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김영숙-
dc.creator김영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6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67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정서적 지지가 우울과 어떤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그 이면에 자녀에 대한 수치심과 삶의 의미와 같은 심리적 기제들이 어떠한 작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개입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어머니는 일반아동의 어머니뿐만 아니라 다른 장애를 가진 아동의 어머니에 비해 우울의 위험성이 높은 편으로, 이 때 주변 사람들의 정서적 지지의 부족은 우울을 초래할 수 있는 취약성의 원인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대한 개입으로 정서적 지지를 도모하는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치료의 효과가 어떤 기제를 통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에서 심리적 변인인 자녀에 대한 수치심과 삶의 의미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우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아동 어머니와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의 우울을 예측하는 심리사회적 변인들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초로 정서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를 자녀에 대한 수치심과 삶의 의미가 매개하는지, 자녀의 장애 진단 후 경과시간에 따라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 159명과 일반아동 어머니 313명을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 문제 1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어머니와 일반아동의 어머니 간에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일반아동 어머니에 비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는 우울의 위험성이 높았으며, 삶의 의미(일치도)에서는 전반적으로 삶의 가치와 일치된 삶을 살고 있지 못했고, 자기 관련 요인, 신체 및 정신건강, 사회적 성취 및 영향력, 자녀 양육 및 부모되기에서 가치와 일치된 삶을 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의미(중요도)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가 일반아동 어머니에 비해 사회적 성취 및 영향력을 덜 중요하게 여기고, 종교 및 영성은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지지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문제 2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 집단을 대상으로 우울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정서적 지지, 자녀에 대한 수치심, 삶의 의미(일치도), 자녀의 장애 진단 후 경과시간이 우울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문제 3에서는 정서적 지지, 자녀에 대한 수치심, 삶의 의미(일치도), 우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했고, 검증 결과 정서적 지지가 우울로 가는 직접효과와 자녀에 대한 수치심과 삶의 의미(일치도)를 각각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미하여 부분 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연구 문제 4에서는 자녀의 장애 진단 후 경과시간을 기준으로, 경과 시간이 4년 이내인 집단(단기 집단: 84명)과 5년 이상인 집단(중장기 집단: 75명)으로 나누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단기 집단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정서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녀에 대한 수치심과 삶의 의미(일치도)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중장기 집단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였고, 정서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녀에 대한 수치심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확인되어 부분 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또한 정서적 지지에서 삶의 의미(일치도)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삶의 의미(일치도)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삶의 의미(일치도)의 원천과 우울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자기 수용과 성장, 일에 대한 만족감, 가족과의 좋은 관계에서 삶의 의미를 실현하는 것이 우울의 감소와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주변 사람들로부터 받는 정서적 지지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 동시에 자녀에 대한 수치심과 삶의 의미를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변인들의 관계가 자녀의 장애진단 이후 경과 시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심리적 개입에 있어서 경과 시간에 따른 차별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보여준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emotional support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of mothers rais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provide an understanding of what psychological mechanisms may operate on the back of it in order to intervene effectively in the depressed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re more at risk of depression compared with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other disabilities or mothers of normal children. The cause raising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is the lack of emotional support from those people around the mothers. Even though the emotional support program has been used for treating depressed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t is uncertain what mechanism will work.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emotional support can influence depress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lso, mediated by shame about the child and meaning in life. This study compares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mothers of normal children, investigate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explores on which psycho-social variables predict depression.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effect of shame about the children and meaning in life of mothers can mediate over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depression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ariables as time advances after being diagnosed with the disord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59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313 mothers of normal children. Study 1 is to see if the two groups of mothers show the differences in the mean values of emotional support, meaning in life, and depression. It displays that compared with mothers of normal childre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re exposed to more possibilities of being diagnosed with depression. They live differently based on their meaning in life(index of coincidence), self-related factors,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cial achievement and influence, and parenting. The research describes that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et a low value on social achievement and influence and set a high value on religion and spirituality compared with mothers of normal children based on the meaning in life(index of importanc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emotional support. Study 2 describes the variables predicting depression for the group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ression can be significantly predicted by emotional support, shame about their children, meaning in life, and the time elapsed after being diagnosed disorde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applied to analyze the relations among emotional support, shame about their children, meaning in life(index of coincidence), and depression on Study 3.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s that both the direct effect of emotional support to depression and indirect effect shame about the children and meaning in life(index of coincidence) as a mediator indicate significant effect. On the basis of the elapsed time after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ldren, the multi-group analysis was applied to the mothers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84 mothers of short-term group (less than 4 years) and 75 mothers of mid/long-term group (more than 5 years) on Study 4.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the perfect mediating effect of shame about the children and meaning in life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depression due to the fact that emotional support did not affect to depression directly in the short-term group. On the other hand, it was significantly confirmed that emotional support has a direct effect on the depression and that there was the indirect effect of shame about the children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depression in the mid/long-term group. As a matter of fact, partial mediating effect could be checked in the mid/long-term group. The path toward meaning in life from emotion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but their meaning in life affects the mothers’ depression in the mid/long-term group. Upon 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source of meaning in life(index of coincidence) and depression, it is highly relevant to fulfill the meaning in life associated with self-acceptance and self-growth, satisfaction with work, and good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to reduce the symptom of depression in both group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motional support from those around the mothers affect simultaneously on not only just depression directly, but depression gone through shame about the children and meaning in life. The result suggests the necessity of differential interventions with regard to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the mothers under the elapsed time after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특성 7 1.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7 2.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 9 3.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적 지지 10 4. 정서적 지지와 우울 13 B. 자녀에 대한 수치심 15 1. 수치심의 개념 15 2.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수치심 16 3. 자녀에 대한 수치심, 정서적 지지와 우울 18 C. 삶의 의미 20 1. 삶의 의미의 개념 20 2.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삶의 의미 22 3. 삶의 의미, 정서적 지지와 우울 24 D. 자녀의 장애 진단 후 경과시간에 따른 어머니의 심리적 변화 25 E. 통제변인 27 F. 연구 가설 28 Ⅲ. 연구 방법 30 A. 연구 대상 30 B. 측정 도구 31 C. 연구 절차 35 D. 자료 분석 35 Ⅳ. 연구 결과 37 A.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 37 B.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39 C. ASD아동 어머니와 일반아동 어머니 간에 측정변인의 차이 41 D. ASD아동 어머니 집단을 대상으로 우울에 대한 분석 47 E. ASD아동 어머니 집단을 대상으로 정서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녀에 대한 수치심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52 F. ASD아동 어머니 집단을 대상으로 자녀의 장애 진단 후 경과시간별 집단비교 59 Ⅴ. 결론 및 제언 67 A. 종합 요약 및 논의 67 B. 연구의 의의 78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9 참고문헌 81 부 록 109 ABSTRACT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463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자폐 스펙트럼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자녀에 대한 수치심,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자녀의 장애 진단 후 경과시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The mediating effects of shame about the child and meaning in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lapsed time after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ldren-
dc.format.pagevi,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