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조아라-
dc.creator조아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3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35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a large-group talk through examining its contents and exploring strategies used by a teacher to implement a large-group talk effectively at a kindergarten. Hence, it analyzed a large-group talk conducted at a kindergarten through case study.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contents a large-group talk has at a 5-year-old Saemmul class of the Jayeon kindergarten? 2. What strategies a teacher uses when conducting a large-group talk at a 5-year-old Saemmul class of the Jayeon kindergarte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 teacher and 25 children at a 5-year-old Saemmul class of the Jayeon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3rd, March to 29th, April, 2016 through observation, video and audio recording for 18 large-group talks,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documentation. A field note and an interview transcription were created based on a field jotting written at the field in addition to video and audio recording. Also, literature review was done together in such a process. Data collected were en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according to Graue and Walsh(1998/2014).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for contents of large-group talks at a 5-year-old Saemmul class of the Jayeon kindergarten, it showed knowing how to communicate with, learning a concept, understanding the neighboring world, knowing how to do brainstorming, understanding a life of a community, enjoying and sharing imagination, knowing preciousness of oneself and a role of a member. Contents suggested are connected to early children's linguistic·cognitive·social·affective development and a large-group talk includes several contents at the same time. Secondly, strategies used by the Saemmul class teacher when conducting a large-group talk may be divided into strategies used at an introduction phase of a large-group talk, at a development phase and at an ending phase. Strategies by the teacher at the introduction phase of a large-group talk included helping children with seating arrangement, deriving their experience and recalling the past large-group talk. Strategies by the teacher at the development phase of a large-group talk contained sending a contextual sign, using children's reaction, informing them of adequate attitudes for a large-group talk, scaffolding and prompting their participation. Strategies by the teacher at the ending phase of a large-group talk contained introducing next large-group talk beforehand and giving a guide on an expansion activity. The teacher used strategies appropriate for achieving various kinds of objectives effectively at each phase of a large-group talk. This research examined educational values and diverse instructional strategies of a large-group talk as the case study at a 5-year-old Saemmul class of the Jayeon kindergarten.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findings may provide teachers recognizing educational significance of large-group talk and researching proper instructional strategies with useful information.;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내용을 알아보고 교사가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을 탐구하여 이야기나누기 활동 실행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사례연구의 방법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연유치원 만 5세 샘물반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내용은 어떠한가? 2. 자연유치원 만 5세 샘물반 이야기나누기 활동 실행 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자연유치원의 만 5세 학급인 샘물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교사 1명과 유아 25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3월 3일부터 4월 29일까지, 총 18회의 이야기나누기 활동 관찰, 비디오 촬영, 오디오 녹음, 교사와의 형식적 면담 및 비형식적 면담, 문서 수집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관찰하며 현장에서 작성한 현장 약기, 비디오 녹화 및 오디오 녹음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노트와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문헌연구를 병행했다. 수집된 자료는 Graue와 Walsh(1998/2014)가 제시한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유치원 만 5세 샘물반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내용은 의사소통방법 알기, 개념 학습하기, 주변 세계 이해하기, 생각 모으는 방법 알기, 공동체 생활 이해하기, 상상 즐기고 나누기, 나의 소중함 알기, 구성원의 역할 알기로 나타났다. 제시된 내용들은 유아들의 언어·인지·사회·정서 발달과 연결되었고, 하나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 여러 내용이 동시에 포함되어 나타났다. 둘째, 샘물반 교사가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행할 때 사용한 전략은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도입 단계에서 사용하는 전략, 전개 단계에서 사용하는 전략, 마무리 단계에서 사용하는 전략으로 구분되었다.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도입 단계에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은 유아들의 자리배치 돕기, 유아들의 경험 이끌어내기, 지난 활동 회상하기로 나타났다.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전개 단계에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은 맥락적 신호 보내기, 유아의 반응 활용하기, 이야기나누기 활동에 적절한 태도 알려주기, 비계설정하기, 유아들의 참여 격려하기로 나타났다.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마무리 단계에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은 다음 이야기나누기 활동 미리 소개하기, 확장 활동 안내하기로 나타났다. 교사는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각 단계에서 다양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전략들을 사용했다. 본 연구는 자연유치원 만 5세 샘물반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내용과 교수전략에 대한 사례연구에서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교육적 가치와 다양한 교수전략의 실제를 고찰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교육적 의의를 인식하고 적절한 교수전략을 연구하는 교사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연구자 4 Ⅱ. 이론적 배경 7 A.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정의 및 교육적 의의 7 1.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정의 7 2.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교육적 의의 9 B.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11 1.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내용 11 2.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교수학습방법 13 Ⅲ. 연구방법 19 A. 사례연구 19 B. 연구대상 20 1. 자연유치원 20 2. 샘물반 21 3. 교사 24 4. 유아 26 C. 연구절차 27 1. 연구과정 27 2. 자료수집 27 3. 자료분석 29 Ⅳ.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내용 30 A. 의사소통방법 알기 30 B. 개념 학습하기 34 C. 주변 세계 이해하기 37 D. 생각 모으는 방법 알기 41 E. 공동체 생활 이해하기 44 F. 상상 즐기고 나누기 47 G. 나의 소중함 알기 50 H. 구성원의 역할 알기 52 Ⅴ. 이야기나누기 활동 실행 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 55 A. 도입 단계에서 사용하는 전략 55 1. 유아들의 자리배치 돕기 55 2. 유아들의 경험 이끌어내기 58 3. 지난 활동 회상하기 60 B. 전개 단계에서 사용하는 전략 62 1. 맥락적 신호 보내기 63 2. 유아의 반응 활용하기 65 3. 이야기나누기 활동에 적절한 태도 알려주기 68 4. 비계설정하기 71 5. 유아들의 참여 격려하기 73 C. 마무리 단계에서 사용하는 전략 76 1. 다음 이야기나누기 활동 미리 소개하기 76 2. 확장 활동 안내하기 78 Ⅵ. 논의 및 결론 81 A. 논의 81 B. 결론 및 제언 88 참고문헌 90 부록 95 ABSTRACT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42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치원 만 5세 학급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Large-Group Talk in 5-year-old Class of Kindergarten-
dc.format.pagevi,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