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8 Download: 0

Program Annotation

Title
Program Annotation
Authors
박은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성
Abstract
본 논문은 2015년 12월 1일 이화여자대학교 김영의홀에서 이루어진 박은재의 오르간 전공 석사학위 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 곡목인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니콜라우스 브룬스(Nicolaus. Bruhns, 1665~1697)의 작품 「대 전주곡과 푸가 마단조 (Prelude in e minor)」와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전주곡과 푸가 가단조 (Prelude and Fugue in a minor, BWV 543)」, 낭만 시대의 세자르 프랑크(César-Auguste Franck, 1822~1890)의 「전주곡, 푸가와 변주곡 (Prelude, Fugue and Variation, Op. 18)」, 20세기 초에 작곡된 루이 비에른(Louis Vierne, 1870~1937)의 「오르간을 위한 교향곡 제3번 (Symphony Op. 28, No. 3)」중 1·2·5악장과 나지 하킴 (Naji Hakim, 1955~)의 「루바이야트 (Rubaiyat)」의 4악장을 중심으로 각 시대의 주요 작곡가들과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올바른 연주를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니콜라우스 브룬스는 17세기 북독일 오르간 악파를 대표하는 작곡가 중 한 명이다. 그의 작품인 「대 전주곡과 푸가 마단조」는 자유 형식 구조, 자유로운 박자와 성부 변화, 빠른 리듬과 즉흥적인 패시지의 환상적 양식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개개의 다른 특성을 가진 부분들은 작곡가의 감정과 의도에 충분히 학습된 연주자의 감정이 드러나도록 연주하며, 그 시대의 화려하고 웅장했던 플레눔(Plenum) 소리를 바탕으로 각 부분에 맞는 음색을 사용한다. 요한 세바스찬 바흐는 오르간 문헌에서 위대한 공헌을 한 작곡가이다. 그의 작품인 「전주곡과 푸가 가단조」는 바흐의 생애 중 제1기에 작곡된 전주곡에 제2기에 작곡한 푸가를 결합시켜 제3기에 완성된 작품이다. 전주곡은 자유로운 토카타(Toccata) 양식으로 펼침화음형, 아르페지오(Arpeggio), 반음계 진행과 순차진행, 바이올린 음형 등의 다양한 음형이 자유롭게 전개되고 있으며 푸가는 ‘제시부-제1에피소드부-대제시부-미들엔트리-종결부’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은 바로크 시대의 전형적인 주법이었던 논 레가토(Non-legato)로 연주하며, 음색의 조합은 플레눔 소리를 바탕으로 사용한다. 세자르 프랑크는 벨기에 태생의 프랑스 작곡가로 그의 작품인「전주곡, 푸가와 변주곡 Op. 18」는 A-B-A′의 3부분 구조로 고전적 음악 양식인 소나타 형식을 따른다. 이 작품의 서정적인 선율을 잘 표현하기 위해 악상은 주로 스웰 박스(Swell-box)를 사용하며, 음색조합은 악보에 표기된 것에 기초한다. 루이 비에른은 20세기 초 프랑스 오르간 심포니 작곡가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의 여섯 개의 오르간을 위한 교향곡 가운데 제3번은 교향악 구조의 5악장으로 구성되며 이 중 1악장과 5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화려하고 강렬한 인상을 남기고, 2악장은 3부분 형식의 차분한 분위기이다. 이 작품은 후기낭만의 교향악적 특성을 잘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연주법이 사용되었으며, 음색조합은 다섯 단계로 소리크기를 나누어 악상의 기호에 맞춰 설정한다. 나지 하킴은 현재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오르간 연주자이자 작곡가이다. 그의 작품 가운데 교향악 모음곡인 「루바이야트」의 4악장은 제1악장에서 등장한 동기를 다른 악장에서 활용하는 순환 기법의 작품이다. 또한 곡 전체에 오스티나토(Ostinato)가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3화음에서 벗어난 다양한 화음 (2도, 4도 구성 화음)이 사용된다. 이 작품에는 현대곡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기법인 레가토(Legato), 스타카토(Staccato), 글리산도(Glissando) 등의 다양한 연주법이 나타났다. 또한 각건반이 다른 악상으로 표현되는 경우, 강조되는 큰 악상을 위해 리드(Reed) 음색이나 믹스쳐(Mixtur) 음색을 첨가하여 연주한다. 이상으로 본문에서는 바로크, 낭만, 20세기, 현대의 오르간 작품을 연구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음악적 양식이 변화하는 모습과 작곡가의 특징이 오르간으로 표현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This thesis analyzes 5 organ pieces the researcher performed at the graduating recital for Master’s degree in the organ at Kim Young Ui Hall at Ewha Womans University on the 1st of December 2015. Each piece was composed in a different time period and the list included a piece representing the Baroque period, Prelude in e minor by Nicholaus Bruhns (1665-1697), and Prelude and Fuge in a minor, BWV 543 by J. S. Bach, (1685-1750), one from the Romantic period, Prélude, Fugue and Variation, Op. 18 by César-Auguste Franck (1822~1890), the first, second and fifth movements of Symphony Op. 28, No. 3 by Louis Vierne (1870~1937) which is compos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fourth movement of Rubáiyát by Naji Hakim (1955~). The purpose of study is to play each piece properly by analysing each composer’s life and his work. Nicholaus Bruhns is one of the symbolic composers representing the northern German organ music in the 17th century. His work, Prelude in e minor, is characterized by its free structure, free tempo, shift between its parts, fast rhythm and the fabulous style of an impromptu passage. For this, parts with distinct features are played to deliver emotion of the organ player, who has been thoroughly educated about the composer’s emotion and intention. Upon the Grand Plenum tone of the era, appropriate tone was carefully chosen and built for each part. J. S. Bach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organ literature. His work, Prelude and Fuge in a minor, was completed in the third period of his life after combining a prelude, composed in his first period, with the Fuge, composed in his second period. The prelude has free toccata structure with the free development of various motives, including broken chords, arpeggio, chromatic scale pattern, conjunct motion and violin motives. The Fugue structure starts with an exposition and extends to the first episode, counter-exposition, middle entry and the coda. This piece plays non-legato, the classic Baroque playing technique, and uses a combination based on plenum principal tone. César-Auguste Franck is a Belgium-born French composer and his work, Prelude, Fugue et Variation, Op. 18, 1873, has a sonata structure, which is a classical musical structure with three parts A-B-A'. To fully express the lyrical melody of this piece, the musical theme mainly uses the swell box and tone combination adheres to the directions on the scores. Louis Verne is a composer representing the French organ symphony in the early 20th century. Among his six symphonies for the organ, the third one is made up of five movements following a symphonic structure. Among those five structures, the first and fifth movement leaves fancy and strong impression by using sonata form and the second movement has a clam mood with three part form. To show the symphonic characteristics of the romantic period, a variety of techniques are used and tone combination is set according to the symbol of musical motif, diving the volume of sound into five levels. Naji Hakim is both an organ player and composer, who is active with his career in France. Among his works, the fourth movement of the symphony collection Rubaiyat employs a cyclic form, which brings back themes from the first movement. Furthermore, throughout the piece, there are frequent use of Ostinato and a variety of harmony(secundal chord, qaurtal chord),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triad chord. This piece also uses techniques from modern music pieces like legato, staccato, glissando. In addition, when each keyboard is expressed as a different dynamic, lead tone and mixture tone are supplemented to place emphasis on a bigger dynamic. In order to support interpreting organ music of different time periods, this thesis analyses Baroque, Romantic, 20th century and Contemporary pieces of organ music to see how the stream of time changes music styles and how characteristics of composers appear in their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