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우애자-
dc.contributor.author이명주-
dc.creator이명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6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631-
dc.description.abstract지금까지의 교육실습 관련 연구들은 주로 교육실습생의 입장에서만 교육실습을 바라보는 제한점이 있다. 하지만 지도교사 역시 교육실습의 중요한 주체인 만큼, 교육실습의 효과적인 목표성취를 위하여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현행 교육실습의 제도 측면과 내용 측면에서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중등 교육실습을 수료한 교육실습생 89명과 지도교사 63명이며, 연구 방법은 설문지로 진행 되었다. 설문지는 교육실습 제도 측면 8문항, 교육실습 내용 측면 16문항, 교육실습 보완점에 대해 서술할 수 있는 개방형 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습 제도 측면 중 교육실습 기간, 교육실습 시기, 지도교사 영향성에 대하여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 간의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05). 현행 교육실습 기간에 대하여 지도교사는 교육실습생보다 적당하다고 인식하는 차이를 보였다. 이와 관련하여 지도교사는 교육실습 기간 확대 필요성에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업무 과다의 우려로 현행 기간에 대하여 교육실습생보다 적당하다는 인식을 지니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현행 교육실습 시기에 대해서는 교육실습생이 지도교사보다 적당하다고 인식하는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생 시험기간과의 중복 등의 이유로 지도교사가 현행 시기에 대하여 적당하지 않다고 인식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지도교사 영향성에 대해서는 지도교사들의 생각보다 교육실습생들이 더욱 크게 느끼고 있었다. 그 밖에 교육실습 제도 측면 중 교육실습의 유용성, 평가방법, 프로그램의 체계성, 교육실습생 수업시연 시간, 대학과 실습학교와의 협력에 대해서는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한편 교육실습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 모두 제도 측면 8가지 문항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 교육실습의 유용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 실습학교와 대학과의 협력에 대해서는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 모두 제도 측면 문항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 실습학교와 대학 간의 협력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육실습 내용 측면 중 교육실습생 역량 변화에 대하여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의 인식 차이가 있었으며,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05). 또한 지도교사의 역할과 실습 영역에서도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 간의 인식 차이가 있었다. 교육실습을 통한 교육실습생의 전체적인 역량 변화에 대하여 지도교사는 교육실습생보다 크게 기대하는 인식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교과학습지도와 학급관리 영역에서의 지도교사의 기대가 컸다. 또한 지도교사 역할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교육실습생의 경우 지도교사의 인성과 행동을 중요시한 반면 지도교사는 교육실습생에 대한 지도력과 관심을 우선으로 하는 차이가 있었다. 실습영역에 대해서는 지도교사들은 교육실습생들이 연구 수업에 부담을 느꼈을 것이라고 생각한 반면, 교육실습생들은 실제로 교과 관련 전문성 갖추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차이가 있었다. 반면 교육실습 내용 측면 중 교육실습의 주요 목표에 대해서는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 모두 교육현장 경험, 교육경험 획득, 자기점검 순의 중요도를 보여 인식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교육실습생의 역할에 대해서도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 모두 수업 지도하기, 학생 관찰하기, 학생 생활 지도하기 순의 중요도를 보여 역시 인식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교육실습 제도 측면과 내용 측면에서의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고, 그 결과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는 적지 않은 분야에서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지도교사에게 바라는 역할과 교육실습생들이 경험하는 어려웠던 분야 등에 대한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의 인식 차이 결과는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여 효과적인 교육실습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교육실습생에 관한 지도교사의 사전 안내 필요성 등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 중 교육실습생의 역할과 어려웠던 실습 영역에 대한 결과는 초등 분야의 연구 결과와 다른 차이를 보여,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가 부실한 중등 교육실습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 teaching practice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a chance for pre-service teachers to acquire an educational experience and to check themselves concerning their aptitude for teaching profession by actually applying educational theories they learned at college to the field. However, as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teaching practice, it is carried out, completely commissioned to cooperating teachers in unit schools of practice without any concrete and standardized framework. Thus, the influence of cooperating teachers on pre-service teachers is very great. However, in spite of the influence of cooperating teachers, the existing studies have a limitation that they consider teaching practice mainly from the position of pre-service teachers, so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between two important subjects of teaching practice, cooperating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cannot be found.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necessity of the precedence of a process of finding ou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for the effective achievement of the objectives of teaching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the current teaching practice into the aspects of systems and contents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nd check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89 pre-service teachers who completed secondary teaching practice and 63 cooperating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m. The research method was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questionnaires were drawn up under the guidance of experts, by selecting and modifying the items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Of the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s, the aspect of the teaching practice systems consists of 8 questions, all on a five-point Likert scale while the aspect of the teaching practice contents consists of 16 questions on a five-point Likert scale in a selection type. In addition, in order to listen to the free thoughts of the respondents related to this study,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countermeasures for the teaching practice.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1.0, and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l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teaching practice syste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aching practice period, the teaching practice time and the influence of cooperating teachers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cooperating teachers (p<0.05). The cooperating teachers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the extension of the teaching practice period, but concerning about overwork, they gave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period a higher point than the pre-service teachers did. In addition, they gave a relatively lower point to the time because of a time conflict with students’ exam period than the pre-service teacher did. Regarding the influence of cooperating teachers, the pre-service teachers gave a higher point than the cooperating teachers did, so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that is, the influence of cooperating teachers on pre-service teachers was greater than that the cooperating teachers thought. Second, in the aspect of teaching practice contents, it was no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cooperating teachers (p<0.05), and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about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s and the domains of practice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cooperating teache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overall competence through teaching practice, in which the cooperating teachers expected more from the changes than the pre-service teachers did, and concerning the matters required for cooperating teachers’ roles, the pre-service teachers attached importance to the cooperating teachers’ personality and behavior while the cooperating teachers prioritized the leadership and concern about pre-service teachers in their roles. In addition, in the domain of the practice, the cooperating teachers thought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might feel pressure about a research class while the pre-service teachers felt difficulty in actually preparing expertise related to the subje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in terms of the systems and contents of teaching practice,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many areas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cooperating teacher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bout the roles expected from the cooperating teachers and the areas of difficulty experienc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cooperating teachers suggest the necessity of preliminary education for cooperating teachers about pre-service teachers, so that they could understand the position of each other, and it could be reformed as effective teaching practice.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rom the results of studies of the area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studies of secondary teaching practice in which there is a lack of studies that compare the perception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교육실습의 의미 6 B. 현행 중등 교육실습 8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16 A. 연구 절차 16 B. 연구 대상 17 C. 설문지 19 D. 자료 분석 2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3 A. 중등 교육실습 제도 측면 23 B. 중등 교육실습 내용 측면 36 C. 중등 교육실습의 보완점 45 Ⅴ. 결론 및 제언 51 참고문헌 57 부록 설문지 63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82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현행 중등학교 교육실습에 대한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의 인식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Perception on Present Teaching Practice in Secondary Schools-
dc.format.pagevi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