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민혜성-
dc.creator민혜성-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7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5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798-
dc.description.abstract디지털 기기(스마트폰, UHD TV 등)를 통한 온라인 상품 구매가 급속도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에 실제 제품과 화면 이미지의 차이로 인한 구매제품의 반품도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특히 화면이미지 상에서 구매자가 느끼는 감성적 감각에 의한 인지적 판단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시각적 측면 이외에 촉감적인 요소가 더해졌을 때의 시각적 촉감(Visual Tact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조금 더 고려하여 실제 이미지와 유사하도록 나타내준다면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단의 실제소재와 화면이미지의 시각적 감각 차이와 유사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 샘플인 가죽과 섬유원단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시각적 감각 형용사들을 추출하였으며, 원단 소재의 시각적 요인을 요철크기, 요철깊이, 광택도, 투명도로 분류하였다. 또한 감각평가 결과를 통해 첫째, 원단 소재의 시각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감각평가 항목과 실제소재와 화면이미지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으며 둘째, 실제소재와 화면이미지의 유사정도를 상위 순위와 하위 순위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죽원단에서는 첫째, 실제소재와 화면이미지의 시각적 요인인 요철크기, 요철깊이, 광택도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으나, 요철크기와 요철깊이에 비해 광택도는 두께감, 경도감, 요철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철크기가 크거나 요철깊이가 깊으면 실제소재보다 화면이미지에서 느껴지는 감각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거칠기와 요철감은 화면이미지에서의 감각평가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다른 감각 형용사에 비해 소재의 요철특성이 그림자의 영향을 받아 음영이 생기므로 화면이미지에서 더 과장되어 표현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광택감은 요철크기, 요철깊이, 광택도가 화면이미지보다 실제소재에서 느껴지는 감각의 정도가 더 높게 평가되었고, 요철크기와 요철깊이는 중간일 때‘광택없게’, 광택도는 반광일 때‘광택있는’으로, 무광일 때는‘광택없는’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소재보다 화면이미지에서의 광택도 차이를 덜 느끼는 것으로, 화면이미지에서의 광택도 구현이 실제소재보다 약하게 표현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섬유원단에서는 첫째, 시각적 요인인 요철크기, 요철깊이, 투명도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광택도는 섬유원단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투명도를 제외한 요철크기, 요철깊이, 광택도는 거칠기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험자마다 느끼는 섬유원단의 거칠기에 대한 감각평가 차이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셋째, 온도감과 결감은 모두 화면이미지보다 실제소재에서의 감각평가가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온도감과 결감이 다른 감각 형용사에 비해 피부의 촉감과 연관성이 높으며 화면이미지로 보는 것 보다 실제소재로 볼 때 감각이 더 느껴지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넷째, 신축감, 두께감, 밀도감은 재질의 질감과 연관성이 더 높기 때문에 온도감과 결감에서 느껴지는 것과는 반대로 실제소재보다 화면이미지에서 감각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원단소재의 표면특성이 화면이미지에서 더 부각되어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가죽원단과 섬유원단의 유사정도 평가에서는 첫째, 가죽원단에서는 요철크기가 작거나 요철깊이가 얕으면 유사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가죽원단의 요철크기가 크거나 요철깊이가 깊으면 유사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가죽원단과 반대로 섬유원단에서는 요철크기가 크고 요철깊이가 깊으면 유사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요철크기가 작고 요철깊이가 얕으면 유사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가죽원단과 섬유원단을 비교해 보면 두 원단 모두 소재 본연의 질감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즉, 가죽원단은 요철과 결로 인하여 질감이 보이면 유사정도가 떨어지나, 섬유원단은 결이 보이면 유사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소재와 화면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시각적 감각의 차이와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일부 유의미한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온라인 매체 상에서 구매자의 시각적 감각을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As online product purchases through digital devices (smart phone, UHD TV, etc.) increase, product returns due to differences between the actual product and the screen image also occur. Cognitive judgment based on emotional senses from the screen image is especially important. Customer satisfaction could increase if factors that increase visual tactility were considered more to help the actual product look like the screen imag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isual tactilit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abric materials and their screen images. Visual sense adjectives appropriate for leather and textile were selected, and then visual factors for the fabric material were categorized based on embossing size, embossing depth, glossiness, and transparency. First, sensory assessment categories that affect visual factors for fabric material were compared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ctual product and the screen image through sensory assessment results. Second, similarities between the actual product and the screen image were divided into high and low ranking group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or leather fabric, First, while visual factors for the actual fabric and the screen image like embossing size, embossing depth, and glossiness were correlated; glossiness did not affect thickness, hardness, and embossing compared to embossing size and embossing depth. Second, when the embossing size is large or the embossing depth is deep, the emotions were higher for the screen image than the actual fabric. In particular, with roughness and embossing, embossing size was high in sensory assessments for the screen image. This is because the fabric’s embossing creates shadows that are exaggerated on the screen image compared to other visual adjectives. Third, with glossiness, the emotions were higher for the actual fabric than the screen image for embossing size, embossing depth, and glossiness. Results showed ‘Not glossy’ when embossing size and embossing depth were medium, ‘Glossy’ when half-glossy, and ‘Not glossy’ when non-glossy. This shows less perception for glossiness between the actual fabric and the screen image, which may be because glossiness is not expressed as well in the screen image compared to the actual fabric. For textile fabric, First, while visual factors like embossing size, embossing depth, and transparency were correlated; glossiness had little impact. Second, embossing size, embossing depth, and transparency had little impact on roughness. This is because the sensory assessment for the fabric’s roughness was different for each participant. Third, Sensory assessment for temperature and texture were both higher for the actual fabric than the screen image, which may be because they are more correlated to tactility than other sense adjectives and evoke stronger emotions with the actual fabric than the screen image. Fourth, since elasticity, thickness, and density are mo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fabric’s texture, sensory assessments were higher for the screen image than the actual texture. This is because the fabric’s surface characteristics appear exaggerated on the screen image. For assessment of similarity between leather and textile fabric, First, there was a high degree of similarity when the embossing size was small or the embossing depth was shallow for leather, whereas the degree of similarity was low when the embossing size was large or the embossing depth was deep. Second, in contrast with leather, there was a high degree of similarity when the embossing size was large and the embossing depth was deep for textile, whereas the degree of similarity was low when the embossing size was small and the embossing depth was shallow. Third, both leather and textile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fabric’s texture.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similarity was low when roughness and texture were apparent for leather, and the degree of similarity was high when the texture was apparent for textil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tual fabric with the screen image to understand visual sensory differences and causes. The results could then be applied to increase customer assessment of visual sensory factors for future online medi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5 A. 원단에 대한 이해 5 1. 가죽원단의 개념 및 분류 5 2. 섬유원단의 개념 및 분류 7 B. 시각적 촉감에 대한 이해 9 1. 시각의 특성 9 2. 촉각과 촉감 9 3. 시각적 촉감의 개념 10 4. 시각적 촉감의 구성요소 12 C. 원단소재의 질감평가 연구사례 분석 15 D. 실제소재와 화면이미지의 비교 연구사례 분석 16 Ⅲ. 원단의 시각적 촉감에 대한 감각평가 및 분석 18 A. 실험 설계 및 방법 18 1. 실험 대상 18 2. 실험 환경 및 실험 방법 19 3. 설문의 구성 20 B. 분석 도구 및 방법 22 1. 실험 샘플 선정 및 측정 22 2. 실험 샘플 분류 기준 32 3. 감각평가 형용사 추출 33 C. 시각적 촉감의 감각평가 분석 38 1. 요철크기, 요철깊이, 광택도가 감각평가에 미치는 영향 38 2. 가죽원단의 분석 결과 요약 57 3. 요철크기, 요철깊이, 광택도, 투명도가 감각평가에 미치는 영향 60 4. 섬유원단의 분석 결과 요약 76 Ⅳ. 원단의 실제소재와 화면이미지의 유사정도 평가 분석 81 A. 실험 설계 및 방법 81 1. 실험 대상 81 2. 실험 방법 및 설문 구성 81 B. 실제소재와 화면이미지의 유사정도 평가 결과 83 1. 가죽원단 83 2. 섬유원단 89 Ⅴ. 결론 및 제언 97 참고문헌 103 ABSTRACT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194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원단의 실제소재와 디지털 화면이미지의 시각적 감각평가 차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ifference of the visual sensory assessment between the actual fabric and its digital image on the screen.-
dc.format.pagexii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