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형중-
dc.contributor.author김지혜-
dc.creator김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7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3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766-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examined the daily stress factor which could occur potentially when participating in camping activity with the camping participant subject group. Based on the research outcome, we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coping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standard.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research was divided into research 1 and research 2. In research 1,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18 camping participants in order to find out the stress factor. Based on the interview and inductive content analysis, we drew out a preparatory survey, and as a result of preparatory survey carried out with 182 camping participants, we ultimately drew out 23 survey questions. In research 2,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equity verification with 458 camping participants as subject in order to verify the influence that daily stress has on coping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standard. By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ss described above, the research result and discuss described below was drawn. In research 1, the daily stress factor verified in in-depth interview and preparatory survey was overall 6 factors which are social, administrative, safety related, regulatory, referential, situational stress factors. These daily stresses showed very similar aspect to the Hassles measure evaluating the stress in foreign outdoor recreational situation. However, the new question drawn from the interview which is "negligence of children" was able to be explained relat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amping culture. Contrary to the western camping culture which focuses on the sense of unity with the nature, domestic camping culture is turning into the playground for the adults without the original objectives of camping. People repeat the behaviors they performed in the city such as eating and drinking at the camping ground and often neglect the children which acts as their stress factor. Also, because of the camping ground that has increased rapidly compared to our small national territory, the camping ground is rather smaller than foreign countries and it also acts as a stress factor due to the lesser chance of playing in the natur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conducted preparatory survey and ultimately drew out 23 questions for daily stress factor. In research 2,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coping behavior has on the daily stress, first, each stress factor recognized by the camping participants led to different coping behavior. Second, some stress factors showed complex of behavioral coping behavior and cognitive coping behavior so that the coping strategy combined with correlation was adapted. Third, the camping participants mostly showed behavioral coping behavior in order to overcome the social, regulatory, referential stress rather than showing cognitive coping behavior. Fourth, camping participants reevaluated positively or converted their thoughts about their situations by cognitive coping behavior in case of the situational and safety related stress that the camping participants recognize. Finally, the administrative stress related to the facility of camping ground did not have direct influence on coping behavior. The physical state of camping ground was not a major factor for the participants' coping behavior, and it was verified that other stress factors had much more direct influence on coping behavior. In addition, we classified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into three sub elements(emotion, recognition, behavior) and conducted the regulation effect analysis, and the resul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the behavioral recreation specialization had influence in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coping behavior. The stress standard they feel in accordance with the expertise of camping experience and the coping behavior in order to overcome the situation varied. By conducting the analysis based on 4 statistically significant method by equity verification, the group with more experience showed active coping behavior such as direct action or changing the location, and showed less cognitive coping behavior such as reevaluating the stress situation. Comparing the path coefficient value of the high and low group of behavioral recreation specialization, the higher group showed tendency to actively solve the problem such as changing the activity or rescheduling in order to deal with various stress factors. This research explored what types of daily stress factor domestic camping participants feel,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es and coping behavior in accordance with recreation specialization standard. This research will be able to be used to under and manage the stress of camping participants in the future. Also, this research provides with the positive data of correlation theory suggested by existing outdoor recreation studies, suggests much efficient camping ground management and improvement plan, and later be utilized as a conceptual tool for the market segmentation of campers.;본 연구는 캠핑 참여자를 대상으로 캠핑 활동 시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일상적 스트레스 요인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연구 1과 연구 2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일상적 스트레스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 18명의 캠핑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예비문항을 도출하였으며 182명의 캠핑 참여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 23문항이 도출되었다. 연구 2에서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가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458명의 캠핑 참여자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회귀분석,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 및 논의가 도출되었다. 연구 1에서 심층 인터뷰와 예비조사를 통해 나타난 일상적 스트레스 요인은 총 6개로 요인명은 사회적, 관리적, 안전적, 규제적, 지시적, 상황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일상적 스트레스는 국외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Hassles 척도와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인터뷰를 통해 새롭게 도출된 문항은‘아이들의 방치’로 이는 국내 캠핑 문화의 특수성에 기인하여 설명될 수 있다. 자연과의 일체감을 중시 여기는 서구 캠핑문화와는 달리 국내 캠핑 문화는 캠핑의 목적을 상실한 채 어른들을 위한 놀이터로 변질되고 있다. 도심에서 먹고 마시고 놀던 것을 그대로 캠핑장으로 장소만 옮겨와 똑같은 행동을 되풀이하며 아이들을 방치하는 데에 따라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좁은 국토면적에 비해 기하급수적으로 생겨난 캠핑장은 다른 나라에 비해 공간이 협소하며 자연에서 마음껏 뛰어놀기를 희망하는 아이들로 인해 캠핑 참여자들은 이러한 요인이 스트레스로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상적 스트레스 요인은 최종 23문항으로 도출되었다. 연구 2에서는 일상적 스트레스가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첫째, 캠핑 참여자가 인지하는 각각의 스트레스 요인은 서로 다른 대처행동을 보였다. 둘째, 일부 스트레스 요인은 행동적 대처행동과 인지적 대처행동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서로 상호작용하며 결합된 대처전략이 적용되었다. 셋째, 캠핑 참여자들은 사회적, 지시적, 규제적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해 주로 행동적 대처행동을 보이며 인지적 대처행동을 덜 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캠핑 참여자가 인지하는 상황적, 안전적 스트레스는 인지적 대처행동을 통해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해 사고를 전환하거나 긍정적으로 재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캠핑장의 전반적인 시설상태와 관련된 관리적 스트레스는 대처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캠핑장의 물리적 상태는 이용객의 대처행동에 주요한 영향요인이 아니었음을 확인하였고 캠핑장의 시설 관리보다는 다른 스트레스 요인들이 대처행동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를 세 가지 하위 요인(정서, 인지, 행동)으로 구분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행동적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만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의 관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캠핑 경험의 정도와 활동에 대한 숙련성에 따라 그들이 느끼는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은 다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처행동 또한 달리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동질성 검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4가지 경로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경험이 많고 숙련된 집단일수록 직접행동, 장소대체와 같은 적극적인 대처행동을 보이며 스트레스 상황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하려는 인지적 대처행동을 덜 하였다. 행동적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고집단과 저집단에 모두 유의하게 나온 경로를 바탕으로 두 집단의 경로계수 값을 비교한 결과, 행동적 전문화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해 활동을 바꾸거나 시간대를 조정하는 등 보다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성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 캠핑 참여자가 느끼는 일상적 스트레스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캠핑 참여자의 불편사항을 파악한 근거자료로 그들의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관리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 야외 레크리에이션 연구에서 제시한 상호작용 이론의 실증적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다 효율적인 캠핑장 관리와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며 캠핑객의 시장세분화를 위한 중요한 개념적 도구로 활용되어질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C. 연구모형 8 D.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1 A. 일상적 스트레스 11 B. 대처행동 25 C.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33 Ⅲ. 연구절차 및 방법 40 A. 연구절차 40 B. 연구방법 42 Ⅳ. 연구결과 58 A. 일상적 스트레스 문항개발 58 B.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의 관계 69 Ⅴ. 논의 98 A. 일상적 스트레스 문항개발 98 B.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의 관계 104 C. 캠핑 활성화를 위한 제언 113 Ⅵ. 결론 및 제언 115 A. 결론 115 B. 제언 117 참고문헌 119 부록 1. 심층인터뷰 질문지 138 부록 2. 설문지 139 ABSTRACT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45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캠핑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의 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coping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standard of the camping participant-
dc.creator.othernameKim, Ji Hye-
dc.format.pagevii, 147 p.-
dc.contributor.examiner이원준-
dc.contributor.examiner이철원-
dc.contributor.examiner신규리-
dc.contributor.examiner윤지인-
dc.contributor.examiner원형중-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과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