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영근-
dc.contributor.author김보리-
dc.creator김보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0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4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02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정악 중 여민락 계통의 곡인 여민락, 본령, 여민락 만, 해령을 바탕으로 창작된 안현정 작곡 <피리, 가야금을 위한 ‘신여민락지곡(新與民樂之曲)’>을 주제로 삼고 분석하였다. 창작곡 <신여민락지곡>은 피리연주자 강영근의 위촉에 의해 2012년 작곡가 안현정이 작곡한 곡으로 피리와 가야금의 2중주로 구성되어 있다. 총 178마디 다섯 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新여민락A>, <新본령>, <新만>, <新해령>을 차례로 연주한 후 다시 <原여민락>을 주제로 다룬 <新여민락B>로 돌아와 종지하는 구성이다. 이때 <新여민락A>는 향피리로 연주하며 <新본령>, <新만>, <新해령>은 원곡과 동일하게 당피리로 연주 한 후 <新여민락B>는 다시 향피리로 연주하는데 이는 원곡에서 <原여민락>이 향피리로 연주되고 <原본령>, <原만>, <原해령>이 당피리로 연주되는 것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본 곡의 분석을 위하여 곡의 빠르기, 박자, 조성, 선율구조에 따라 악곡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누고 여민락 계통의 정악곡인 <原여민락>, <原본령>, <原만>, <原해령>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장의 기준 박을 중심으로 동일선율, 유사선율, 창작선율을 분류하여 곡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각 장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첫 번째 악장인 <新여민락A>는 <原여민락> 1장의 피리선율을 주제로 하였으며 총 55마디로 빠르기는 󰁜=30이며 제23마디에서 빠르기 󰁜=60으로 전환한다. 12/8박자이며 조성은 A♭장조 –f 단조 –A♭장조로 진행하며 E♭평조와 F계면조의 두 음계로 이루어져 있다. <新여민락A>의 피리는 전반부인 A단락에서 <原여민락> 선율과 동일선율로 진행하며 후반부인 B, C단락에서는 <原여민락>의 黃·太·仲·林·南 5음음계를 유지하되 3분박의 리듬진행과 당김음 리듬을 활용하여 리듬을 변형시킨 선율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가야금은 <原여민락>을 바탕으로 창작된 피리선율과 유사한 음정으로 진행하고 黃·太·仲·林·南 5음음계의 음을 바탕으로 수직적 화음을 쌓아 반주하는 등의 새로운 반주형태로 진행한다. 둘째, 두 번째 악장인 <新본령>은 <原본령>의 피리선율을 주제로 하였으며 총 12마디로 빠르기는 󰁜=60이다. <原본령>에서 나타나는 불규칙 무(無)장단의 형태를 모티브로15/8, 9/8, 18/8, 24/8의 박자들이 불규칙하게 등장하며 조성은 F 장조로 진행한다. <新본령>의 피리는 전반부인 A단락에서 <原본령>의 선율과 동일한 선율로 진행하며 후반부인 B단락에서는 이를 더욱 축약한 음정에 새로운 리듬을 부가하여 진행한다. 가야금은 피리선율의 주제음을 토대로 하여 창작한 선율로 진행하는데 전반부인 A단락에서는 3분박의 단조로운 리듬으로 진행하며 후반부인 B단락에서는 󰁔으로 분할된 리듬과 분산화음형으로 전반부와 대비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셋째, 세 번째 악장인 <新만>은 <原만>의 피리선율을 주제로 하였으며 총 31마디로 빠르기는 󰁜=60의 이며 <原만>에서 나타나는 불규칙 무(無)장단의 형태를 모티브로 6/8, 9/8, 15/8, 12/8, 18/8의 박자들이 불규칙하게 등장한다. 조성은 d 단조로 B단락인 제79마디~제92마디가 반복으로 진행한다. <新만>의 피리는 전반부인 A단락에서 <原만>을 주제로 한 유사선율로 진행하다가 점차 창작선율로 변화한다. 이후 후반부인 B, C단락에서 <原만>을 주제로 한 창작선율로 진행하며 주제선율이 옥타브 중복, d단조 조성감 형성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전한다. 가야금은 󰁔로 형성된 리듬의 창작선율로 진행하며 <原만>의 黃·太·姑·仲·林·南·應 7음음계에 E, B♭음을 추가하여 음계의 확장을 보인다. 넷째, 네 번째 악장인 <新해령>은 <原해령>의 피리선율을 주제로 하였으며 총 32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빠르기는 󰁜=40, 박자는 12/8, 조성은 F 장조로 진행한다. <新해령>의 피리는 A, B단락 전체에 걸쳐 <原해령>의 피리선율과 동일한 선율 또는 주요음을 토대로 리듬을 변형시킨 형태의 유사선율로 진행한다. 가야금은 <原해령>의 黃·太·仲·林·南 5음음계에 E, B♭음을 추가하여 확장된 음계를 보이고 당김음을 포함한 분산화음형 등의 새로운 반주형을 제시하였다. 창작된 피리와 가야금 선율간의 대위적인 움직임이 특징적이며 피리선율에 화음형, 종지악절에서 으뜸음으로의 해결이 악절에 나타나면서 d단조 조성감을 명확히 하였다. 다섯째, 마지막 악장인 <新여민락B>는 <原여민락> 4장의 피리선율을 주제로 하였으며 총 48마디로 빠르기는 󰁜=75, 9/8박자이다. 조성은 A♭장조로 진행하다가 b♭단조와 A♭장조가 모두 나타나는 복조성으로 진행한다. <新여민락B>의 피리는 전반부인 A단락 중 A′-a″까지 <原여민락> 4장의 피리선율과 동일한 선율로 진행하다가 A′-b′부터 <原여민락>의 형태를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창작구간으로 형성된다. 가야금은 헤미올라를 동반한 독립적 반주선율이 등장하고 <新해령>에서 나타났던 창작선율과 유사한 형태인 󰁔로 분할된 리듬으로 진행하다가 수직적 화성으로 맺는 종지구가 나타난다. 또한 A♭장조와 b♭단조의 음계가 함께 나타나는 복조성이 나타난다. A단락부터 C단락까지 진행하며 창작선율의 요소를 다양화 하면서 긴장감을 형성하고 마지막 악절에서 다시 <原여민락>과 같은 A♭음계음을 피리 주선율에 배치함으로써 <原여민락>의 주제요소를 보이며 곡을 완결시킨다. 이와 같이 분석한 결과 창작곡 <신여민락지곡>은 <新여민락A>, <新본령>, <新만> 각 단락의 마지막 부분은 다음 단락의 요소를 예고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졌으며 <新해령>은 A단락의 전통적인 요소를 사용하여 B단락을 진행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다시 여민락으로 돌아오는 <新여민락B>는 각 단락 마지막 부분에 동일한 화음유형을 사용하고 있는 점과 마지막 부분에 앞서 나왔던 화음요소들을 융합적으로 사용하는 등 복합적 구조로 이루어지는 점을 보아 정악 여민락 계통 음악의 전통적인 요소를 보다 현대음악적인 구조로 배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곡의 분석연구를 통해 <신여민락지곡>이 전통의 창작화를 시도하였고 정악이라는 주제를 통해 창작이라는 범주 안에서 다채로운 변화 및 원곡의 예술성을 음악적으로 표현하였음이 나타났다. 이는 전통음악 중 정악을 바탕으로 한 창작곡으로 현대의 정악이 발전해 나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작곡가의 의도가 분명하게 드러난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연구를 통해 <피리, 가야금을 위한 ‘신여민락지곡(新與民樂之曲)’>을 연주할 연주자들에게 곡의 이해를 돕고 피리 창작곡의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This thesis analyzes <‘Sinyeominrakjikok’ for Piri and Gayageum> based on Yeominrak(與民樂), Bonryung(本令), Yeominrak man(與民樂慢) and Hearyung(解令) in classical music of ‘Yeominrak’ style. Hyun-Jung An as request of the Piri player Kang Young-Geun composed this song in 2012, and it is made of Piri and Gayageum duet. This song is composed of total 178 bars and 5 chapters, and it is finished again with <New-YeominrakB> based on <Original-Yeominrak> after playing <New-YeominrakA>, <New- Bonryung>, <New-Man> and <New-Hearyung> in order. At this time <New-YeominrakA> is played on Hyang Piri, <New- Bonryung>, <New- Man> and <New-Haeryung> are played on Dang Piri and <New-YeominrakB> is played again on Hyang Piri. It seems that <Original- Yeominrak> is played on Hyang Piri and <Original-Bonryung>, <Original- Man>, <Original-Haeryung> are played on Dang Piri from the original song. For analysis of this song, this thesis divided structures of it in detail by tempo of tunes, beats, composition and structures of melody and compared with <Original-Yeominrak>, <Original-Bonryung>, <Original- Man>, <Original-Haeryung> in Yeominrak style classical music. Also this analysis identifies the features of this song by sorting the same melody, similar melody and created melody on the basis of a standard bar in each chapter.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s in each chapter is as follows. Firstly, the first chapter <New-YeominrakA> is based on the Piri melody of chapter 1 in <Original-Yeominrak>, and its tempo in 55 bars is switched from 󰁜=30 to 󰁜=60 at the 23rd bar. This chapter is 12/8 beat. Also, the composition consists of E♭pyung-jo and F gae-myun-jo and progresses on A♭major –f minor –A♭major in order. It features that Piri of <New-YeominrakA> progresses with the same melody of <Original- Yeominrak> in A paragraph and the Piri keeps Hwang-Tae-Jung- Rim-Nam(黃·太·仲·林·南) 5 scales transforming the form of melody with utilizing triple-time rhythm progress and syncopations in B, C paragraphs. Gayaguem proceeds to parallel tune with Piri’s melody created by <Original-Yeominrak>, and it is played on a new accompaniment that piles chords vertically based on Hwang-Tae-Jung-Rim-Nam(黃·太·仲·林·南) 5 scales. Secondly, the second chapter <New-Bonryung> follows the Piri melody of <Original-Bonryung> and the tempo is 󰁜=60 in 12 bars. In addition, it includes 15/8, 9/8, 18/8, 24/8 beats with irregular-no rhythm in <Original-Bonryung> and consists of F major. Piri in <New-Bonryung> is progressed on the same melody with <Original-Bonryung> in A paragraph and it uses abbreviated tunes of A paragraph with the new rhythm in B paragraph. Gayaguem is played on the melody created by the melody of Piri, and it shows the monotonous rhythm of triple time in A paragraph and divided rhythm into 󰁔 (broken-chord form) in B paragraph as a contrastable form between A and B paragraph. Thirdly, the third chapter <New-Man> is based on Piri melody of <Original-Man> and its tempo is 󰁜=60 in 31 bars, and it appears 6/8, 9/8, 15/8, 12/8, 18/8 beats irregularly following the form of irregular-no rhythm in <Original-Man>. The composition is D minor and it repeatedly progresses of 79th to 92th bars in B paragraph. Once the melody of Piri in <New-Man> continues on the similar melody based on <Original-Man> in A paragraph, it changes to the creative melody gradually. Since then it progresses on the creative melody based on <Original-Man> in B, C paragraphs and emerges as octave repeat of the main melody, D minor atmosphere, etc. into various forms. In the case of Gayaguem, it progresses on creative melody made by 󰁔 and extends a scale of Hwang-Tae–Go-Jung-Rim-Nam-Eung(黃·太·姑·仲·林·南·應) 7 scales in <Original–Man> by adding E, B♭sounds. Fourthly, the fourth chapter <New-Hearyung> is based on Piri melody of <Original-Hearyung>, tempo is 󰁜=40, beat is 12/8 and the composition is F major. The melody of Piri in <New-Hearyung> is proceeded on the same or transformed melody of the Piri melody in <Original-Hearyung> through A and B paragraphs. The melody of Gayaguem shows an extended scale on Hwang-Tae-Jung-Rim-Nam(黃·太·仲·林·南) 5 scales of <Original- Hearyung> with E, B♭sounds and suggests a new accompaniment form such as broken-chord form including syncopation. This chapter features the contrasting movement between Piri and Gayaguem, and it clarifies D minor atmosphere by finishing a chord form and a keynote in Piri melody and at the last passage respectively. Fifthly, the last chapter <New-YeominrakB> is composed of 48 bars following the Piri melody of 4 chapter in <Original-Yeominrak> and tempo is 󰁜=75, 9/8 beat. It progresses with A♭major first, and then it changes the composition to bitonality that appears both b♭minor and A♭major. In the case of Piri in <New-YeominrakB>, once it keeps the same melody from A to a″in A paragraph on chapter 4 of <Original-Yeominrak>, it shows a creative section from A′to b′, which almost removes the form of <Original-Yeominrak>. Once it plays on Gayaguem with independent accompaniment melody accompanying Hemiola, it is progressed with similar-divided rhythm into 󰁔 as creative melody of <New-Hearyung> and finishes vertical harmony. Also, this chapter shows both A♭major and b♭minor scale in the same time(Bitonality). With the progress from A paragraph to C paragraph, it diversifies sectors of creative melody and makes suspense. At the last passage, it completes this piece in the subject of <Original-Yeominrak> by assigning A♭sound to main melody as <Original-Yeominrak>.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created music <Sinyeominrakjikok> has a distinctive structure to herald the sector of a next paragraph at last part of each paragraph of <New-YeominrakA>, <New-Bonryung> and <New-Man>. <New-Hearyung> uses a traditional sector of A paragraph for progressing B paragraph. I realized that <YeominrakB>, which is back to <Original-Yeominrak> again, puts sectors of classical-Yeominrak style music into a modern-musical structure because it uses the form of same harmony at the last part of each paragraph and consists of a complex structure utilizing sectors of harmony that appeared at the last part multiply. From analysis and study of this music, this analysis is sure that ‘Sinyeominrakjikok’ tried creation of tradition, and it expressed various changes and artistic value of an original piece within creation through a classical music subject. The composer seem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modern-classical music for improvement by writing created music based on classical music in traditional music. I expect to help the players who would play <‘Sinyeominrakjikok’ for Piri and Gayaguem> to understand this song better. Furthermore, I hope the study of this thesi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ed musi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7 Ⅱ. 본론 9 A. 안현정의 음악적 배경 및 작품경향 9 B. 피리, 가야금을 위한 <신여민락지곡> 작품개관 15 1. 작품해설 15 2. 악곡구조 18 C. 피리, 가야금을 위한 <신여민락지곡> 분석 21 1. <신여민락지곡> 中 <新여민락A> 26 2. <신여민락지곡> 中 <新본령> 45 3. <신여민락지곡> 中 <新만> 53 4. <신여민락지곡> 中 <新해령> 66 5. <신여민락지곡> 中 <新여민락B> 76 Ⅲ. 결론 91 참고문헌 96 부 록 100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6858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안현정 작곡 <피리, 가야금을 위한 ‘신여민락지곡(新與民樂之曲)’>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nalysis of <‘SinYeoMinRakJiKok’ for Piri and Gayageum> Composed by An Hyun-jung-
dc.format.pagevi, 124 p.-
dc.contributor.examiner문재숙-
dc.contributor.examiner안현정-
dc.contributor.examiner류정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