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유리-
dc.contributor.author최윤경-
dc.creator최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1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3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114-
dc.description.abstract모유는 영유아에게 가장 이상적인 영양공급원이므로 모유를 생산하는 수유부의 어떤 요인이 모유의 성분에 영향을 주는지 탐구하는 것은 영유아의 적절한 영양섭취를 통해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과업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 수유부의 이행유 시기 모유의 전체적인 영양 성분을 분석하여 보고하고 영아의 섭취량을 추정해 본 뒤 우리나라 영아의 영양섭취기준에 적합한지 살펴봄으로써 모유수유아의 영양섭취 상태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또 한국인 수유부의 이행유 내 아연, 구리, 철의 성분을 파악한 후 산모의 특성 및 식이와의 관련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정상 만삭아를 출산하고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5곳의 산후조리원에서 회복 중인 100명의 건강한 산모들을 대상으로 일반사항 및 식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출산 후 5 ~ 15일에 모유 샘플을 제공받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32.01 ± 4.08세였으며, 평균 신장과 체중은 각각 161.93 ± 4.79 cm, 60.34 ± 8.17 kg이었다. 모유성분 분석 결과 모유 내 에너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농도는 59.99 ± 8.01 kcal/dL, 1.47 ± 0.27 g/dL, 6.72 ± 0.22 g/dL, 2.88 ± 0.89 g/dL이었다. 지방산인 리놀레산과 아라키돈산의 농도는 각각 181.44 ± 96.41 mg/dL, 28.15 ± 8.89 mg/dL이었고, 리놀렌산, DHA의 농도는 각각 5.67 ± 1.86 mg/dL, 5.74 ± 2.57 mg/dL으로 나타났다. 모유 내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C 의 농도는 2.75 ± 1.75 µg/dL, 2.31 ± 1.12 µg/dL, 0.74 ± 1.54 mg/dL, 3.02 ± 1.84 mg/dL이었으며,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12, 엽산의 농도는 7.51 ± 20.96 µg/L, 61.78 ± 26.78 µg/L, 63.71 ± 27.19 ng/dL, 0.52 ± 0.26 ng/dL으로 분석되었다. 칼슘, 철, 칼륨, 나트륨, 아연, 구리의 농도는 20.71 ± 3.34 mg/dL, 0.59 ± 0.86 mg/dL, 66.71 ± 10.35 mg/dL, 27.72 ± 10.16 mg/dL, 0.44 ± 0.41 mg/dL, 70.48 ± 30.41 µg/dL이었으며, 면역성분인 IgA, total IgE의 모유 내 농도는 각각 61.85 ± 31.97 mg/dL, 235 ± 93 IU/dL로 나타났다. 국내외 문헌을 검토하여 이행유시기의 1일 모유섭취량을 515 mL로 설정하여 영아의 1일 영양소 섭취량을 추정한 결과 단백질,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B2, 비타민 B12, 철, 칼륨, 나트륨, 아연, 구리 등의 하루 섭취 추정량은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충분섭취량을 충족하였으나 에너지,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B1, 엽산, 칼슘의 하루 섭취 추정량이 이행유 섭취량으로 조정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충분섭취량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성장에 필수적인 비타민 B1, 엽산, 칼슘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후속 연구 및 보충 방안이 요구된다. 아연, 구리, 철 등의 무기질은 아기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필수적인 영양성분이지만 한국인 산모의 이행유 내 아연, 구리, 철과 관련된 연구는 충분치 않았다. 통계적으로 이상치를 나타내는 4건의 데이터를 제거하고 96명의 대상자로 아연, 구리, 철의 농도를 분석해본 결과 다른 나라의 비슷한 기간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모유 내 아연, 구리, 철의 농도와 산모의 특성 및 식이의 관련성을 분석해 본 결과 모유 내 아연 농도는 수유부의 육류의 섭취와 관련이 있었고, 모유 내 구리의 농도는 수유부의 비타민 C, 셀레늄, 요오드의 섭취와 관련이 있었으며, 모유 내 철은 산모의 일반적인 특성 중 임신기 음주여부, 무기질 보충제의 매일 섭취여부, 지방의 섭취와 관련이 있었다. 후속 연구들을 통해 한국인 모유성분에 대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수유기 동안의 수유모의 식이와 다양한 특성이 아연, 구리, 철 외 모유의 여러 영양성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밝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바탕으로 영양적으로 질 좋은 모유 생산을 위한 수유부의 식이 계획 및 보충제 사용 등을 고려하여 모유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in transitory milk from Korean lactating mother and to evaluate daily intakes of their infants compared with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KDRI) 2010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zinc, copper, and iron concentrations in breast milk and maternal diet of mother. Methods: Breast milk samples were collected at 5 ∼ 15 days postpartum from 100 Korean healthy lactating mothers. Concentration of macro- and micro-nutrients and immunoglobulins (Ig) in breast milk were analyzed. For analyses of zinc, copper, and iron, 96 mother were selected as subject. Dietary intakes were determined by 3-day dietary records during lactation. Results: The mean energy, protein, fat, and carbohydrate concentration in breast milk were 59.99 ± 8.01 kcal/dL, 1.47 ± 0.27 g/dL, 2.88 ± 0.89 g/dL, and 6.72 ± 0.22 g/dL. The mean linoleic acid (LA), a-linolenic acid (ALA), arachidonic acid (A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concertation were 181.44 ± 96.41 mg/dL, 28.15 ± 8.89 mg/dL, 5.67 ± 1.86 mg/dL, and 5.74 ± 2.57 mg/dL. The mean vitamin A, vitamin D, vitamin E,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12, and folate concentration were 2.75± 1.75 µg/dL, 2.31 ± 1.12 ng/dL, 0.74 ± 1.54 mg/dL, 3.02 ± 1.84 mg/dL, 7.51 ± 20.96 µg/dL, 61.78 ± 26.78 µg/dL, 63.71 ± 27.19 ng/dL, and 0.52 ± 0.26 µg/dL. The mean concentration of calcium, iron, potassium, sodium, zinc, and copper were 20.71 ± 3.34 mg/dL, 0.59 ± 0.86 mg/dL, 66.71 ± 10.35 mg/dL, 27.72 ± 10.16 mg/dL, 0.44 ± 0.41 mg/dL, and 70.48 ± 30.41 µg/dL. The mean IgA and total IgE concertation were 61.85 ± 31.97 mg/dL and 235 ± 93 IU/dL. The estimated daily intakes of infants for protein, vitamin D, vitamin E, vitamin B2, vitamin B12, iron, potassium, sodium, zinc, and copper were sufficient compared to KDRIs 2010 adjusted by transitory milk intakes. The estimated infant’s intake of energy, fat, carbohydrate, vitamin A, vitamin C, vitamin B1, folate, and calcium could not meet KDRIs 2010 adjusted by transitory milk intakes. Especially, insufficiency intakes of vitamin D and copper need some plans to supplement. The mothers who consumed alcoholic beverages during pregnancy had higher concentration of zinc, copper, and iron in human milk, and especially iron concent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47). The mother who took supplements daily has much higher iron concentration in human milk than other mothers (p = 0.002). Daily intakes of zinc, copper and iron during lactation didn’t affected concentration of zinc, copper and iron in human milk directly. The intakes of vitamin C, selenium, and iodine were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copper in human milk. The food categories of ‘meat and meat produc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zinc in human milk. Various food items taken by mother during lactation related with the three trace minerals concentration of in human milk and the food item higher contributed to iron concentration than zinc and copper concentration in huma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trient intakes for Korean breast-fed infants in 5∼15 days were generally sufficient although several nutrients show more or less compared with KDRIs 2010. These results would warrant future studies to investigate critical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in breast milk and also would contribute for understanding nutrition in early life and developing infant formula closed to breast mil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2 Ⅱ. 선행연구 고찰 3 A. 모유수유의 중요성 3 B. 모유의 성분 3 C. 모유 내 아연, 구리, 철 5 D. 산모의 식이와 일반적 특성 및 모유 성분 6 Ⅲ. 연구내용 및 방법 8 A. 연구대상 8 B. 시료의 채취 9 C. 모유성분 분석방법 9 1. 에너지와 다량영양소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9 2. 지방산 10 3. 비타민 10 4. 무기질 11 5. 면역성분 11 D. 영아의 섭취량 추정 17 E. 식이조사 및 분석 20 F. 통계처리 21 Ⅳ. 연구결과 22 A. 일반사항 22 B. 모유 성분 분석 25 C. 영아의 섭취량 분석 28 D. 모유 내 아연, 구리, 철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33 1. 모유 내 아연, 구리, 철의 농도 33 2. 일반 특성과 모유 내 아연, 구리, 철의 농도 36 3. 식이 섭취와 모유 내 아연, 구리, 철의 농도 38 Ⅴ. 고찰 47 A. 모유 성분 분석 47 1. 에너지와 다량영양소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47 2. 지방산 52 3. 비타민 52 4. 무기질 55 5. 면역성분 56 B. 모유 내 아연, 구리, 철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7 1. 국내외 연구 결과 비교 57 2. 수유부의 일반적 특성과 모유 내 아연, 구리, 철의 농도 62 3. 수유부의 식이섭취와 모유 내 아연, 구리, 철의 농도 64 C. 연구의 한계성과 의의 67 Ⅵ. 요약 및 결론 69 참고문헌 71 부록(설문지) 83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91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한국인 수유부의 이행유 모유성분 분석과 영아의 섭취량 추정 및 수유부의 식이섭취가 이행유의 아연, 구리, 철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ies of nutrient composition of transitional human milk and association of dietary intake with zinc, copper, and iron concentration in human milk of Korean mothers-
dc.creator.othernameChoi, Yun kyung-
dc.format.pageix, 101 p.-
dc.contributor.examiner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김지명-
dc.contributor.examiner김유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