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덕현-
dc.contributor.advisor유진상-
dc.contributor.author심우현-
dc.creator심우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2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24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미술사 전반을 통해 그래왔듯이 동시대 미술에서 커다란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페인팅의 의의를 새롭게 고찰해보기 위한 것이다. 나날이 발전하는 과학 기술과 함께 새로운 예술적 매체들이 대두하고 있는 오늘날까지 페인팅은 선사시대부터 시작된 장구한 미술사를 통틀어 미술사적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본 논문은 그 중에서도 본인 작업의 본령이라 할 수 있는 ‘페인터리 페인팅(painterly painting)’에 대해서 그 미술사적, 미학적 그리고 철학적 의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그 정체성을 동시대 미술에서 되짚어보고자 한다. 페인터리 페인팅은 회화의 특정한 성향으로서, 붓자국과 물감의 물성을 강조하는 회화를 뜻한다. 제스츄어 페인팅으로 대표되는 페인터리 페인팅은 회화적으로 기록된 행위를 통해 화가의 사유와 감정을 표현한다. 이는 미술사에서 16세기부터 대두되기 시작하는 티치아노, 틴토레토와 같은 후기 르네상스 화가들을 그 원류로 떠올려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페인터리 페인팅의 오랜 역사에 큰 의의를 두며, 특정한 회화적 성향의 핵심적 의의를 분석한다. 그리고 오늘날까지 대두되는 회화의 영원불변한 고유한 특성인 실존을 대변하는 회화적 물성이 갖는 의의를 부각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와 같은 회화의 특성들은 오늘날까지 미술사에 있어 회화가 불변하는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주요한 근거가 되고 있음을 추론해본다. 회화의 물리적 특성 즉 회화적 물성은 캔버스에 발려진 물감의 물(질)성으로 대변된다. 이 고유한 물성은 페인팅에서 특정한 관능성을 파생시키는 주요한 기제가 되고 있음이 본 논문에서 주논지가 되고 있다. 나아가, 이 물성으로부터의 관능성은 화가의 특정한 자세이자 태도, 혹은 방법론인 ‘몰아(沒我)’라는 예술적 현상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페인터리 페인팅의 의의의 큰 전제이다. 회화적 몰아는 철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죽음의 개념과 유사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본인은 이러한 상관관계를 통하여 회화적 몰아의 철학적/미학적 의의를 도출하고 있다. 이러한 예술적 경험은 미술사를 통해 다수의 추상표현주의 화가들부터 동시대 화가들에 이르기까지 시대를 막론한 예술가들에 의해서 인지되어왔음이 본 논문을 통해 입증하고 있는 바이다. 페인팅이란 행위는 화가가 의식의 ‘바깥’ 영역인 심연, 죽음, 에로스, 타나토스, 우연, 혼돈, 무시간성 등의 영역들을 캔버스에 일련의 물성과 함께 시각화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회화적 물성은 관객의 내면과 상호반영하면서 예술의 초월성으로 우리를 인도하는 중대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회화의 근원이 되는 ‘바깥(le dehors)’, 즉 우리의 의식 너머의 영역에 대한 관심은 18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낭만주의에서 뿌리를 찾을 수 있음은 본 논문이 강조하고 있는 미술사적 혹은 문화사적 사실이다. 이를 통해 본인은 동시대 제스츄어주의적 회화 또한 일련의 동시대적 낭만주의의 경향임을 도출해낸다. 나아가 본 논문에서 드러내고 있는 페인터리 페인팅의 의의를 바탕으로 본인의 작업 또한 몰아경을 추구한 수많은 예술가들의 계보와 맞닿아 있음을 밝히며, 작업의 방법론과 작업이 다루고 있는 일련의 주제를 통하여 드러나는 낭만주의적 요소들을 고찰해본다. 작품론에서 본인은 작업의 주 배경이자 무대가 되는 야생의 자연을 ‘숲’으로 은유한다. ‘숲’이라는 특정한 공간을 작품 분석을 위한 기본적 틀로 사용하며, 숲을 형성하는 요소들이 본인의 작업에서 보여지는 회화적 요소들과 평행선상에 있음을 밝힘으로써 작업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시도한다. 작업에서 예시적 모티브로 인용하고 있는 안티오페의 숲, 여신 디아나의 숲은 작품론의 배경이 되는 ‘숲’의 개념에 함께 중첩되고 있다. 이어 본인 작업의 핵심적 주제 가운데 하나인 ‘변형/변용’이라는 요소를 신화나 전설 속 배경으로 등장하는 숲의 ‘마법’적 요소를 은유로 그것의 주제적인 측면, 수행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해본다. 이로써, 페인팅에서 현재 진행형 ‘-ing’로 드러나는 회화적 대상의 끊임없는 변천 또는 ‘순환’, 그리고 그것들이 발생하는 회화적 과정 또는 실천의 의의를 강조하였다.;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painting, which, as it has been doing so throughout the history of art,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contemporary art. With the advance of scientific technology, new artistic media continue to emerge today. However, painting has always been at the center of fine art during its long history spanning from the prehistoric period to the twenty-first century. Among others, this thesis tries to deliberate on the position of ‘Painterly Painting’ in contemporary art, which also occupies a central place in my work, by pondering over its art historical, aesthetical, and philosophical significance. Painterly Painting refers to a specific tendency in painting, which underscores brushstrokes and materiality of paints. Painterly Painting, typically represented by gestural painting, expresses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painter through pictorially recorded actions. Painters such as Tiziano, Tintoretto from Late Renaissance in art history, who were raised in the 16th century, can be considered as the root of Painterly Painting. The present study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long history of Painterly Painting, and analyzes the essential implications of this particular tendency of painting. It also attempts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a pictorial materiality that represents the Existentialist aspect of painting, which is the permanent and intrinsic quality of painting that has retained its place even today. This paper infers that these characteristics of painting form the foundation for the central position that painting holds in the history of art leading up to contemporary tim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painting, that is, the material qualities of painting, are represented by the materiality of the paints applied onto the canvas. A major theme of this study is that this intrinsic materiality forms a major mechanism that gives birth to a specific sensuality in painting. Furthermore, a basic premise of this thesis on Painterly Painting is that the sensuality derived from materiality is deeply involved with the artistic phenomenon that can be named ‘selflessness’, which refers to a specific posture and attitude, or methodology of a painter. ‘Selflessness’ in painting parallels the concept of death as seen from a philosophical standpoint. I derive from this correlation a philosophical-aesthetic significance of the ‘selflessness’ in painting.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such an artistic experience has been recognized by numerous artists throughout the history of art, ranging from the painters of Abstract Expressionism to more contemporary painters. The act of painting can be defined as a phenomenon in which a painter visualizes the realms ‘outside’ of consciousness, such as the abyss of consciousness, death, Eros, Thanatos, chance, chaos, and timelessness, by means of a set of materiality applied onto the canvas. Such pictorial materiality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guiding us to the ‘transcendentality’ of art by interacting with the innermost thoughts of the spectators. This thesis emphasizes the art historical and cultural historical fact that the interest in ‘le dehors’, that is, the interest in dimensions beyond our consciousness, which I believe is the origin of painting, was rooted in Romanticism that emerged in the mid-eighteenth century. Through this, I draw the conclusion that gestural painting is also one of the tendencies of Romanticism in contemporary art.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Painterly Painting discussed in this study, I demonstrate that my work also belongs to the genealogy of the innumerable artists who have pursued a state of ‘selflessness’, and explores the Romantic elements revealed in the methodology and the themes of my works. Whilst examining my work in detail, I use the metaphor of ‘forest’ to express the wildness of nature, which is the main background and setting of my work. I use the specific space of ‘forest’ as a basic framework for analyzing my work, and attempt at an in-depth analysis of my pieces by demonstrating that the elements that form the forest parallel the painterly elements in my work. The forest of Antiope and the forest of the goddess Diana, alluded to as prefigurative motifs in my pieces, overlap with the concept of ‘forest’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analysis of my paintings. The thesis analyzes the element of ‘transformation/metamorphosis’, a key subject in my work, by dividing it into the thematic aspect and the performative aspect, drawing on the metaphor of the ‘magical’ element of the forest that has been the setting of myths and legends. Through this, the thesis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ant vicissitudes or ‘cycles’ in the subjects of painting, revealed in its present progressive form ‘-ing’, and also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the process or practice of painting in which those vicissitudes take pla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페인터리 페인팅: 물질적 관능성의 의의 5 Ⅲ. 회화적 몰아(沒我)에 대하여 7 A. 몰입과 몰아의 분기점 7 B. 회화적 경험으로서의 몰아 9 C. 회화와 죽음의 상관관계: 철학, 문학, 예술에서의 죽음에 대한 시각과 이론들 11 D. 회화적 몰아의 미학적 의의 16 1. 화가의 몰아 19 2. 감상자의 간접적 죽음 :미적 관조 25 Ⅳ. 에로스(Eros)의 회화적 등가물 28 A. 관능성의 신화 28 B. 정신분석학 또는 철학적 접근 31 C. 주정적 정의와 결론 33 Ⅴ. 낭만주의 회화 :물질에서 숭고함까지 35 A. 낭만주의와 자연의 상관관계 36 B. 무의식과 낭만주의 38 C. 예술로 표출되는 무의식 안에서의 에로스 41 Ⅵ. 물질적 관능성의 생산기제로서의 페인팅 46 A. 물감 그리고 붓질, 그 실존적 의미 46 1. 원초적 질료로서의 물감 46 2. 물감과 신체 48 B. 페인터리 페인팅에 대하여 56 1. 제스츄어주의(Gesturalism), 주정주의(Emotionalism) 56 2. 페인터리 페인팅의 계보 59 3. 회화적 과정으로서의 무의식과 우연 61 C. 화가의 실존의 물질적 흔적 69 1.화가의 실존 69 2.우리가 보는 것, 보고자 하는 것: 물질적 흔적으로서의 회화 70 D. 낭만주의 회화의 현대적 재해석 73 Ⅶ.작품론 77 A.숲과 페인팅이 공유하는 낭만적 요소들: 회화적 기호로서의 숲 77 B. 사람의 손이 닿지 않은 우거진 숲(Forest as Wilderness) 79 1.우주의 심연, 숲 (Forest as Unfathomable Universe) 79 2. 회화적 시간: 시공간을 초월한 장소 87 3.은신처(Forest as Refuge) 93 4.회화적 주문(Spell)과 에로스 97 5.금기(Taboo)와 시선 106 6.감추어진 이면 110 7.빛(Light):캔버스의 흰색 111 C. 우연:변용과 마법(Chance:Metamorphosis and Magic) 116 1.주제로서의 변용(Metamorphosis as Theme) 116 2.수행과정으로서의 변형/변용(Transformation/Metamorphosis as Performative Practice) 119 Ⅷ. 결론 137 참고문헌 141 ABSTRACT 1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3370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페인터리 페인팅(Painterly Painting)’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본인의 작품론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ainterly Painting’ :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of My Paintings-
dc.creator.othernameShim, Woohyun-
dc.format.pagevi, 15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