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5 Download: 0

퇴직 중고령자의 좋은 일자리 진입 영향요인 분석

Title
퇴직 중고령자의 좋은 일자리 진입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Retired Middle and Old-aged’s Entry into Good Jobs
Authors
박예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본 연구는 중고령자 고용 문제에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일자리의 질적 향상에 중점을 둔 접근방법이 요구된다는 관점에서 퇴직 중고령자의 좋은 일자리 진입 현황을 파악하고, 좋은 일자리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좋은 일자리를 ‘임금’과 ‘고용 안정성’으로 구성하여 일자리의 질을 양적으로 측정하였으며, 이를 종속변수로 활용하여 퇴직 중고령자의 개인적 특성, 인적자본 특성, 구직 특성, 노동시장 특성이 좋은 일자리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원자료는 한국노동패널조사 제15차년도(2012년) 데이터 자료이며, 분석대상은 15차년도에 임금근로 일자리로 재취업한 50~64세 중고령자이다. 분석은 SPSS 18.0을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자의 좋은 일자리 진입율은 21.6%에 불과하였다. 좋은 일자리를 구성하는 세부요인별로 살펴보면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저임금 일자리와 임시·일용직 일자리에 속해 있어, 많은 중고령자들이 임금 및 고용안정성이 낮은 일자리에 진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좋은 일자리 진입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먼저 각 특성요인별 분석을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모든 특성요인을 함께 투입하여 이루어졌다. 요인별로 분석이 이루어진 모형에서는 개인적 특성의 연령, 성별, 총가구소득, 인적자본 특성의 학력, 종전일자리 종사상 지위, 구직 특성의 노동시장 진입 소요기간, 노동시장 특성의 직종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모든 특성요인들이 좋은 일자리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른 특성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각 변수들이 좋은 일자리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인적자본 특성의 학력, 종전일자리 종사상지위, 구직특성의 노동시장 진입 소요기간, 노동시장 특성의 직종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시기의 일자리는 해당 시기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노후 빈곤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중고령자 일자리의 양적 확대를 넘어 질적 향상을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중고령자가 지닌 특성에 따라 좋은 일자리로 진입하는데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요인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개별 특성 및 욕구를 반영한 구체적인 정책의 수립이 요구된다. 셋째, 종전 일자리에서의 종사상 지위가 불안정할 경우 재취업 일자리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고용 불안정의 악순환을 끊을 수 있는 장기적이고 다각적인 고용안정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직업훈련이 중고령자의 인적자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으로 판단되는바, 중고령자의 직업훈련 참여를 촉진시키고 직업훈련이 실질적인 직무능력 향상 및 좋은 일자리로의 진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훈련 프로그램의 제공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노동시장 내 고령자 기피현상, 중고령자의 직무능력 및 신체능력의 저하 등으로 인하여 연령에 따른 직종분절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직종 간 일자리 질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resent states of middle and old-aged’s entry into good jobs and clarify factors affecting their entry in order to actively and effectively cope with employment problems for middle and old-aged. Thus, by composing good jobs with ‘wage’ and ‘job security’, this study measured the quality of jobs, and by using it as a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middle and old-aged’s individual characteristics,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job-seeking characteristics and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on their entry into good jobs. The original data used for this analysis was from the 15the year’s data (2002) of KLIP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d as analysis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middle and old-age people between 50 and 64 who reentered paid jobs in the 15th year. To analyze the results, this study conduct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8.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the rate of middle and old-aged’s entry into good jobs was as low as 21.6%. When examining every sub-factor composing good jobs, this study found out that a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belonged to low-wage, temporary and daily jobs, many middle and old-aged people were reentering jobs with low wages and job security. Secondly, for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ir entry into good jobs, this study carried out analysis of each characteristic factor, and then put all the characteristic factors together. In the model that each factor was analyzed, age, gender and gross household income out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educational background and employment status in the previous job out of th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duration of reentering the labor market out of the job-seeking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category out of the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indicates that all the characteristic factors had effect on their entry into good jobs. Thirdly, when analyzing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their entry into good jobs with all the other characteristic factors controlled, this study found out that educational background and employment status in the previous job out of th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duration of reentering the labor market out of the job-seeking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category out of the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when middle and old-aged people get reemployed, not only does it affect their quality of life, but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elderly pover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for qualitative improvements of middle and old-aged people’s jobs beyond a quantitative expansion of jobs for them in the long run. Secondly, since each barrier factor of their entry into good jobs showed differences by their characteristic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concrete policies with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esires reflected. Thirdly, when their employment status in the previous job was instable, it seemed to have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their new job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up long-term and multilateral measures to make their employment stable. Fourthly, as job training is judged to be one of the most practical and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middle and old-aged people’s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it is required to provide job training program effective enough to encourage middle and old-age people to participate in job training and even lead to their entry into good jobs. Lastly, as there take place such phenomena of avoiding old-age people and job segregation by age in the labor market because of middle and old-aged people’s declined job competences and physical capabilities, it is required to prepare measures to narrow the difference of job quality between different job fiel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