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김민주-
dc.creator김민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9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98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Sameroff(1975, 2009)의 교류모델을 적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과 상호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중1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2차년도(T1)에서 4차년도(T3)까지 모두 참여한 1,982명(남학생: 1,001명, 여학생: 98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은 허묘연(2000)과 김세원(2003)의 척도 중 학대 관련 문항을 참고로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되었으며, 청소년의 우울은 김광일, 김재환과 원호택(1984)이 개발한 간이정신진단검사의 우울척도를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그리고 청소년의 비행은 김준호와 이동원(1995)이 개발한 비행척도를 참고하여 재구성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의 질문지 가운데 일탈 및 비행 관련 문항을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t 검정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0.0을 사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델(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과 관련하여,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또한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 간의 상호적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즉,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의 우울 간의 상호적 영향은 이전 시점의 청소년의 우울이 이후 시점의 부모의 학대를 예측하는 경로만 발견되어 자녀 효과를 지지하였고,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의 비행 간의 상호적 영향의 경우 이전 시점의 부모의 학대가 이후 시점의 청소년의 비행을 예측하는 경로만 유의하여 부모 효과를 지지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우울과 비행 간의 상호적 영향도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부모의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과 관련하여, 부모의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또한 부모의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 간의 상호적 영향의 경우, 청소년의 우울과 비행 간의 양방향 경로 이외에 모든 경로의 상호적 영향이 발견되었다. 즉, 부모의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간의 상호적 영향이 나타나, 이전 시점의 부모의 방임은 이후 시점의 청소년의 우울을, 이전 시점의 청소년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부모의 방임을 예측하였다. 또한 부모의 방임과 청소년의 비행 간의 상호적 영향도 나타나 이전 시점의 부모의 방임은 이후 시점의 청소년의 비행을, 이전 시점의 청소년의 비행은 이후 시점의 부모의 방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종합해보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은 안정적이었으며, 부모의 학대와 달리, 부모의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 간의 상호적 영향을 발견하였다. 선행 연구들이 부모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부모 변인과 청소년 자녀 변인 간의 상호적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그동안 간과되어왔던 자녀 효과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규모의 종단자료를 활용해 기존의 횡단적 연구설계에서 반영하지 못했던 시간적 선행성을 고려함으로써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연구방법론적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의 모형의 경로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학대의 개념화에 있어 광의의 학대의 개념에 방임을 포함하기보다는 협의의 학대와 방임을 서로 구분하는 것이 더 적절함을 밝혔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대표적 문제행동인 우울 및 비행의 발달에 대한 이해를 비롯하여 이를 예방·치료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기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의 부정적 영향력을 부각시켰다. 본 연구는 아동 학대 및 방임이라는 심각한 국가·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Most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have emphasized on parenting behaviors as a cause and adolescent problems as an outcome. This study focused on both parent and child effects adopting the transactional model proposed by Sameroff (1975).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Data were drawn from the 2nd through 4th wave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The sample consisted of 1,982 adolescents who were 8th graders in 2011.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showed stability from 8th to 10th grade. Second, Time 1 and Time 2 parental abuse had effects on Time 2 and Time 3 adolescent delinquency, respectively, but not on depression. For child effects, parental abuse was influenced by adolescent depression only.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had no reciprocal effects. Finally, there were reciprocal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That is, there were child effects as well as parent effects. No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e stability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child effects as well as parent effects supporting the transactional model for the parental neglect model. Findings of this study also highligh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sources in developing mental health programs and policies to promote for maltreat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8 A. 이론적 틀 8 B.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개념 11 C.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 14 D.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 간의 상호적 영향 18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31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31 B. 용어정의 33 Ⅳ. 연구방법 35 A. 연구대상 35 B. 조사도구 38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41 Ⅴ. 연구결과 43 A. 예비분석 43 B.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47 Ⅵ. 논의 및 결론 61 A.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61 B. 부모의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66 참고문헌 72 부록 90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12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dc.format.pagevi, 94 p.-
dc.description.localremark박163-
dc.contributor.examiner신나나-
dc.contributor.examiner한세영-
dc.contributor.examiner지연경-
dc.contributor.examiner김민정-
dc.contributor.examiner도현심-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