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희-
dc.contributor.author전영선-
dc.creator전영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1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4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131-
dc.description.abstractThe social welfare is a measure to promote the social life net such as the basic sustentation assistance targeting vulnerable social group such as the low-income bracket, and the culture welfare is a public service concept that provides various culture benefits to raise a quality of life more through the minimum cultural life after being born as a human. Also, the talent donation is a new donation pattern that individuals contribute to the society by using their talent. That is, they contribute to the society by donating their talent to the social groups or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that the donation culture is not activated, the in-depth study on the talent donation effect is not conducted. There is no plan of talent donation utilization for removing the culture welfare blind spo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lture welfare blind spot of culture artists and general people and the awareness degree on the talent donation,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domestic/overseas cases for the removal of culture welfare blind spot and the activation of talent donation. Furthermore, the utilization plan of the talent donation for removing the culture welfare blind spot will be looked for through the talent donation. A survey on the blind spot of culture welfare, awareness of talent donation, and the direction to progress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using the cross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nd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tudents, culture artists, and other occupational clusters to look at the awareness on the cultural welfare blind spot and the talent donation. The obtained result through the questionnaire is as follows. First, in response to an awareness question that 'who is the main subject of the talent donation activity in donating the talent?', all occupational clusters chose the cultural artists the most. Culture artists recognize they had to lead the talent donation. The 'talent' tends to be recognized as an artistic ability generally. It is analyzed the talent donation of the cultural art field is recognized as the exclusive property by culture artists. Second, in the awareness on the target of the cultural welfare blind spot and their age for whom the talent donation should be supported preferentially, three occupational clusters showed a high response rate to child head of household and the adolescents. It is a result that adolescents should contact a lot of chances to enjoy the culture and they had the biggest burden in terms of the cost for enjoying culture. Thir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talent donation affects the improvement requirements of the talent donation utilization for removing the cultural welfare blind spo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fact the economic support and the connection to donation targets should basically be conducted. However, people experiencing the talent donation answered the support for donators was necessary and people not experiencing the talent donation answered the information on the talent donation was necessary. It is interpreted that there are few donators while there are many donation targets(beneficiary) in the talent donation field, donators who are willing to donate their talent cannot participate in the talent donation because there is little information. In addition,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 promotion for the talent donation was inadequate regardless of occupational cluster and the policy should be done by government. In conclusion, the government should lead the talent donation policy and spread it through the public relations to remove the cultural welfare blind spot in Korea. In the case analysis, domestic cases and the cases from US, England, and Japan were compared & analyzed. As for domestic cases, the 'cultural art honorary teacher program' and 'silver volunteer team reading books' were examined. As for overseas cases, 'Arts to Grow' and 'ASTEP(Artists Striving To End Poverty)' from US, Art & Business from England, and 'Community Art Funabashi' and 'Artist Bank' system from Japan were selected. In US, non-profit groups are carrying out the talent donation initiatively and the talent donation is being spread through the systematic group operation while groups are competing one another. In England, although the government suggests the policy initiatively, they are trying to reduce the reliance on the government and expand to the private area. In Japan, although the government is leading the talent donation, the talent donation is being activated by local governments using the developed local self-government. Although our country should implement the talent donation support policy under the government's initiative now, we should try to expand into the private area by benchmarking the English cases. Also, a result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also fulfill their role to spread the talent donation as Japanese cases. Through the questionnaire result analysis and the case analysis, the talent donation use plan as a solution to removing the cultural welfare blind spot was proposed as follows. As a short-term plan, first, the donator target scope should be expanded from culture artists to general people. Second, the government lead talent donation infrastructure should be expanded. Third, the specialized program for culturally alienated classes should be developed. As a long-term plan, first, the change of talent donation beneficiaries' role, second, development of the talent donation network and integrative system, third, establishing the privately led talent donation culture. It is hoped the inadequate needs of currently acting talent donators in cultural art field are satisfied by using this study's suggestions, and highly motivated people willing to donate their talent are attracted to the talent donation field in order to contribute to removing the cultural welfare blind spot. For this, the policy support and the change of public awareness should be promoted.;문화복지는 인간으로 태어나 최소한의 문화적 생활 영위를 통해 삶의 질을 한층 제고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향유 혜택을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의 개념이다. 한편 재능기부는 개인이 가진 재능을 사회에 공헌하는 새로운 기부상을 말한다. 기부 문화가 그리 정착되지 않은 우리나라는 재능기부 효과나 문화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재능기부 활용 방안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인과 일반인들의 문화복지 사각지대와 재능기부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문화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재능기부 활성화를 위한 국내외 사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나아가 재능기부를 통하여 문화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재능기부의 활용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우선 설문지를 활용하여 문화복지 사각지대와 재능기부의 인식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차분석, 분산분석, 빈도분석 등을 사용하였으며 직업군 중 학생, 문화예술인, 그 외 직업군 등 총 세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능기부를 함에 있어서 주된 재능기부 활동 주체자가 누구인가’ 라는 인식 문항에 대해 모든 직업군이 문화예술인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문화예술인들도 스스로를 재능기부를 주도해야 하는 역할을 지닌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재능’이라는 것이 곧 예술적인 능력으로 인지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보이며 문화예술분야의 재능기부는 문화예술인들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이 내재되어 있다고 분석된다. 둘째, 재능기부를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문화복지 사각지대의 대상에 대한 인식에서는 세 직업군 모두 소년소녀가장과 청소년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는 청소년 시기에 문화향유의 기회를 많이 접해야 하며 문화향유를 위한 비용 부담이 가장 클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이다. 셋째, 재능기부의 참여경험은 문화복지 사각지대의 해소를 위한 재능기부 활용의 개선 요구사항에 영향을 미친다. 재능기부 경험자는 기부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다수 응답했고 재능기부 미경험자는 재능기부에 대한 정보, 기부대상자와의 연결이 우선 지원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이는 재능기부의 현장에서 기부대상자(수혜자)는 많지만 기부자는 부족하고 정작 재능기부의 뜻이 있는 기부자들은 정보가 부족하여 재능기부 참여를 못 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그 외에 공통적으로 재능기부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고 정부 주도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문화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서 정부가 재능기부 정책을 주도하며 홍보를 통해 확산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례분석에서는 국내 사례와 미국·영국·일본의 사례를 들어 비교분석하였다. 국내 사례는 ‘문화예술 명예교사 프로그램’과 ‘책 읽어 주는 실버봉사단’을 살펴보았다. 해외사례로는 미국의‘Arts to Grow’와 ‘ASTEP(Artists Striving To End Poverty)’, 영국의 ‘아트&비즈니스(Art&Business)’, 일본의 ‘커뮤니티 아트 후나바시’와 ‘아티스트뱅크’제도를 선정했다. 미국은 비영리 단체가 주도적으로 재능기부를 실행하고 있고 단체들끼리 서로 경쟁하며 체계적인 단체 운영을 통해 재능기부가 확산되고 있었다. 영국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정책을 제안하지만 정부의 의존도를 낮추고 민간영역으로 확대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일본은 정부가 주도하고 있지만 발달된 지방자치를 활용하여 지자체 주도로 재능기부가 활성화되고 있었다. 이에 비추어 현재 우리나라는 정부주도형으로 재능기부 지원정책을 펼쳐야 하지만 영국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민간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일본 사례와 같이 지방자치단체도 재능기부 확산을 위한 제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설문조사의 결과분석과 국내외 사례분석에 근거하여 문화복지 사각지대 해소 방안으로서의 재능기부 활용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먼저 단기적인 방안으로 첫째, 문화예술인 중심에서 일반인 중심으로 기부자 대상범위 확대, 둘째, 정부 주도의 재능기부 인프라 구축 확대, 셋째, 문화소외 계층에 대한 특화된 프로그램 개발 등이 있다. 중·장기적인 방안으로는 첫째, 재능기부 수혜자의 역할 변화, 둘째, 재능기부 네트워크 및 통합시스템 개발, 셋째, 민간 주도의 재능기부 문화 정착 등이 있다. 본 연구의 제언들을 활용하여 현재 활동하고 있는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자들의 부족한 욕구를 채워주고 재능기부 활동을 하고자 하는 의욕 있는 사람들을 재능기부 현장으로 이끌어 내 문화복지 사각지대의 해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 및 사회의 인식변화를 도모하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및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3 C. 연구방법 및 방향 7 Ⅱ. 이론적 배경 9 A. 문화복지 사각지대의 개념 및 현황 9 1. 문화복지의 개념 9 2. 문화복지 사각지대의 범위와 현황 10 B. 재능기부의 개념 및 범위 16 1. 재능기부의 역사 및 개념 16 2. 재능기부 범위와 의미의 확장 19 C. 문화예술분야의 재능기부 22 1.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의 유형 22 2. 국내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의 현황 28 Ⅲ.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의 인식조사 및 사례분석 32 A.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에 대한 인식조사 32 1. 조사 개요 32 2. 변수 설정 33 3. 가설 설정 및 분석 방법 34 4. 조사 결과의 분석 37 B. 문화복지 사각지대 해소 방안으로써의 재능기부 활용 사례분석 64 1. 국내 사례: 정부주도형 64 2. 해외 사례: 미국, 영국, 일본 67 3. 국내외 사례 비교를 통한 분석 75 Ⅳ. 문화복지 사각지대 해소 대안으로써의 재능기부 활성화 방안 78 A. 단기적 방안 78 1. 문화예술인 중심에서 일반인으로 기부자 확대 78 2. 정부 주도의 재능기부 인프라 구축 확대 79 3. 문화소외 계층에 대한 특화된 프로그램 개발 80 B. 중장기적 방안 81 1. 재능기부 수혜자의 역할 변화 81 2. 재능기부 네트워크 및 통합시스템 개발 82 3. 민간 주도의 재능기부 문화 정착 83 Ⅴ. 결론 84 참고문헌 88 부록: 설문지 94 ABSTRACT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90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c.subject.ddc706.8-
dc.title문화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재능기부 활용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utilization of the talent donation for solving the culture welfare blind spot-
dc.creator.othernameJeon, Youngsun-
dc.format.pagevii, 106 p.-
dc.contributor.examiner최해리-
dc.contributor.examiner김남돈-
dc.contributor.examiner정소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공연예술대학원 음악예술경영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음악예술경영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