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실-
dc.contributor.author이효연-
dc.creator이효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8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813-
dc.description.abstract근대주의와 자본주의에 의해 획일화된 지역경관의 한계가 드러나며, 지역의 자연, 오랜 시간 축적된 역사와 문화에 기반한 경관색채계획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역이 가진 고유한 색채자원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방법론적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색 기반의 경관색채 계획 시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전개방법론을 제안한 후, 선정한 연구 대상지를 중심으로 실증연구를 이행하여 방법론의 중요한 관점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경관색채계획과 지역색에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여 연구의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후, 지역색에 관한 기존연구들을 세부적으로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경관색채계획의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정한 연구 대상지에 구축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경관색채계획을 이행함으로써 방법론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제주도로 정하였다. 제주도는 자연, 지형적 특성과 더불어 그 속에서 형성된 고유한 문화풍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연과의 시각적 조화로움, 전통적 경관의 배려가 결여된 경관을 가진 상황이다. 제주다운 풍경을 되찾는 것에 주력하여 경관색채계획의 방법론을 이행한 결과 수립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색을 형성한다고 판단되는 요소를 추출함에 있어서, 대상지의 기후, 지리적 위치, 지형지세, 토양과 같은 풍토적 요소와 역사, 고유한 생활양식과 같은 문화적 요소가 선정배경이 되어야 한다. 풍토, 문화적 배경을 고려함으로써, 대상지의 고유성에 초점을 맞춘 요소 선정이 가능하기 가능하며, 지속적 관점을 가진 색채계획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시스템적 사고의 관점에 근거하여 자연경관요소, 현대주거경관요소, 전통문화경관요소, 역사문화경관요소 간 관계성을 파악하는 분석단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경관색채계획 시 전체적인 조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개별적 부분에만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부분과 부분을 종합적으로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 조사한 색채를 분석할 때에는 색채의 범위에 대한 경계를 명확히 제시하여야 한다. 지역색 요소 간 색상 및 색조범위를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할 시 색채계획을 이행하는 단계에서 많은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색채기준을 제시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수립한 관점은 지역색 기반의 경관색채계획 시 중요하게 고려되어 실질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 방법에 있어 일부분 시공간적 조건에 따른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지역의 공간적, 시간적 배경을 고려하여 지속적 관점을 가진 지역색 구성요소 선정 밥법을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갖는다.;Local sceneries have been standardized due to application of modernism and capitalism on cities and the importance of landscape color planning based on a city’s unique environment and history is being realized. However, methodological research on the unique color element is insufficient. Therefore, systematic methodology which can be applied on local landscape color planification is suggested in this paper. Finally, crucial viewpoints of the methodology is established through empirical studies on selected research area. Prior to solidifying the methodology,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landscape color planning and local color were researched and studied in detail.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implications were deducted and the methodology was suggested. Then, the methodology was applied on the chosen research area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ology. Jeju island is selected as the research area. Despite Jeju island’s unique environment,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background, the island lacks visual balance between the environment and traditionally unique landscape. Landscape color planning methodology is applied on the jeju area in order to make jeju look more ‘jeju-is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natural components and cultural elements need to be considered when extracting local color of the selected area. Natural components include climate, geographical location, topography, and soil. Cultural elements contain history and life style. Uniqueness of the objected area can be emphasized by considering natural and cultural components and since these elements are everlasting, color planification may be conducted in unchanged point of view. Secondly, relationships among natural landscape, modern housing landscape, traditional culture, and historical culture have to be analyzed based on systemized viewpoint. Comprehensive understanding rather than individual focusing on each component is essential when planning landscape color. Lastly, boundary of colors needs to be clear when analyzing the observed colors. Quantitative and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component color reduce error when applying the color planning and help standardizing relatively precise and definite color. Viewpoints and outcomes of the research can be practically used when planning landscape color based on local color. Although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may contain spatiotemporal limitations, the paper is significant as it thoroughly suggests selection method of local color components considering both spatial and temporal backgrounds of the a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A. 경관색채계획 5 1. 경관색채의 개념 5 2. 경관색채계획의 관점 6 3. 경관색채계획의 전개방법 8 B. 지역색 기반의 경관색채계획 11 1. 지역색의 개념 11 2. 지역색 구성요소 13 3. 지역색 기반의 경관색채계획의 전개방법 16 Ⅲ. 지역색 기반의 경관색채계획 전개방법론 제안 18 A. 선행연구의 검토와 논점의 제시 18 1. 선행연구의 검토 18 2. 방법론의 기본방향 23 B. 지역색 기반의 경관색채계획 전개방법 구축 24 1. 대상지 고찰 25 2. 지역색 색채현황 조사 및 분석 26 3. 사례지역 색채현황 조사 및 분석 30 4. 색채계획안 제안 31 Ⅳ. 지역색을 기반으로 한 제주도 주거경관 색채계획 33 A. 대상지 고찰 33 1. 대상지 개요 33 2. 대상지 상위지침 38 B. 지역색 색채현황 조사 및 분석 41 1. 지역색 구성요소 선정 41 2. 색채 조사범위 및 조사방법 42 3. 제주도 지역색 색채정보 구축 46 4. 지역색 요소 간 관계 분석 66 C. 사례지역 색채현황 조사 및 분석 75 1. 미국 캔트랜즈 75 2. 일본 가나자와시 82 D. 색채기준 제안 89 1. 자연경관과 전통주거경관을 고려한 범위 89 2. 역사문화경관을 고려한 범위 93 Ⅴ. 결론 96 참고문헌 99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6222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지역색 기반의 경관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제주도 현대 주거경관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Landscape color planning methodology based on local color : study on jeju island modern housing landscape-
dc.format.pagex,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