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93 Download: 0

청소년의 성역할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청소년의 성역할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sex-role stereotype : Focuisng on comparison of single-parent and two parent families
Authors
강지연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역할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집단에 따라 차이를 분석하여 결과에 따라 양부모 및 한부모가족 청소년 자녀들의 성역할고정관념의 해소를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측면에서 적용할 함의를 찾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 4차년도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가족구성형태에 따라 양부모가족, 한부모가족으로 나누고 성별에 따라 남성한부모가족과 여성한부모가족으로 구분하여 청소년자녀의 성별과의 조합을 통해 총 6개의 집단(양부모가족 남자청소년, 양부모가족 여자청소년, 남성한부모가족 남자청소년, 남성한부모가족 여자청소년, 여성한부모가족 남자청소년, 여성한부모가족 여자청소년)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인 성역할고정관념은 남성역할고정관념과 여성역할고정관념으로 분리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보기 위한 기술통계, 집단 간 평균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성역할고정관념에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자청소년이 여자청소년에 비해 성역할고정관념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역할고정관념이 여성역할고정관념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나 성역할고정관념에 있어 성별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역할고정관념에 독립변수의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양부모가족과 한부모가족에서 공통적으로 공격성이 정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요인이 청소년의 성역할고정관념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가족형태에 따른 성역할고정관념의 차이보다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두드려져, 성별이 남성일수록 성역할고정관념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족구성형태가 청소년의 성역할고정관념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역할학습이 가족 안에서 뿐만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에서 학습될 수 있는 것임을 의미하며, 한부모가족의 자녀라고해서 성역할학습에 있어 결핍이나 차이가 있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직 우리 사회에 여전히 남아있는 성역할고정관념을 해소하기 위해 개인의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과 가족 안에서의 성 평등에 기반한 지도감독에 더불어 학교 교육현장에서도 남성과 여성의 올바른 성역할학습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성역할 교육에 있어 여자청소년과 남자청소년이 성숙한 모습으로 자신의 성별에 관계없이 능력을 발휘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교육이 필요함을 본 연구를 통해 제언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sex-role stereotype focusing on comparison of single-parent and two parent families. In this study, data come from the fourth wave of the 2010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dministered by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ys are higher than girls in sex-role stereotype. Second, gender stereotype of man is relatively higher than gender stereotype of woman. Third, gender is more effectively than family type on sex-role stereotyp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appropriate sex-role learning in school is essential and sexual education programs need improvement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