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영식-
dc.contributor.author이보영-
dc.creator이보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6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4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648-
dc.description.abstractThe modern society, defined as the society of consumption, leads its plentiful life through mass-production and mass-consump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adverse affects -both social and environmental- are also surfacing due to indiscreet consumption. Awareness of the effect of personal consumption on the society and the environment have been raised in accordance, maturing global consumer consciousness which takes both the environmental and the social aspects into account along with personal gain. This leads to the birth of consumption ethics, sprouting on the worlds’ interest in ‘good consumption’ - a term including types of consumption such as sustainable consumption and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Furthermore, the modern society has come to demand social responsibilities of firms. In this social environment, the spotlight shines on ‘good consumption’,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made on the matter. Advanced research has been made on consumer awareness and behavior on subjects such as fair-trade, donation, and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more inclusive and generic concept - ‘good consumption. Firstly, the paper explores the definition of ‘good consumpt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studied by various scholars throughout the years. Starting with green desig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which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1970s, the paper leads onto the emergence of LOHAS (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and the study of the birth environment of the modern days’ concept of ‘good consumption’, followed by the study of the worldwide status and trends within the concept. Furthermore, the paper contemplates on the ‘good’ consumers’ lifestyles based on local and global case studies and theories, and through this process derives categories of consumers within the scope of ‘good consumption’. Secondly, the paper researches the concept and the status of ‘good consumption’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arries out qualitative research including FGIs (Focus Group Interviews) and 1:1 IDIs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24 consumers either interested or practicing ‘good consumption’ in order to derive a conclusion which reflects real local consumers’ voices. In conclusion, this paper aims to study design strategy for the expansion of ‘good consumption’ through deriving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consumers interested in ‘good consumption’ as well as the element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consuming ‘good consumption products’ in the aspect of both design and concep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mentioned above.;소비의 사회로 정의되는 현대사회는 대량생산 대량소비로 풍족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무분별한 소비로 인한 사회적, 환경적 악역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개인의 소비로 인한 환경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문제의식이 대두되었고, 세계적으로 개인의 이익을 포함한 환경 친화적, 사회를 생각하는 소비의식이 발전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소비, 친환경소비 등 착한소비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어 소비윤리라는 개념도 생겨나게 되었다. 나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 착한소비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공정무역, 기부,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더 포괄적이고 상위 개념인 착한소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여러 학자들이 연구 해 왔던 착한소비의 정의와 1970년대 대두 되었던 그린디자인, 친환경디자인에서 출발하여 웰빙 문화와 로하스족의 출현, 나아가 지금의 착한소비의 개념이 발생하게 된 배경을 알아보고, 범세계적으로 착한소비에 대한 현황 및 동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국내 및 해외의 사례 연구와 이론을 배경으로 착한소비를 하는 착한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착한소비 측면에서의 소비자 유형 분류를 도출하였다. 둘째, 문헌연구를 토대로 착한소비의 개념 및 현황을 연구 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국내 소비자들의 현실감 있는 의견으로 결론을 도출하고자 현재 착한소비를 하고 있거나 착한소비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 24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 Focus Group Interview)과, 1:1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 연구 방법론을 통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위와 같은 문헌연구 및 질적 연구 조사를 통해 착한소비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들의 착한소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착한소비 제품 구매 시 고려하게 되는 요소를 디자인적 측면과 개념적 측면으로 도출하여 착한소비 확산을 위한 디자인 전략을 연구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1 B. 연구의 목적 2 Ⅱ. 착한소비에 대한 이해 3 A. 착한소비의 개념 및 정의 3 1. 현대 소비사회의 특성 및 문제점 3 2. 착한소비와 윤리적 소비 4 3. 착한소비의 정의 7 4. 착한소비자의 유형 11 B. 착한소비의 등장 14 1. 친환경 디자인과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등장 14 2. 윤리적 소비 개념 등장 16 C. 착한소비의 동향과 사례 19 1. 착한소비의 동향 19 2. 착한소비의 다양한 인증 23 3. 착한소비의 다양한 운동 26 Ⅲ.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28 A. 착한소비 제품 구매에 관한 연구 28 B. 착한소비 제품의 분류 30 C. 착한소비를 하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징 31 Ⅳ. 연구 방법 및 구성 34 A. 연구 조사 설계 34 1. 연구방법 34 2. 면접 내용 35 3.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36 Ⅴ. 연구의 결과 37 A. 연구 대상 및 특성 37 B. 조사 결과 38 1.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착한소비 38 2. 착한소비 제품 구매에 영향을 주는 디자인 및 개념요소 43 3. 착한소비 제품 구매 시 가격 허용 범위 52 C. 분석의 시사점 및 착한소비 제품 전략 제언 54 1. 착한소비 제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디자인 요소 54 2. 착한소비 제품 스토리 구성 및 소통의 필요성 55 3. 착한소비 소비자 유형별 인식과 태도 56 Ⅵ. 논의 및 결론 58 A. 연구의 요약 58 B.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60 참고문헌 61 부록 64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705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착한소비 확산을 위한 디자인 전략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73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734-
dc.contributor.examiner조재경-
dc.contributor.examiner이혜선-
dc.contributor.examiner곽소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