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조원행 작곡 <대금, 25현가야금, 장고를 위한 중주곡 ‘휴(休)’> 분석연구

Title
조원행 작곡 <대금, 25현가야금, 장고를 위한 중주곡 ‘휴(休)’> 분석연구
Other Titles
Ensemble‘Hyu(休)’for Daegeum, 25-string Gayageum, and Janggo
Authors
김명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본 연구는 <대금, 25현 가야금, 장고를 위한 중주곡 ‘휴(休)’>를 분석한 것이다. 본 악곡은 단악장형태로 박자와 템포를 기준으로 악곡의 전체적인 구조를 알아보고, 각 단락별로 선율진행과 리듬의 변화를 대금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를 분석한 결과를 단락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단락은 3/4박자와 4/4박자의 혼합박자로 구성되고, 단락의 세부구조는 도입부, A, 연결부Ⅰ로 나누어져 ♩=56 느림으로 fm-화성단음계가 진행된다. 대금은 c¹~dᵇ³음역으로 4연음으로 상행과 하행진행을 반복하고, 리듬을 점층적으로 세분화하여 동형진행과 유사진행을 나타낸다. 또한 싱코페이션을 나타내어 곡의 다이나믹을 더한다. 가야금은 대금과 반진행, 병진행으로 선율을 주고받는 진행을 나타내고, 2분음 리듬으로 3화음 선율을 많이 나타낸다. 장고는 대금의 싱코페이션 리듬을 정박으로 보조하고, 선율이 강조되는 부분을 동일 리듬으로 나타내어 대금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B단락은 12/8박자이고 ♩=120로 빠름으로 분위기가 전환된다. B부분으로 구성되고, fm-화성단음계로 진행된다. 대금은 dᵇ¹~c³음역으로 A단락보다 음역이 축소되어 선율을 나타낸다. 대금은 육자배기 토리 구성음 f²-aᵇ²-g²-c³으로 선율을 나타내고, 동형진행과 유사진행이 반복된다. 가야금은 3연음 반복 진행을 많이 나타내고 대금의 쉬는 마디를 새로운 선율로 선진행하여 대금의 진행에 반주역할로 보조한다. 대금의 선율과 진행에 병진행, 반진행이 나타난다. 대금과 가야금, 장고는 3분박과 2분박의 리듬이 동일한 리듬과 교차된 리듬으로 나타나고, B부분 후반부에서 동일한 셈여림으로 표현하여 모든 악기가 같은 분위기를 나타낸다. C단락은 12/8박자와 6/8박자, 3/4박자의 혼합박자로, 단락의 세부구조는 템포 ♩= 40와 ♩=56으로 느리게 나타나며, 연결부Ⅱ와 C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음계는 fm-자연단음계와 fm-화성단음계로 진행된다. 대금의 음역은 c¹~eᵇ³음역으로 B단락의 축소된 음역을 다시 확대한다. 연결부Ⅱ는 대금의 독주선율로 ♩=40의 느린 템포지만 8분음 리듬을 32분음리듬 4연음으로 반복적으로 나타내어 선율의 진행을 빠르게 연출한다. C부분에 ♩=56으로 빠르기가 변화되어 B단락의 빠른 분위기와는 다른 서정적인 분위기로, A단락과 유사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대금은 꾸밈음을 표현하여 선율을 확대하거나 축소로 진행한다. 가야금은 3화음진행과 유사진행이 많이 나타내고, 대금과 진행에 반진행과 동형진행으로 선율을 나타낸다. 또한 대금보다 리듬을 선진행하여 새로운 리듬을 제시하기도 한다. 장고는 중모리장단에 속한 리듬을 나타낸다. B'단락은 4/4박자와 12/8박자의 혼합박자로 구성되며, 단락의 세부구조는 템포는 ♩=124, ♩=124 빠른 분위기로 B', B, B"로 나누어지고 fm-자연단음계와 fm-화성단음계로 진행된다. 대금의 음역은 bᵇ~f³으로 가장 확대된 음역으로 선율을 나타낸다. B'단락은 B단락의 재현으로 선율이 이루어진다. 조원행작곡 <대금, 25현 가야금, 장고를 위한 중주곡 ‘휴(休)’>는 단락별로 ‘느림과 빠름’이 교차되어 나타난다. 모든 악기는‘느림과 빠름’을 선율의 유사진행과 동형진행, 반복진행으로 축소나 확대되어 나타나고, 리듬은 반복리듬과 교차리듬으로 표현된다. 셈여림은 모든 악기가 동일한 셈여림과 상반된 셈여림으로 표현되며 가야금과 장고가 동일한 셈여림으로, 대금은 상반된 셈여림으로 교차된다. 본 연구가 이 곡을 연주할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다양한 연구들로 발전되어 빠르게 변화되는 창작국악에 대한 이해와 공감으로 기여하기를 기대해본다.;This research analyzed . This melody investigated the overall structure of melody based on meter and tempo as the single movement form, and analyzed melody motion and rhythm change per each paragraph based on Daegeum. The result of analyzing each paragraph is as follows. Paragraph A is combined with peculiar times, i.e. 3/4 meter and 4/4 meter, progressing fm-harmonic minor scale with ♩=56 slowness by being divided into intro, A, connection Ⅰ(bridge 1). Daegeum repeats upward motion and downward motion with quadruplet based on c¹~dᵇ³range of note, indicating melodic sequence and similar progress by progressively segmentalizing rhythm. Also, adds dynamic to the melody by expressing syncopation. Gayageum expresses the progress of giving and receiving contrary motion and melody with Daegeum, mostly expressing triad melody with minim rhythm. Janggo assists syncopation rhythm of Daegeum with regular beat, creating the same atmosphere as Daegeum by expressing the part where melody is highlighted by expressing with the same rhythm. Paragraph B is 12/8 meter, of which mood changes with ♩=120 tempo. It's composed of B part, progressing with fm-harmonic minor scale. Daegeum expresses melody by reducing the range of note compared to paragraph A with dᵇ¹~c³range of note. Daegeum expresses the melody with Yukjabaegi Tori(native word) keytone f²-aᵇ²-g²-c³, repeating melodic sequence and similar progress per 2 bars. Gayageum mostly expresses triplet repetitive sequence, assisting the melody of Daegeum with musicians role by performing first progress on the rest bar of Daegeum with a new melody. Parallel motion and contrary motion appear in the melody and progress of Daegeum. Daegeum, Gayageum, and Janggo display cross-rhythm of triplet and duplet, crossed with the same rhythm, accordingly, all instruments express the same atmosphere by expressing the same dynamics in the latter part of B part. Paragraph C is composed of peculiar times combined with 12/8 meter, 6/8 meter, and 3/4 meter, slowly expressing with tempo ♩=40 and ♩=56, divided into connection Ⅱ(bridge 2) and C part. Scale is progressed with fm-natural minor scale and fm-harmonic minor scale. Range of Daegeum is c¹~eᵇ³, which again expands the reduced range of paragraph B. ConnectionⅡ is a solo melody of Daegeum with slow tempo of ♩=40, however rapidly producing quaver rhythm by repeatedly expressing rhythm with demisemiquaver rhythm quadruplet. In C part, tempo changes to ♩=56, creating a similar atmosphere to paragraph A as more lyrical atmosphere different from paragraph B's rapid atmosphere. Daegeum expands the range of the melody in C part, while expanding or reducing the melody. Gayageum expresses similar progress to 3-harmonic progress, expressing melody with contrary progress and same progress along with Daegeum. Also, it suggests a new rhythm by progressing rhythm prior to Daegeum. Janggo expresses the rhythm that belongs to Jungmori jangdan(native word). Paragraph B' is composed of combination of 4/4 meter and 12/8 meter, of which tempo is divided into B', B, B" along with ♩=124, ♩=124 tempo atmosphere, progressing with fm-natural minor scale. Range of Daegeum is bᵇ~f³, expressing melody with most expanded range. Paragraph. B' creates melody with the recapitulation of paragraph B. Jo, wonhaeng's composition expresses 'slowness and rapidness' crossedly. All instruments express 'slowness and rapidness' with similar progress, same progress, and repeated progress through reduction and expansion of melody, while rhythm appears through repeated rhythm and crossed rhythm. Dynamic is expressed on all instruments with the same dynamic and contrary dynamic, crossing the same dynamic in Gayageum and Janggo, while contrary dynamic in Daegeum. The researcher wishes the above research could be helpful for the musicians who would perform this melody. Also, the researcher expects the above research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a part of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rapidly changes, henceforth, connected to further various research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