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제영-
dc.contributor.author장선희-
dc.creator장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0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011-
dc.description.abstractChanges of society are in close contacts with changes in education. To change our society through education,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roles of teachers. As information society is recently progressing to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 blueprint of New school education is suggested and roles required for teachers appear in various ways. As abilities and qualification of teachers are directly connected to nation’s educational competitiveness, retaining Teacher professionalism is the main factor to decide success and failure of education. In this sense, discussing the various ways to develop Teacher professionalism needs to be emphasized. Especially, the major role of teacher is ‘teaching’, so Teaching professionalism has to be discussed preferentially, not treated as sub-areas of Teacher professionalism. As a precedent study on Teaching professionalism is looked through, however, it has dealt with Teaching professionalism as sub-areas of Teacher professionalism or theory-centered research like searching the concept and sub-component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has been conducted. Though some studies dealing with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found, it is hard to find a study which analyz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eaching professionalism by measuring Teaching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ssuming that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e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ors : Firs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eacher-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f middle school teachers. Seco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school-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f middle school teachers. Thir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educational office-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f middle school teachers. Last,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each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result of survey from middle school teachers which was extracted from the 5th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as utilized and bo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 test were utilized in analysis of the data.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study which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eacher-based, School-based and educational office-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First, the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eacher-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hen teachers 1) get more than Master’s Degree, 2) have a full-time position, 3) have a higher level of adapting to the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4) conduct more formative evaluation, 5) give activity-based assignment and 6) make an effort to improve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in characteristic factors of teachers. In characteristic factors of schools, teachers’ spending more time doing administrative work has a positive impact in Teacher-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Second, the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School-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hen teachers 1) get more than Master’s Degree, 2) have longer teaching experience, 3) graduate from college of education, 4) have a full-time position, 5) utilize professional teaching methods, 6) give activity-based assignment to students and 6) make an effort to improve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in characteristic factors of teachers. In characteristic factors of schools, teachers’ 1) spending longer time doing administrative work, 2) maintaining cooperative relations with co-teachers and 3) being more satisfied with schools have a positive impact on School-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ird, the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Educational Office-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hen teachers 1) get more than Master’s Degree, 2) have longer teaching experience, 3) have a higher level of adapting to the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4) give activity-based assignment to students in characteristic factors of teachers. In characteristic factors of schools, teachers’ 1) spending longer time doing administrative work and 2) being less satisfied with schools have a positive impact on Educational Office-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Last, when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eacher-based, School-based and Educational Office-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re classified as characteristic factors of teachers and schools, in characteristic factors of teachers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Giving activity-based assign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all of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State of employment’ and ‘Efforts to improve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have a positive impact on Teacher-based and School-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Experience of teaching’ has a positive impact on School-based and Educational Office-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Level of adapting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Teacher-based and Educational-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Types of completing a course in teaching’ and ‘Professional teaching methods’ have a positive impact only on School-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Degree of conducting formative evalu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ly on Teacher-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Meanwhile, in characteristic factors of schools, ‘Time spent on administrative work’ has a positive impact on all of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School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School-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but has a negative impact on school-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Cooperative relations with co-teachers’ has a positive impact only on School-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eachers’ entering graduate school needs to be supported. Second, the ways for novice teachers actively to join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ave to be prepared. Third, the ways to substantialize and activate School-based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ave to be found. Fourth,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for temporary teachers have to be supported. Last, Educational offices should promote customized professional developmental programs focused on demanders and conduct supervision activities systematically. The following three aspects have to be considered, analy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is possible to contain some of subjective and deflective responses as the results of SELS research utilized in this study depend on the memories of participants. In addition,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there is no containing a variety of variables in analysis except for ones which are contained in panel because the researcher doesn’t decide the questions on questionnaire and utilizes the results of surveys which have already been collected. Second, this results would be limited to be generalized to the whole country because middle school teachers only in Seoul are subject to the research used in this study. Last, analyz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result of survey for teacher level is used and influence of school level isn’t considered so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needs to contain survey materials focused on schools and be analyzed with tools like hierarchical linear models. If future studies compensat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f middle school teachers more clearly.;사회의 변화와 교육의 변화는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육을 통한 사회 변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그 누구보다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정보사회에서 지능정보사회로 사회변화가 급속도로 진전됨에 따라 새로운 학교교육의 청사진이 제시되기도 하고,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 또한 다양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교사의 능력과 자질은 국가의 교육 경쟁력과 직결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교사가 전문성을 확보하는 일은 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교사의 전문성을 계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논의가 강조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사의 핵심 업무가 ‘수업’이라는 점에서 수업전문성(teaching professionalism)은 교사전문성(teacher professionalism)의 하위 영역으로 다룰 것이 아니라 우선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는 주제이다. 그러나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수업전문성을 교사전문성의 하위 영역으로 다루거나 수업전문성에 대한 개념 또는 하위 구성요소를 탐색하는 등의 이론 중심적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접근한 선행연구가 일부 발견되기도 하나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실제 측정하여 수업전문성의 영향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찾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이 수업전문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중학교 교사의 ‘교사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중학교 교사의 ‘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중학교 교사의 ‘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중학교 교사의 ‘교사·학교·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제5차년도 자료 가운데 중학교 교사의 설문 결과를 활용하였고, 자료의 분석에는 t검정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학교·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사 및 학교특성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특성요인 중에서는 석사이상일수록, 정규직일수록, 교육환경변화 적응수준이 높을수록, 형성평가 실시 정도가 높을수록, 활동중심 숙제를 부여할수록, 학생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노력을 많이 할수록 교사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특성요인 중에서는 행정업무 투자시간이 많을수록 교사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특성요인 중에서는 교사의 최종학력이 석사이상일수록, 교직경력이 오래될수록, 사범대 출신일수록, 정규직일수록, 전문적 수업방식을 활용할수록, 학생들에게 활동중심 숙제를 부여할수록, 학생의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노력을 많이 할수록 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특성요인 중에서는 교사가 행정업무에 투자하는 시간이 길수록, 동료교사와 협조적 관계를 유지할수록, 교사의 학교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특성요인 중에서는 최종학력이 석사이상일수록, 교직경력이 오래될수록, 교육환경변화 적응수준이 높을수록, 활동중심 숙제를 부여할수록 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특성요인 중에서는 행정업무 투자시간이 길수록, 학교만족도는 낮을수록 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학교·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차이를 교사 및 학교특성요인으로 구분하면 교사특성요인 가운데 최종학력과 활동중심 숙제부여 요인은 교사·학교·교육청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용형태와 학생 문제해결력 신장 위한 노력은 교사·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직경력은 학교 및 교육청 중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변화 적응수준은 교사 및 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직이수유형과 전문적 수업방식은 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성평가 실시 정도는 교사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특성요인 중에서 행정업무 투자시간은 교사·학교·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전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만족도는 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조적 동료교사 관계는 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대학원 진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중학교 교사의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교사·학교·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습하는 것은 교사로 하여금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게 하고, 전문성 계발을 위한 노력에도 관심을 갖게 한다. 따라서 단위학교 및 교육청 차원에서는 교사들의 대학원 진학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저경력 교사가 적극적으로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연구 결과, 교사의 교직경력이 오래될수록 학교·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비추어 볼 때, 고경력 교사에 비해 저경력 교사들의 학교 및 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는 소극적으로 나타남을 유추해볼 수 있다. 따라서 저경력 교사가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학교 및 교육청 차원의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을 내실화하고, 활성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연구 결과, 중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중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활동은 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으로 나타났다.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과 교사의 실제 학습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유형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비해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을 내실화·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넷째, 비정규직 교사에 대한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의 임용형태가 정규직일수록 교사·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정규직 교사의 직업 안정성 보장과 같은 노력 등을 통해 비정규직 교사가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교육청 수준에서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전문성 계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장학 활동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나므로 교사들의 수요를 반영한 전문성 계발 프로그램과 장학 활동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이 연구에서 활용한 SELS 설문조사 결과는 설문조사 대상자의 기억에 의존하므로 교사의 주관적·편향적인 응답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 본인이 설문문항을 설계하지 않았기 때문에 패널에 포함된 변수 외에 다양한 변수를 분석에 포함할 수 없었다. 둘째, 이 연구에 활용된 설문 자료는 서울특별시 소재의 중학교 교사가 대상이므로 이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셋째,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에 있어 교사 수준의 설문조사결과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학교 수준의 영향력을 고려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학교 수준의 설문자료를 포함하여 위계적 선형 모형 등을 활용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후속 연구를 실시한다면 중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의 영향 요인에 대해 보다 더 명확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6 A. 교사전문성과 수업전문성 6 1. 교사전문성과 수업전문성의 개념 6 2.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17 B.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의 영향 요인 관련 선행연구 32 1.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 2.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7 Ⅲ. 연구 방법 43 A. 연구 대상 43 B. 연구 설계 44 C. 분석 방법 59 Ⅳ. 중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의 영향 요인 분석 62 A. 교사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의 영향 요인 분석 62 B. 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의 영향 요인 분석 67 C. 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의 영향 요인 분석 73 D. 중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의 영향 요인 비교 78 E.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의 영향 요인 분석 결과 논의 80 Ⅴ. 요약 및 결론 84 A. 요약 84 B. 결론 87 참고문헌 91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19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교육종단연구(SELS)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n Middle School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dc.creator.othernameJang, Seon Hee-
dc.format.pageviii, 105 p.-
dc.contributor.examiner한유경-
dc.contributor.examiner박주형-
dc.contributor.examiner정제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