in 2007. Analysis of the People’s Safety Control Act revealed the type of non-socialist deeds in the provisions concerning illegal acts under the People’s Safety Control Act of 2005 and 1999 (Social Safety Control Act), which did not appear in criminal law and laws relevant to administrative punish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ade of criminal provisions thus far,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criminalization of non-socialist deed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in the aspects of socialist structure, offenders, and effectiveness of criminal provisions. First, in the aspect of socialist structure, criminalization displayed the characteristic of appearing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s in the socialist system of North Korea. When the socialist system and principles declared in the socialist constitution of North Korea are regarded as socialist structure, the types of non-socialist deeds revealed in the provisions concerning crimes and illegal acts under criminal law and laws concerning administrative punishment constitute the examples that reveal the degree of cracks in the North Korean socialist system. Second, in the aspect of offenders, criminalization could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ubjects of criminal acts revealed in criminal provisions, which are the class of officials, class of experts, class of rising tradespeople, class of laborers, etc, and the types of crimes by class were clearly identified. Last, in the aspect of effectiveness of criminal provisions, criminalization displayed the characteristics of damaging legal stability and of ineffectiveness in control. The criminalization of North Korea procee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non-socialist deeds, which sometimes contribute to the system under specific social realities and conditions as well as become criminalized for social necessity, are decriminalized. As manifested here, criminalization carries the duality of ‘choice’ and ‘exclusion.’ In conclusion, the progress in criminalization, a means of strengthening the control over activities, was made with the generation of non-socialist deeds caused by such economic crises as food shortage in the 1990s and ineffectiveness of the activity control mechanism of North Korean authorities. In actuality, changes in market, the core of social changes in North Korea, brought about the spread of non-socialist deeds, and the ineffectiveness of existing control system eventually led to criminalization, a legal control system. From the above described results of the study, future policies of legal control in the Kim Jon-un era can be forecast as follows. It is a high probability that North Korean authorities will display repetitive acts of legal prescriptions where non-socialist deeds of members of the society are criminalized and then decriminalized dependent upon the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and convenience. If this duality persists, legal stability or effectiveness in legal control in the north seem very hard to accomplish. The legal control of North Korea is expected to stray from its original aim of ‘restricting’ the transition of its system and instead bring about the effect of ‘accelerating’ it.;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 사회구성원의 비사회주의적 행위(non-socialist behaviour)와 이를 범죄화한 국가의 법적 규정(legal definition)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2004년부터 2012년 사이 북한당국이 활발히 추진한 법률 제·개정과 사회변화 간 상호 연관성이 있다는 전제 하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는 북한의 법에 대해 형식적이거나 명목적인 또는 죽은 법으로 평가하는 기존 연구시각을 뒤집고자 시작한 연구였다. 2000년대 초 북한법률 가운데 특히 일탈과 범죄의 통제수단인 형법 및 치안·행정처벌법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에 이 연구는 북한의 사회변화를 대표하는 구성원의 사회적 일탈행위인 비사회주의적 행위와 이의 통제수단인 이들 법률의 상관관계를 보여줌으로써 북한에서 법과 사회가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비사회주의적 행위’와 ‘범죄규정화’ 용어를 개념적 도구로 사용하여 비사회주의적 행위에 대한 범죄규정화 배경, 전개, 내용분석 등 세 가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비사회주의적 행위에 대한 범죄규정화의 특징과 의미를 해석하였고 범죄규정화에 대해 법과 사회 간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평가하였으며 향후 북한당국의 범죄규정화 정책을 예측하였다. 우선, 비사회주의적 행위 확산과 범죄규정화 배경을 경제위기와 국가적 통제이완이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고찰하였다. 경제위기의 맥락에서 볼 때, 비사회주의적 행위는 식량배급체계 붕괴와 암시장의 발달, 사회규범과 생존전략의 충돌, 외부문화와 사회주의가치관의 충돌, 관료부정부패의 기승 등 복합적 요인 속에서 북한사회 전체로 퍼져나갔다. 통제이완의 맥락에서 볼 때, 비사회주의적 행위는 국가배급제 등 물질적 통제체계의 와해로부터 기인하여 발생하였고 사회전체로 퍼져나갔다. 물질적 통제체계 와해는 조직적·사상적 통제체계 이완으로 연결되었다. 이에 북한당국은 비사회주의적 행위를 통제하기 위해 물리적 억압체계를 강화하였지만 통치능력의 약화로 물리적 억압방식은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고난의 행군’이후 등장한 김정일정권은 국가통제체계를 재정비하기 시작하였다. ‘강성대국건설론’과 ‘선군정치-선군사상’ 등으로 구성원에 대한 조직적·사상적 통제를 더욱 강화하였다. 또한 강성대국건설 논리를 펴 비사회주의 현상 척결을 촉구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사상적 통제는 개인주의, 물질주의 등 가치관 변화를 겪은 북한주민들을 내면화시키지 못하였다. 한편 북한당국은 식량배급체계에도 변화를 주어 곡물 국정가격을 시장가격에 가깝게 현실화하고 시장(활동)을 합법화하였다. 개인, 기관, 기업소, 단체 등의 장사활동은 국가승인 하에서만 가능하였다. 식량배급제 정상화를 시도했으나 여건 부족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북한주민들은 대부분 여전히 불법 장사활동 등 비사회주의적 방법으로 생계를 유지해야 했다. 2000년대 와서도 사상적·물질적 통제체계가 여전히 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자 북한당국은 과거와 달리 법적 통제체계에 상당한 변화를 주었다. 각종 비사회주의적 행위를 범죄 및 위법행위로 규정하는 등 ‘범죄규정(crime-provisions) 확대’를 통해 법에 근거한 강도 있는 처벌을 가하기 시작하였다. 다음으로, 범죄규정화 전개과정을 법사상·이론적 차원 및 실질적 방식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법사상·이론적 차원에서, 북한당국은 선군시대 사회주의법무생활론, 사회주의법치국가건설사상 및 사회주의법치국가건설론 등 북한식 사회주의 법사상·이론 및 법적 정당성 논리로 범죄규정화를 전개하였다. 다음으로 실질적 방식 차원에서, 법관련 출판보도물을 창간하여 사회구성원을 설득하는 방식으로 사회주의법제정비사업의 당위성을 주장하며 규범적 통제력 행사의 정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법문건을 대중에 공개하는 방식인 대중용 법전을 발간하는 방식도 취하였다. 이를 토대로 비사회주의적 행위를 형법상 범죄와 행정처벌법상 위법행위로 규정하는, 국가적 범죄규정화(crime-definition)작업을 추진한 것이다. 끝으로, 범죄규정화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비사회주의적 행위의 통제수단인 형법 및 치안·행정처벌법상 범죄·위법행위규정을 분석하였다. 비사회주의적 성격을 띤 범죄·위법행위규정을 추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개정시기별 형법 분석결과, 2004년 형법상 국방, 경제, 문화, 행정, 공동생활, 생명·재산 등의 6개 침해부문 중 경제, 문화, 공동생활 부문의 범죄규정 상당수가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에 해당하였다. 특히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은 전체 부문 중 45%를 차지하는 경제부문에서 주로 나타났다. 개정시기별 행정처벌법 분석결과, 2004년 행정처벌법은 2004년 형법과 마찬가지로 경제, 문화, 공동생활 부문의 위법행위규정 상당수가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에 해당하였다. 특히 경제부문의 위법행위규정에 나타난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은 형법상 범죄규정에 나타난 것과 거의 일치하였다. 형법부칙 분석결과, 2007년부터 본격화된 시장통제와 관련한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이 나타났다. 인민보안단속법 분석결과, 1999(구 사회안전단속법)년과 2005년의 인민보안단속법상 위법행위규정에서 형법과 행정처벌법에 나타나지 않은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을 발견하였다. 이상 범죄규정 분석결과, 비사회주의적 행위에 대한 범죄규정화의 특징과 의미를 사회주의구조 측면, 범죄행위자 측면, 범죄규정 유효성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었다. 첫째, 사회주의구조 측면에서 범죄규정화는 북한 사회주의체제 변화와 연동하여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북한 사회주의헌법에서 선언하고 있는 사회주의제도와 원칙을 사회주의구조라고 볼 때, 형법 및 행정처벌법상 범죄·위법행위규정에서 나타난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은 결국 북한 사회주의체제 균열 정도를 보여주는 실례에 해당하였다. 둘째, 범죄행위자 측면에서 범죄규정화는 범죄규정상 드러나는 범죄행위의 주체를 간부계층, 전문지식인계층, 신흥상인계층, 노동계층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고 이에 따른 각 계층별 범죄유형이 뚜렷이 나타났다. 셋째, 범죄규정 유효성 측면에서 범죄규정화는 법적 안정성 훼손과 통제의 비효과성을 드러내는 특징을 보였다. 북한당국의 범죄정의(crime-definition)행위는 사회적 현실과 조건에 따라 체제에 기여하거나 사회적 필요에 의해 범죄화한 비사회주의적 행위를 비범죄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렇듯 범죄규정화는 국가의 ‘선택’과 ‘배제’라는 이중성을 띠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2000년대 행위통제 강화수단인 범죄규정화의 진전은 1990년대 식량난 등 경제위기에서 비롯한 비사회주의적 행위 발생과 북한당국의 행위통제기제의 비효과성으로 인해 이루어졌다. 사실상 북한사회변화의 핵심인 시장변화가 비사회주의적 행위 확산을 초래하였으며 이를 막기 위해 강구된 기존 통제체계의 비효과성으로 인해 결국 법적 통제체계인 범죄규정화로 나아가게 된 것이다. 이상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김정은시대 법적 통제정책을 다음과 같이 전망할 수 있다. 북한당국이 사회적 조건변화와 편의에 따라 구성원의 비사회주의적 행위를 범죄화하다가 비범죄화하는 법적 규정행위를 반복적으로 보여줄 확률이 높다. 이러한 이중성이 지속된다면 북한에서 법적 안정성이나 법적 통제의 효과성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법적 통제정책은 체제변화를 ‘제약’하려는 통제목적에서 벗어나 오히려 ‘촉진’하는 상황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기존 연구의 검토 4 C. 연구의 대상과 범위 12 D. 연구의 방법과 자료 13 1. 연구의 방법 13 2. 연구의 자료 14 E. 논문의 구성 16 II. 이론적 논의와 북한사례 적용 17 A. 범죄이론과 형법적 통제이론 17 1. 사회학적 관점의 일탈과 범죄 개념 17 2. 사회학적 관점의 일탈과 범죄 원인 23 3. 형법적 통제이론과 범죄규정화 27 B. 법과 사회의 상호관계: 법사회학적 접근 32 C. 용어의 정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와 범죄규정화 35 III. 비사회주의적 행위에 대한 범죄규정화 배경 39 A. 경제위기와 비사회주의적 행위의 심화확산 39 1. 배급체계 붕괴와 암시장 발달 39 2. 사회규범과 생존전략의 충돌 45 3. 외부문화와 가치관의 충돌 48 4. 관료부정부패의 기승 50 B. 통제이완과 비사회주의적 행위의 범죄규정화 54 1. 국가적 통제체계의 이완 54 2. 국가적 통제체계의 재정비 60 Ⅳ. 비사회주의적 행위에 대한 범죄규정화 전개 69 A. 사회주의법무생활론 구축, 강화 및 변형 70 1. 사회주의법무생활론의 구축과 강화 72 2. 1990년대 사회주의법무생활론의 한계 77 3. 2000년대 사회주의법무생활론의 변형 78 B. 사회주의법치국가건설론 출현과 범죄규정화 84 1. 법관련 출판보도물 창간과 법문건의 대중화 84 2. 사회주의법치국가건설론의 출현 88 3. 법제개정을 통한 범죄규정화 추진 91 C. 범죄규정 집행기관의 기능 강화 94 1. 안전보위기관의 직무와 기능 강화 96 2. 검찰기관의 직무와 기능 강화 98 3. 인민보안기관의 직무와 기능 강화 100 V. 비사회주의적 행위에 대한 범죄규정화 내용 106 A. 북한법상 범죄규정의 의미와 기능 107 B. 비사회주의적 행위의 법위반행위유형과 처벌형태 111 1. 비사회주의적 행위의 법위반행위유형 111 2. 비사회주의적 행위에 대한 처벌형태 120 C. 형법상 비사회주의적 범죄규정 131 1. 국방부문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 135 2. 경제부문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 137 3. 문화부문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 160 4. 행정부문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 169 5. 공동생활부문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 177 6. 인신재산부문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 184 D. 형법부칙상 비사회주의적 범죄규정 188 E. 행정처벌법상 비사회주의적 위법행위규정 194 1. 국방부문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 196 2. 경제부문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 197 3. 문화부문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 204 4. 행정부문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 208 5. 공동생활부문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 211 F. 인민보안단속법상 비사회주의적 위법행위규정 216 VI. 비사회주의적 행위에 대한 범죄규정화 특징 220 A. 사회주의구조 측면 221 1. 사회주의구조 변화의 상관성 221 2. 체제 균열의 핵심 공간으로서 시장 226 B. 범죄행위자 측면: 계층별 범죄유형 231 1. 간부계층의 범죄유형 231 2. 전문지식인계층의 범죄유형 233 3. 신흥상인계층의 범죄유형 235 4. 노동계층의 범죄유형 236 C. 범죄규정의 유효성 측면: 통제의 비효과성 238 VII. 결론 240 A. 연구요약 240 B. 범죄규정화 평가와 전망 246 1. 범죄규정화와 사회변화의 관계 246 2. 범죄규정화 평가와 전망 248 참 고 문 헌 250 ABSTRACT 270 감사의 글 2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86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북한의 ‘비사회주의적 행위’에 대한 법적 통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범죄규정화(crime-definition)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Legal Control over Non-socialist Behaviour in North Korea : Focused on Legal Crime-definition-
dc.creator.othernameHwang, Eui Jeong-
dc.format.pagexi, 278 p.-
dc.contributor.examiner김석향-
dc.contributor.examiner박정원-
dc.contributor.examiner정영철-
dc.contributor.examiner조동호-
dc.contributor.examiner최대석-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