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재경-
dc.contributor.author홍재희-
dc.creator홍재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8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4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842-
dc.description.abstractCustomers’ demands are increasing and, coupled with advancements in IT, this has meant a rapid transformation for the fashion environment. In order to adapt to the ever-changing environment, outsourcing can be utilized as part of a major marketing strategy. Therefore, outsourcing, typically a method used within production and logistics sectors, has to be considered for use in the design sector to achieve differentiation from the competition. In this study, theoretical research and practical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to provide factual advice and promote outsourcing techniques for those who want to use it in the near future. Ranging from theoretical study of fashion design outsourcing to practical research on professional outsourcing compan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representatives from various companies, the study provides a trend analysis of the outsourcing field and explores a wide range of solutions. The study analyzed fashion design companies with more than 10 years of history in the field and looked at their actual work process, scope of work, and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tudy, companies have been delivering sound results through a step-by-step process of supporting their designing plan, development, production, and promotion where all of their works are customized according to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brand and/or vendor. Therefore, overall the process may seem as if the company actually provides a design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 rather than an outsourcing service.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ed to approach design outsourcing through several in-depth interviews with representatives from various companies. From our observations, national vendors, who have been aggressively working on domestic production, tend to require professional design services due to their need for design planning and development skill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further validate the effect of design outsourcing and support its need. Because of the demand for professional design services from national vendors, design outsourcing companies and vendors are able to maintain a good partnership through monitoring, communication, mutual respect, and cooperation. That they have the same goal further enhances trust between the two partners that eventually leads to a positive outcome. However, some selection criteria for business and/or regulations for contracts are not clearly identified, despite this deep relationship, because the market has yet to be sufficiently formed. The adaptation period is also a drawback. Uncertainty emerges during the early stages of introducing outsourcing and it takes some time to settle. Despite these drawbacks, it can be overcome by mutual cooperation and it can successfully deliver the desired result. The solutions for activating fashion design outsourcing are as follows: First, fashion companies have to understand the benefits of design outsourcing to meet market and customer needs. Second, design outsourcing has to be specialized through expansion of the design outsourcing market and it should become common practice as a strategic plan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As the outsourcing market grows bigger and reaches maturity, it promotes not only mutual development between two companies, but it also help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This study extends the range of fashion outsourcing, which had not been covered as a subject before, and attempts to provide strategic significance and justification to those who want to take advantage of design outsourcing.;패션 환경은 무한 경쟁의 글로벌 시대와 다양한 고객 요구, IT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급변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패션기업의 전략적인 마케팅 기법으로 아웃소싱이 활용될 수 있다. 그간 패션 아웃소싱은 생산이나 물류 분야에 중점적으로 활용되었으나, 패션기업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디자인 아웃소싱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산업내 디자인 아웃소싱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제언을 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로 아웃소싱, 패션 아웃소싱, 디자인 아웃소싱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이어 실증 연구로서 디자인 아웃소싱 전문업체의 현장 및 사례 조사와 아웃소싱을 했던 패션기업의 담당자들의 심층면담을 통해 현황을 고찰,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사례 조사 대상은 10년 이상 패션 디자인 아웃소싱을 해온 업체로서 실제 업무 프로세스와 업무 범위, 업무 특징 등을 파악하였다. 이 업체는 벤더 혹은 브랜드의 패션기업의 유형과 요구에 따라 디자인 기획, 개발, 생산, 홍보 등의 업무 분야를 탄력적으로 제공하면서 단계별 성과를 도출하고 있었다. 전체 단계의 아웃소싱은 디자인 경영 컨설팅의 양상마저 띠고 있었다. 다음으로 아웃소싱 업체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디자인 아웃소싱의 현황을 파악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생산만이 주요 핵심역량이었던 국내 벤더 기업이 현재 디자인 기획·개발의 필요성으로 인해 전문적인 디자인 서비스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심층면담을 통해 나타난 디자인 아웃소싱의 효과들은 이러한 필요성을 더욱 지지하고 있었다. 둘째, 디자인 아웃소싱 업체나 공급업체는 목표공유, 상호 존중과 상호협력, 의사소통, 모니터링, 거래 지속 등으로 파트너십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 두 업체간의 파트너십은 신뢰를 구축하고 긍정적인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디자인 아웃소싱 업체와 협력업체와의 관계에 비해 업체 선정 기준이나 계약을 위한 규정 등이 명확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현재 디자인 아웃소싱을 공급하는 시장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이며 향후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다. 넷째, 현장에서 파악된 디자인 아웃소싱의 단점으로 아웃소싱 도입 초기 두 업체 간 적응 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웃소싱을 도입하는 초기에는 거부감 해소나 협력 등 적응 시간이 소요되었는데 이러한 어려움은 성과 지향적인 측면에서 비중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공적인 아웃소싱 결과를 위해서 상호협력을 통해 극복되어졌다. 이상의 사례조사와 실증 분석을 통해 제안한 패션디자인 아웃소싱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기업은 디자인 아웃소싱의 장점을 이해하여 시장이나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여 전략적으로 적합한 디자인 아웃소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디자인 아웃소싱 시장의 확대를 통해 전문적이고 특화된 디자인 아웃소싱이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인 방안으로서 보편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장의 확대는 디자인 아웃소싱을 의뢰하고자 하는 업체나 공급하는 업체의 두 업체 간 상호 발전은 물론 국내 패션산업의 확대 및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그간 다루지 않은 패션 디자인 아웃소싱을 주제로 패션 아웃소싱의 범위를 확대하였고, 아울러 패션기업이 디자인 아웃소싱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언한다는 데서 의의를 지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연구의 의의 4 Ⅱ. 이론적 배경 5 A. 아웃소싱 5 1. 아웃소싱의 개념과 특징 5 2. 아웃소싱 결정 요인 8 3. 아웃소싱 성과와 문제점 9 B. 패션 아웃소싱 12 1. 패션 아웃소싱 개념과 특징 12 2. 패션 아웃소싱에 대한 선행연구 14 C. 디자인 아웃소싱 18 1. 디자인 아웃소싱의 개념 18 2. 국내 디자인 아웃소싱 현황 20 3. 디자인 아웃소싱 프로세스 21 4. 패션 디자인 아웃소싱 2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4 A. 연구의 흐름 24 B. 연구 방법 26 Ⅳ. 연구결과 및 분석 29 A. 패션디자인 아웃소싱 업체의 사례 연구 29 1. 벤더의 디자인 아웃소싱 사례 31 2.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 아웃소싱 사례 34 B. 패션디자인 아웃소싱 현황 40 1. 디자인 아웃소싱의 필요성 대두 40 2. 목표를 공유한 파트너십으로 신뢰 구축 44 3. 명확하지 않은 공급업체 결정 기준과 계약 절차 48 4. 아웃소싱 도입 초기의 어려움 53 Ⅴ. 패션디자인 아웃소싱 활성화 방안 54 Ⅵ. 결론 57 참고문헌 60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333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패션산업의 디자인 아웃소싱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Focused on Revitalization of Fashion Design Outsourcing-
dc.creator.othernameHong, Jaehee-
dc.format.pagevi, 69 p.-
dc.contributor.examiner조영식-
dc.contributor.examiner이혜선-
dc.contributor.examiner곽소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