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1 Download: 0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 참여경험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 참여경험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Experiences on the College Graduate Youth Labor Market Outcomes
Authors
권혜영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윤
Abstract
The importance of the first job of the youth entering the labor market upon completing their studies has been emphasized in that invested time and expenses are evaluated by the market and that it serves as a strong determinant of their subsequent careers. However, high youth unemployment rates and growing temporary employees have put the established concept of lifelong employment in the shade and resulted in the social atmosphere where competency development for employment is valued. In most advanced countries,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represent a proactive and effective labor market policy to prevent unemployment and secure quality jobs. In Korea, 'Job Competency Development Initiative' was adopted in 2008 advocating ‘learner-oriented training' and renamed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in 2011. In this context, extensive research on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has been conducted, mostly focusing on assessment of policy effectiveness and suggestions for development and betterment of policy measures. Also, empirical studies on the youth who account for a significant percentage of the participants in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are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on labor market outcomes among young university graduates. To that end, two questions were raised. First, what i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participation in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Second, how does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impact on the labor market outcomes among young university graduates? 2012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 2013 was used as the data for analysis. Based on the foregoing study questions, job seekers and employed persons (N=2,707) or employed persons (N=2,141) among young university graduates who had heard of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were recruited as subjects for the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participation/non-participation in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while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labor market outcomes, which were largely comprised of status of employment, types of employment and monthly wages. To analyze the study questions, SPSS 22.0 was used. Specifically,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ir participation in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were found with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econd, personal background in line wit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as well as the status of participation in view of college characteristics and qualitative difference in employment were analyzed with and t-test.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on the labor market outcomes among young university graduat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2,707 respondents(27.6%)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surveyed had heard of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while 695 of them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ncerning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light of personal background factors, 400 female (57.6%), 295 male (42.4%), 673 single (96.8%) and 22 married (3.2%)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Regarding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view of college characteristics, 508 (73.1%) and 187 (26.9%) participants graduated from universities(4 year) and colleges, respectively. 345(49.6%) and 350(50.4%) participants graduated from universities or colleges in the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respectively. As for majors, 373(53.7%) and 322(46.3%) participants majored in humanities/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engineering, respectively. Second, when it comes to the labor market outcomes of participants in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503 (72.4%) participants were employed, and 408 participants (81.1%) among them were full-time workers. Regarding the wage incomes of the employed, 136 (27.0%) and 367(73.0%) respondents earned wages above and below the equivalized median income level, respectively. Third, concerning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on labor market outcomes,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status and types of employment, whereas it did not exert positive effects on the monthly mean wage. Based on the foregoing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esented.;학업을 마친 후 노동시장에 진입하게 되는 청년층의 첫 일자리는 그동안 투자된 시간과 비용에 있어 노동시장에서의 평가와 함께 이후 직업에서의 강력한 결정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청년층 노동시장의 고실업, 비정규직 취업률의 증가는 기존에 이야기되던 평생직장 개념의 무색함을 가져왔으며, 구직을 위한 능력개발이 중요시 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이미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직업훈련이 대표적인 적극적노동시장정책으로서 실업을 예방하고 질 좋은 일자리의 마련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으로써 강조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도‘수요자중심의 훈련’을 표방하면서 2008년 ‘직업능력개발제’를 도입, 2011년부터‘내일배움카드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직업훈련에 관련한 다양한 선행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주로 정책적 측면에서의 정책 효과성 평가, 발전·개선방안 등에 초점이 맞춰진 연구들이 주로 진행되었다. 또한 내일배움카드제 참여대상에 있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청년층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 참여경험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의 참여현황 및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대졸 청년층의 내일배움카드제 참여경험은 노동시장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을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이 2013년에 실시한 2012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대상은 연구문제에 따라 대졸 청년층 중 내일배움카드제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구직자 및 취업자(N=2,707) 또는 취업자(N=2,141)로 하였다. 독립변수는 내일배움카드제 참여유무이며, 종속변수는 노동시장 성과이다. 노동시장 성과는 크게 취업여부, 고용형태, 월평균임금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통계 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내일배움카드제 참여현황을 확인하였다. 둘째, 내일배움카드제 참여경험에 따른 개인배경, 대학특성별 참여현황과 고용의 질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과 t-test를 수행하였다. 셋째, 다중회귀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내일배움카드제 참여경험이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청년층에서 내일배움카드제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27.6%인 2,707명이었으며, 이중 실질적으로 내일배움카드제에 참여한 사람은 695명으로 나타났다. 개인배경요인에 따른 참여경험을 살펴보면 여성은 400명(57.6%), 남성은 295명(42.4%)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인 경우는 673명(96.8%)인 반면, 기혼인 경우는 22명(3.2%)으로 나타났다. 대학특성별 참여경험을 살펴보면 4년제 졸업자는 508명(73.1%), 전문대 졸업자는 187명(26.9%)이었으며, 수도권지역 소재지의 대학인 경우는 345명(49.6%), 비수도권 소재지인 경우는 350명(50.4%)이었다. 전공계열별 참여현황을 살펴본 결과 인문사회계열은 373명(53.7%), 자연공학계열은 322명(46.3%)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일배움카드제 참여자의 노동시장의 성과현황을 살펴본 결과 내일배움카드제에 참여자 중에서 취업을 한 경우는 503명(72.4%)이며, 그중 정규직인 경우는 408명으로 81.1%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취업자들의 임금 소득은 균등화된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그 이상인 경우는 136명(27.0%)이며 중위소득 이하는 367명(73.0%)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일배움카드제의 참여경험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경험은 취업여부와 고용형태에 있어 긍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월평균임금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