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현-
dc.contributor.author최경란-
dc.creator최경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8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3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83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이효석 문학에 나타난 '혼종성'을 바탕으로 이효석 문학의 중층적이고 다층적 의미를 재해석 하고자 한다. 이효석 문학은 습작시기부터 사망시기까지 많은 작품을 남겼지만, 어떤 것으로 단정지을 수 없을 만큼 다층적이고 혼재적이다. 동반자적 문학에는 마르크시즘의 노동자 계층뿐만 아니라 다양한 하위계층의 타자성과 성이 혼재 되어 있고, 자연주의에는 도시와 자연이 혼재해 있으며, 구라파주의에는 동양과 서양이 착종, 굴절되어 혼종성을 드러낸다. 이렇듯 이효석의 모든 작품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경계를 넘나들며 무엇으로 규정할 수 없는 다층적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초기와 후기로 나누어 동반자 작가, 자연주의, 심미주의, 에로티시즘, 구라파주의 등으로 평가되어 왔다. 최근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새롭게 읽어 내려는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지만, 여전히 구라파를 선호하면서도 조선적인 것을 옹호하는 중충적이고 다층적인 난맥상은 논외로 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재고하면서 초기와 후기의 전 작품에 일관되게 흐르는 혼종성을 바탕으로 다층적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효석 문학을 새롭게 읽어낼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연구는 이효석이 작품을 썼던 시대적 배경이 1930년대 근대식민세계였던 만큼 식민지 근대의 시대적 특질을 배경으로 이효석 전 작품에 일관되게 흐르는 내적특질을 '혼종성'에서 찾는데서 시작하였다. 식민지 근대는 제국/식민, 동양/서양, 근대/탈근대의 틈새에서 인종, 언어, 문화 등의 불일치들이 중첩, 착종되면서 프랙탈적 차이를 생성하여 글로벌과 로컬이 뒤섞이는 혼종성을 드러내었다. 이효석은 식민지 근대의 특질을 바탕으로 글로벌과 로컬의 경계를 끓임없이 넘나드는 '경계사유'에 의해 혼종성을 통한 새로운 세계주의를 지향하고 있다. 즉 혼종성을 바탕으로 근대식민세계체제의 권력의 식민성에 의한 동질적 보편주의를 해체하고, 식민주의적 차이에 의한 환원할 수 없는 차이를 복원하여 차이에 의한 다원토픽의 프로젝트를 제시하고 있다. Ⅱ장에서는 이효석의 동반자 문학에서는 서구 마르크시즘이 계급구조의 단일성에만 주목한 것에 대해 다층적 의미의 혼종성이 내재해 있음을 밝힌다. 즉 이효석은 마르크시즘의 계급구조의 유물론에만 주목한 것이 아니라, 마르크시즘이 결여한 피식민자인 타자들, 서발턴, 여성들을 조명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근원적 욕망인 '식(食)과 색(色)'을 모색함으로써 글로벌 디자인인 서구 마르크시즘의 동질성에 균열을 가하고 있다. 또 근대식민세계체제가 젠더 공모하여 여성을 타자화하여 식민권력을 양산한 것에 대해 여성 타자는 이탈된 성의식을 통해 남성식민권력의 나르시시즘을 조롱하고, 여성 타자의 성 정체성을 회복하여 성권력을 재분배 한다. 뿐만 아니라 피식민자들이 겉으로는 식민근대의 제도적 규율권력에 전략적으로 조응하지만, 이면에는 이를 탈주하여 타자의 정체성을 회복하여 근대와 탈근대가 혼재하는 혼종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혼종성을 통해 근대식민세계체제의 제국과 식민, 남성과 여성, 근대와 탈근대의 이분법에 의한 동질적 보편주의가 해체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이효석은 동서양 문화횡단을 통한 '경계사유'와 '혼종화 과정'을 통해 근대식민세계체제에 의해 은폐되었던 식민지적 차이를 환원불가능한 차이로 복원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효석 문학의 주체들은 하얼빈, 러시아, 일본, 중국, 조선 등을 트랜스 횡단하면서 다양한 문화의 내적 불일치와 상이한 역사적 시간성들로 인해 상호충돌하지만 식민주의적 차이를 환원불가능한 차이로 되돌리며 혼종성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 동서양을 넘나들면서 문화적 자율성을 상대화한'혼종화 과정'을 통해 차별이 아닌 차이에 의한 다원토픽적 문화적 혼종성을 추구하며 상호문화적 복수문화의 메커니즘을 새롭게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혼종성을 바탕으로 기존 논의에서 구라파주의로 평가한 부분을 재고해 볼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감각의 혼종성에 의한 미학적 사유를 통해 규정적 삶에서 벗어나 비규정적 삶을 미학화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인간의 시각, 촉각, 후각, 미각에 의한 감각의 혼종성에 의한 자율성과 상상력을 통해 이성에 의해 규정된 마르크시즘, 유교적 금기, 권력의 식민성에 의한 피식민자의 삶, 일제에 의한 식민근대의 문명화, 등 식민지 근대의 환멸에서 벗어나 삶을 미학화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즉 생활적 공간에서 '생활의 예술화'와 '예술의 생활화'를 통한 '혼종화 과정' 통해 일상의 관습과 일제의 파시즘을 초월하여 인류보편적 감성인 진정한 삶의 가치를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세계주의를 재맥락화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효석은 이러한 감각의 혼종성에 의한 미학적 사유를 통해 근대식민세계체제의 제국적 담론에 포섭되지 않는 새로운 세계주의를 재맥락화함으로써 새로운 세계에 대한 전망을 제시한다. 이효석의 이러한 혼종성은 블로흐가 주장하는 '구체적 유토피아'의 실현이라고 볼 수 있다. 블로흐에 의하면 구체적 유토피아란 "아직 의식되지 않은 것(des Noch-Nicht-BewuBte)"을'의식'하고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것" (des Noch-Nicht-Gewordene) 을 '인식'하여 보다 나은 미래세계를 새롭게 창조하고자하는 '미래지향적 실천의지'라고 하였다. 이효석은 혼종성을 바탕으로 근대식민세계체제의 현실상황을 직시하여 아직-의식되지 않은 것의 동질적 보편주의를 의식하여,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것의'혼종성'을 미래의 희망으로 내세우며 근대식민세계체제의 제국적 담론을 초월하려는 '구체적 유토피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즉 근대식민세제체제의 제국적 담론을 '혼종성'이란 키워드로 대체하면서 근대식민세계체제의 권력의 헤게모니에서 벗어나 인류의 진정한 가치를 추구하는 새로운 세계주의를 재맥락화하여 보나 나은 미래 세계의 '차시간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살펴 볼 때 기존의 참여/도피, 저항/순응, 구라파주의/ 자연주의 등 이분법으로 평가한 논의를 혼종성과 연관하여 살펴봄으로써 이효석 문학을 새롭게 읽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the dual or multi-layered meanings of Hyo-seok Lee’s literature based on ‘Hybridity’ appearing in his literary works. Hyo-seok Lee left many literary works from his study period until his death, but they are too multi-layered and hybrid to classify. In his fellow-traveler literature, the otherness and gender of various low classes are mixed with one another beside the working class of Marxism, in his naturalism literature, cities are mixed with nature, and in his Europeanism literature, the west and the east are entangled and refracted, further revealing hybridity. Likewise, multi-layered meanings are inherent in all his literary works, which cannot be defined by anything, since they are organically connected and cross different borderlines. Despite this hybridity,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classified his literary works into the early and later halves of his period, while evaluating them as fellow-traveler, naturalism, aestheticism, eroticism and Europeanism. Recently, some studies actively attempt to make a new approach to his literary works from a post-colonial point of view, but they still leave the dual or multi-layered contexts out of the question, which prefer Europeanism and advocate things of Joseon. Thu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ulti-layered meanings of his literary works, based on ‘Hybridity’ consistently flowing all over his works in his early and latter periods. With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intends to raise the necessity of reinterpreting Hyo-seok Lee’s literature. As the time background of his works was the colonial modern world in the 1930s,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for ‘hybridity’ which is the internal feature consistently flowing all over his literary works based on the feature of colonial modernity. Colonial modernity revealed hybridity of globalism and localism by creating fractal differences as discordances of races, languages and cultures became overlapped and entangled along the cracks of imperialism/colonialism, East/West and modernism/post-modernism. Based on such features of colonial modernity, Hyo-seok Lee aimed for new cosmopolitanism through hybridity-based board thinking which constantly crossed the boundary between globalism and localism. In other words, he proposed a plural-topic project by deconstructing homogeneous universalism made by coloniality of the modern colonial world system and restoring differences irreducible by the colonialist differences. Chapter II clarify that hybridity with multi-layered meanings are inherent in his fellow-traveler literature, while the western Marxism paid attention only to the unity of the class structure. That is, Hyo-seok Lee did not pay attention to materialism of the class structure of Marxism. Instead, not only did he highlight others who were colonized with a lack of Marxism, colonial subalterns and women, but applied cracks on the homogeneity of the western Marxism, which was the global design of those days, by seeking humans’ fundamental desires for food and sex. Besides, as the modern colonial world system othernized women through gender-conspiracy and mass-produced colonial power, female others ridiculed narcism of the male colonial power through emancipated sexual consciousness and redistributed the sexual authority by recovering their sexual identity. Moreover, as the colonized strategically corresponded to the institutional disciplinary power of colonial modernity outwardly, but they tried to restore the identity of others by breaking away from it on the other hand, this chapter examines hybridity that modernity and post-modernity are mixed. Through such hybridity, this chapter shows the process of deconstructing homogeneous universalism by the dichotomy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men and women and modernity and post-modernity. Chapter Ⅲ examines the process of reducing the colonial differences, which were concealed by the modern colonial world system, with irreducible differences through ‘board thinking’ and ‘hybridity process’ of Hyo-seok Lee’s eastern and western cultural traverse. Characters from his literary works experienced mutual conflicts due to the internal discordance of various cultures and different historical temporality while trans-continentally traveling Harbin, Russia, China and Joseon, but they created new values of hybridity by converting colonist differences into irreducible differences. While frequently crossing the borderlines of the east and the west, they created a new mechanism of mutual and plural cultures, while pursuing plural-topic cultural hybridity by not discrimination but differences through the process of hybridity relativizing cultural autonomy. Based on such hybridity, this chapter reconsidered what the previous studies evaluated some of his works as Europeanism. Chapter Ⅳ examines the process of beautifying non-regulative life by breaking away from regulative life through aesthetic thinking by the hybridity of senses. Particularly, through autonomy and imagination by the hybridity of human senses of sight, touch, smell and taste, this chapter examines the process of beautifying life while breaking away from disillusions of colonial modernity, such as Marxism defined by reason, Confucian taboos, the life of the colonized by coloniality, and the civilization of colonial modernity. In other words, by suggesting true values of life, which is the humanistic and universal sensibility, by transcending the daily customs and Japanese fascism through the process of hybridity by making art a part of life and life a part of art, this chapter examines the process of re-contextualizing new cosmopolitanism. Hyo-seok Lee suggested a prospects for the new world by re-contextualizing the new cosmopolitanism that is never brought over to the imperialistic discourse of the modern colonial world system, through aesthetic thinking by the hybridity of such senses. Such hybridity of Hyo-seok Lee’s can be regarded as the realization of ‘Concrete Utopia’ as insisted by Bloch. According to Bloch, concrete Utopia is ‘Future-oriented will of action that creates a better new world by being conscious of ‘Something that is not conscious yet (des Noch-Nicht-BewuBte)’ and being conscious of ‘Something that is not realized yet (des Noch-Nicht-Gewordene)’. Based on such hybridity, Hyo-seok Lee attempted to realize ‘Concrete Utopia’ that transcends the imperialistic discourse of the modern colonial world system, by advancing ‘hybridity’ of something that is not realized yet as a hope of the future, as he was conscious of the homogeneous universalism of something that is not conscious yet by looking straight at the real circumstances of the modern colonial world system. That is, by replacing the imperialistic discourse of the modern colonial world system with a keyword named ‘Hybridity’, he suggested ‘Timetable’ of a much better future world by re-textualizing the new cosmopolitanism that pursues true values of humanism, breaking away from the hegemony of the modern colonial world system. In this aspect, this study could seek possibility of newly reading Hyo-seok Lee’s literature by examining the previous discussions by the dichotomy of participation/escape, resistance/adaptation, and Europeanism/naturalism in association with hybrid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1 B. 연구 방법과 연구 대상 12 Ⅱ.'모방'의 혼종성과 응시적 사유 23 A. 분열적 주체와 모순의 저항성 23 B. 자연적 공간과 탈주의 욕망 53 Ⅲ.'차이'의 혼종성과 경계적 사유 66 A. 다원적 주체와 복수보편의 동시성 67 B. 이국적 공간과 환원불가능한 차이 85 Ⅳ.'감각'의 혼종성과 미학적 사유 99 A. 심미적 주체와 삶의 미학성 101 B. 생활적 공간과 세계주의의 재맥락화 113 Ⅴ. 결론 126 참고문헌 133 ABSTRACT 1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51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이효석 소설의 혼종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Hybridity of Hyo-Seok Lee's Novels-
dc.creator.othernameChoi, kyoungran-
dc.format.pageiv, 141 p.-
dc.contributor.examiner정우숙-
dc.contributor.examiner연남경-
dc.contributor.examiner김미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