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훈-
dc.contributor.author김현아-
dc.creator김현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2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3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232-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합의되지 않은 문장부사의 개념을 정의하고 국어 문장부사를 통사ㆍ의미적인 특징에 따라 하위 분류한 뒤 전체 목록을 제시하고 이들이 가지는 의미ㆍ화용론적인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국어 문장부사에 대하여 살펴본 기존의 연구들을 정리하고 선행 연구들이 갖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2장에서는 국어 문장부사의 분류를 전개하기에 앞서 문장부사가 수식하는 대상을 한정하고 문장부사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했던 문장부사의 판별 기제들을 살펴보고 그중에서 유효한 것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국어 문장부사를 분류하였다. 국어 문장부사는 명제 차원을 수식하는 명제부사와 발화 행위를 수식하는 화행부사, 그리고 문장이나 담화 상황과 문장을 잇는 접속부사로 나눌 수 있다. 명제부사의 경우 다시 양태부사와 평가부사로 나뉘는데 양태부사는 명제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협의의 양태 개념을 지닌 1차적 양태부사와 이에 추가적인 의미가 덧대어진 2차적 양태부사로 나눌 수 있는 것을 보았다. 평가부사의 경우 명제에 대한 화자의 감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국어에서는 부사형 어미가 활발히 사용되기 때문에 다소 적은 수로 존재한다. 화행부사는 발화 행위를 수식하는 부사이며 그 중점이 어디에 놓여있냐에 따라 화자중심부사, 청자중심부사, 발화형식중심부사로 나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속부사의 경우 기존의 명제와 명제를 잇는다는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담화 상황과 명제를 잇는 것까지를 접속부사라 보았다. 명제와 명제를 잇는 부사를 1차적 접속부사, 담화 상황과 명제를 잇는 부사를 2차적 접속부사로 보았다. 4장에서는 문장부사 중 몇몇의 의미ㆍ화용론적인 특징을 확인하였다. 우선 명제부사가 초점사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조건의 연결어미와 호응을 필수로 요하는 부사가 접속부사로 분류될 수 있는 당위성을 살폈다. 그리고 2차적 접속부사 중 그동안 담화표지로 집중되지 않았던 부사들이 ‘화제 전환’의 기능을 하는 담화표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을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5장에서는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고 남은 문제를 제시하였다.;The aim of the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sentence adverbs and to suggest the entire list of sentence adverbs after subclassifying Korean sentence adverbs according to their syntactic-semantic features. Chapter 1 arranged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was conducted on Korean sentence adverbs and identified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study. Chapter 2 deals with the subjects that sentence adverbs modify. Moreover, it proposed the definition of sentence adverbs in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e study reveals the differentiation mechanisms of sentence adverbs which were suggest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demonstrated vaild subjects among them. Chapter 3 classified Korean sentence adverbs. They can be classified into propositional adverbs which modify propositional aspect, speech-act adverbs which modify the speech-act, and conjunctive adverbs which connect propositions and their discourse situation. In the case of propositional adverbs, they can be divided into modal adverbs and evaluate adverbs. The former express the attitudes of speakers about the proposition, and these can be divided into primary modal adverbs which have the concept of modality with discussion and the secondary modal adverbs which have an additional meaning beside it. The latter, the evaluate adverbs are used for the speaker to make an emotional evaluation about the proposition. In the case of the speech-act adverbs, they modify the speech-act. These adverbials can be classified into speaker-oriented adverbs, hearer-oriented adverbs and speech-act form-oriented adverb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its central point. Finally, conjunctive adverbs connect not only the propositions but discourse situation and the propositions. The primary conjunctive adverbs can connect the propositions, while the secondary conjunctive adverbs connect the discourse situation and the propositions. The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some of the sentence adverbs were examined in chapter 4. The propositional adverbs are identified that it can function as focusing articles. and adverbs that concord with conditional connnective endings should be classified as the conjunctive adverbs. Moreover it is found that the adverbs which had not been regarded as discourse markers can function as a discourse markers which can 'switch a topic'. In the end, the chapter 5 summarized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 and proposed the remaining issu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대상 1 B. 선행 연구 2 1. 부사 분류에 대한 연구 2 2. 문장부사의 하위 분류에 대한 연구 8 Ⅱ. 문장부사의 정의 및 분류 12 A. 문장부사의 정의 및 판별 기제 12 1. 문장부사의 정의 12 2. 문장부사의 판별 기제 14 B. 문장부사의 분류 27 Ⅲ. 문장부사의 하위 부류별 특징 30 A.명제부사 30 1. 양태부사 30 2. 평가부사 41 B. 화행부사 44 C. 접속부사 47 1. 접속부사의 개념 및 정의 47 2. 접속부사의 하위 분류 49 D. 소결 60 Ⅳ. 문장부사의 의미ㆍ화용론적인 특징 62 A. 초점과 명제부사 62 1. 초점의 개념 62 2. 명제부사와 초점사적 기능 66 B. 조건의 연결어미와 접속부사 69 C. 담화표지로서의 접속부사 73 Ⅴ. 결론 80 참고문헌 82 부록.문장부사 전체 목록 88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07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국어 문장부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orean sentence adverbs-
dc.creator.othernameKim, Hyunah-
dc.format.pagev, 91 p.-
dc.contributor.examiner전혜영-
dc.contributor.examiner최형용-
dc.contributor.examiner임동훈-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