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경-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creator김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0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086-
dc.description.abstract도자예술에서 소지와 소성, 즉 재료와 기술은 절대적인 요소로 인간이 다루는데 많은 제약과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도자예술의 조형방법과 표면장식 기법은 여전히 기존의 방법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특히 어떠한 제작방법을 사용하더라도 불에 의한 소성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도자작품은 일정 수준 이상의 두께가 유지되어야 하고 대부분 폐쇄된 공간의 형태로 표현된다. 도자작품은 닫힌 형태로만 존재하며 안을 들여다 볼 수 없어 외관상 보이는 것이 전부이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기술적 제약으로 인한 도자작품의 폐쇄된 형태의 개방과 표면장식의 다양화를 모색하는 도자예술의 조형화 연구이다. 연구자는 기술적 제약의 해결책으로 주름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힘에 주목하고 주름을 표현의 소재로 선정하였다. 소재로 선정된 주름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자의 작품 제작방법을 설명하여 새로운 도자예술 조형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논문의 구조는 ‘형식’과 ‘내용’으로 나뉘는데 이는 들뢰즈가 주름을 물질의 주름과 영혼의 주름으로 나누는 것과 동일하다.‘형식’의 영역인 물질의 주름은 폐쇄적인 공간의 개방과 유기적인 선의 표현 확대에 관한 도자예술의 조형방법과 표면장식기법에 관한 연구의 논거이며,‘내용’의 영역인 영혼의 주름은 접힘과 펼침을 키워드로 하여 보이지 않는 잠재성과 가능성을 조형화한 연구작품의 주제이다. 먼저 연구의 소재로 사용된 주름의 이해를 위해 라이프니츠와 들뢰즈의 주름 이론에 대해 고찰하고 주름의 여러 가지 특징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와 함께 예술작품과 건축물에서 나타난 주름이론의 사례들을 살펴 이론의 이해를 도왔고, 이를 토대로 연구 작품의 이론적 근거를 형성하였다. 라이프니츠와 들뢰즈는 모든 존재는 내적인 힘을 통해 잠재적 가능성을 펼치며 스스로 새로운 특이점을 만들면서 끊임없이 접힘과 펼침을 통해 변화한다는 생명론적 세계관을 제시한다. 이러한 생명론적 세계관은 본 연구의 전개구조와 연계된다. 물질의 주름인 연구 작품 전개는 공간의 개방화와 유기적인 선의 표현확장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우선적으로 개방적 공간에 대한 설명과 연구 작품에서 나타난 공간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표현한 연구 작품의 진행과정을 서술하였다. 이와 동시에 유기적인 선의 확장에서부터 시작되어 주름(입체화된 선)의 묘사(description)화, 실제(reality)화, 개체(entity)화까지의 주름의 표현방법에 대한 연구 전개과정을 작품을 통해 설명하였다. 또한 주름이 더 이상 표면장식의 도구가 아닌 조형의 주체가 되는 주름의 개체화까지의 과정을 단계별로 분석하고 연구하여 이를 점진적으로 발전시켰다. 더불어 실제 작업을 통해 주름을 조형화시킬 수 있는 주름의 재료와 종류를 실험하여 연구 작품의 표현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개체화된 주름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인 개체화된 주름을 중첩, 집적, 접힘과 펼침으로 결합시키는 방법을 실험하고 이를 주름이 지닌 잠재성과 가능성을 표현한다. 이러한 주름표현양식의 점진적 발전은 형식을 연구하는 물질적인 주름의 표현을 나타낸 것이며 주름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존재라고 이야기하는 생명론적 사유와 연관된다. 들뢰즈는 세계를 실재인 잠재성과 허구인 가능성으로 구분하고, 세계를 잠재성을 현실화시키고 가능성을 실재화시키는 접힘과 펼침의 연속인 주름으로 보았다. 본 연구자에 있어서 영혼의 주름인 작품의 내용은 보이지 않아도 존재하는 잠재성과 가능성이다. 우리의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재하는 힘을 주름의 잠재성과 연관시키고, 도자작품의 조형화로 현실화시켰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그 동안 도자예술에서 표면장식으로만 사용되던 주름을 독자적 형태로 조형화하였으며, 이러한 개체화된 주름을 이용한 조형화는 도자예술의 mass개념의 닫힌 형태를 volume개념의 열린 형태로 개방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타 재료와 소지의 결합을 이용하여 도자예술의 특징인 소성에 의한 물리적 변화를 통해 자연스러운 형태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연구자에게 도자예술은 주름의 사유에서 말하는 스스로 생명력을 지니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존재이다. 각각의 작업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자각하여 해결하고 새로운 잠재적 특이점을 만들어 다음 작업으로 넘어가는 생명력 있는 주름인 것이다. 본 연구자에게 도예 작업은 잠재적인 힘을 통해 계속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연속적인 주름이다.;In ceramic art, porcelain body and firing property―in other words, material and technique―are absolutely necessary lements, with a number of constraints and limitations for human handling as they are essentially soil and fire. Due to these constraints and limitations, the form of expression and surface decoration technique for ceramic artists are still dependent on conventional methods. Owing to its characteristic of having to undergo a firing process regardless of any production method, the objet of ceramic art must maintain a certain level of thickness and is expressed in the form of closed space. The objet's space exists in the exterior only, with its innards hidden from view. With these problems in mind,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how to turn ceramic art into a formative art form by opening up closed spaces and diversifying surface decorations that have become that way due to technical constraints inherent in ceramic art. The author selected "folding" as a medium of expression by taking notice of its power to address the technical constraint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thesis are to explain why the folding was selected as the means of addressing the problem and what its theoretical derpinnings are, based on the author's own artworks, thereby suggesting ways to transform ceramic art into a form of formative art. Organization of this thesis is divided into "form" and "content," which is analogous to what Deleuze did with the folding that he said is divided into the folding of the matter and the folding of the soul. The folding of the matter, one related to the form, is related to the study of the form of expression in ceramic art involved in opening up of closed spaces and expanding organic line of representation. As for the folding of the soul, one belonging to the sphere of content, it is concerned with the study of making the invisible potential and possibility materialize with furling and unfurling of the soul's folding as the main theme. In order to understand better the concept of folding, which is the main theme of this thesis, the author examined the theories of folding as advocated by Leibniz and Deleuze, with the description of many features of folding. It was followed by instances of folding theories as expressed in artworks and architectural designs to help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ories, which together become a theoretical foundation to begin with the explanation of the author's own artwork. Leibniz and Deleuze proposed a world view that all the living things in the universe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heir souls and physical matters, with so many other things not present laying dormant until present out in the world through their own internal force. This kind of vitalism i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logic of this study. The description of the folding of the matter is undertaken by dividing it into opening up of spaces and the expansion of organic line of representation. Above all, the explanation on the open space and how the concept of the open space has changed over time are made, with the description on artworks that took advantage of these elements. It was followed by an account of the way foldings are expressed, from the expansion of organic line of representation to the description of foldings (three-dimensional lines), and to turning these into reality and entity, all based on examples from real artworks. In this way, foldings are no longer a tool of surface decoration but the main component of formative art. The whole process of the folding becoming an entity is analyzed for individual stages and evolved steadily, thereby deriving individualized foldings that can be used as a means of expressing formative art. The individualized foldings are then experimented with various ways including overlaying, piling, furling, and unfurling, and then are explored with ways to make what's invisible visible through formative art. The gradual evolution of the folding's expression forms is related with the folding of the matter that is concerned with the study of form, as well as with the philosophy of vitalism that argues foldings are the entity that changes constantly over time. With the potentiality and possibility of existence as keywords, the artwork whose main theme is the folding of the soul made use of individualized foldings derived from the study of the open space of ceramic art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folding into something tangible in its bid to turn itself into a formative art form. Through efforts described so far, the author could make foldings an independent form of art from a simple tool of surface decoration in ceramic art. The formative artwork that takes advantage of the individualized foldings indeed contributed meaningfully to opening up the closed space and turning the concept of mass into the concept of volume. In addition, it brought out the natural beauty through the physical modification through kiln firing, one of the most notable features of ceramic art, by way of combining materials with porcelain body. As far as the author is concerned, ceramic art is something that changes its forms and shapes constantly, just like life forms in the universe. Foldings in one stage of ceramic production can be changed into something else in the next by the intervention of the workman, turning them into an organic form that undergoes a series of transformations indefinitely. To the author, the art of pottery is a sequence of foldings that changes incessantly through the potential force withi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과 목적 1 B. 연구대상과 내용 3 Ⅱ. 주름 4 A. 매개체로서의 주름 4 1. 주름의 사유 4 2. 조형으로 나타난 주름 18 B. 조형화 도구로서의 주름 22 1. 주름의 재료 22 2. 주름의 종류 25 Ⅲ. 연구 작품 전개 27 A. 연구 작품 전개 구조 27 B. 연구 작품 전개 33 1. 개방적 공간 33 2. 주름의 형상화 38 3. 주름의 조형화 48 Ⅳ. 연구 작품 분석 63 A. 중첩을 통한 잠재성의 조형화 65 B. 집적을 통한 잠재성의 조형화 75 C. 접힘과 펼침을 통한 가능성의 조형화 85 Ⅴ. 결론 92 참고문헌 95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3367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주름을 소재로 한 도자조형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Ceramic Arts Study on Fold-
dc.format.pageix,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