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김미소-
dc.creator김미소-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6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4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683-
dc.description.abstractThe study attempted to comprehend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 to old aged who provide for their elderly parents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superaged elderly are increasing and the providers themselves are aging due to the lengthening of the average lifespan.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 to old aged provid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v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ants, characteristics of support, and the presence of aid from their elderly parent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iddle aged providers and old aged provider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four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from 2012. The study selected providers who were giving monetary or non-monetary support to their elderly parents or were in face-to-face or non-face-to-face contact with their elderly parents and used them as samples. The study selected a total of 1,761 research subjects, consisting of 1,180 middled aged providers who were over the age of 50 and under 60, and 581 old aged providers who were over 60 years old. SPSS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quire into th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 to old ag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comparison betwee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 aged and the old aged who support their elderly parents revealed that the average scores of the middle age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ld aged, although this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variable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f the middle aged supporter had a spouse, life satisfaction became higher, when the subjective level of health was higher, total income was higher, when the provider was female, and when their was monetary or non-monetary support for the elderly parents. The old aged providers had a higher life satisfaction when their subjective level of health was higher, level of education was higher, contact frequency with their elderly parents was higher, when there was support form their elderly parents, when the amount of care time was smaller, and when the provider had a relig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egmentalized program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vider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for each generation because the effect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differed between middle aged and old aged providers. Second, it appeared that middled aged providers had a higher life satisfaction when their own health levels were higher in a situation where they were providing support, so the health of middle aged providers is extremely important to thei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self-management program that can increase the health of providers. Third, while encouraging the economic support behavior of children with elderly parents and allowing them to feel pride over conducting their filial duty, a policy approach that alleviates individual and familial responsibility in terms of economic support is necessary along with continuous interest from a societal aspect. Fourth, maintaining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parents can enable emotion support for the providers, and positively affects life satisfaction. However, becau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rovider decreases when the time of physical care becomes longer, it is necessary to support short-term care substitutes who can replace the providers while they participate in a respite program which allows the main provider to rest and reduce their stress, along with a counseling and family program to improve relationships with elderly parents. Also, a policy supplement must be made to aggressively utilize long-term care insurance and expand a short-term protection program that protects elderly parents.;본 연구는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초고령 노인이 늘어나고 이들을 부양하는 부양자 역시 고령화되는 현실에서 노부모를 부양하는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양자의 특성, 피부양노부모의 특성, 부양특성, 노부모로부터의 지원유무에 따라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살펴보고,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차이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2년 4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노부모가 생존하고 있으면서 노부모에게 금전적·비금전적지원(신체적 수발을 포함)을 하고 있거나 노부모와 대면·비대면 접촉을 하는자를 부양하는 자로 선정하여 표본으로 활용 하였으며, 50세 이상 60세 미만의 중·장년층 1,180명과 60세 이상의 노년층 581명으로 총 1,761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부모를 부양하는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삶의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중·장년층의 평균이 노년층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회기분석결과 중·장년층의 경우 배우자 있는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 높을수록, 총소득이 높을수록, 여성 일수록, 노부모에 대한 금전적·비금전적 지원을 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노년층의 경우에는 주관적 건강수준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노부모와의 접촉빈도가 높을수록, 노부모의 지원을 받을수록, 신체적 수발시간이 낮을수록, 종교를 가질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연령집단에 따라 영향요인도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도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부모를 부양하는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세대별로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양자의 특성에 맞는 세분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중·고령 부양자들이 부양상황에서 자신의 건강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와 중·고령 부양자들의 건강을 돌보는 것이 삶의 만족도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부양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기관리 프로그램 등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자녀의 경제적 부양행동을 지지하면서 노부모를 부양하고 있는 자녀들에게 효를 실행하는 것에 대한 자긍심을 주는 한편 경제적으로 부양하는 것을 개인 및 가족의 책임이 아니라 사회차원에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함께 이를 경감시켜주어야 할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겠다. 넷째. 노부모와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부양자에게도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으며,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신체적 수발시간이 길어질수록 부양자의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노부모와의 관계향상을 위한 상담 및 가족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한편 신체적 수발의 시간을 줄이면서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는 주부양자가 쉴 수 있는 휴식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동안 부양자를 대체할 단기 돌봄 대체인력 지원이 필요하겠다. 또한 노부모를 보호할 수 있는 단기보호프로그램 확대 및 장기요양보험제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보완을 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5 Ⅱ. 선행연구 6 A. 노부모를 부양하는 중·고령자 6 1. 부양의 정의 6 2. 노부모를 부양하는 중·고령자 10 3. 노부모를 부양하는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12 B.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 1. 부양자 특성 15 2. 피부양노부모의 특성 16 3. 부양특성 17 4. 노부모로부터의 지원 18 C. 연구모형 20 Ⅲ. 연구방법 21 A.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21 B. 측정도구 22 C. 자료 분석 방법 25 Ⅳ. 연구결과 26 A.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6 B. 주요변수의 특성 31 C. 변수 간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공선성 분석 34 D. 중·장년층 및 노년층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8 Ⅴ. 결론 및 제언 41 A. 결론 41 B. 함의 및 제언 45 C. 제한점 48 참고문헌 50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20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노부모를 부양하는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장년층과 노년층의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to Old Aged Providers who Support their Elderly Parents : With a focus on a comparison between middle aged providers and the old aged providers-
dc.creator.othernameKim, Mi So-
dc.format.pagevi, 64 p.-
dc.contributor.examiner김미혜-
dc.contributor.examiner이승윤-
dc.contributor.examiner정순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