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경옥-
dc.contributor.author강지은-
dc.creator강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7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3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77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지면에 지면의 종류에 따른 다감각 운동이 발바닥 감각, 균형, 무지외반각, 자세정렬, 체력, 코어근력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자발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할 의사를 밝힌 독립적인 보행이 가능한 65세 이상 여성노인 34명으로 하였다. 지면은 무른 탄성 지면과 딱딱한 지면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 모두 동일한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8주간 주 3회 50분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은 발바닥 감각, 무지외반각, 자세정렬, 체력, 코어근력이다. 발바닥 감각은 모노 필라멘트(Semmes-Weinstein Monofilament, SWMT) 도구를 사용하여 오른쪽, 왼쪽 발의 엄지발가락, 첫 번째 중족골, 세 번째 중족골, 다섯 번째 중족골 바닥을 측정하였다. 무지외반각은 해리스 매트(Harris mat)를 이용하여 족문검사를 하였고, 자세정렬은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립 시 정적 자세정렬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거리와 각도를 측정하는 바디 스타일(M-zen, 한국)을 사용하였다. 체력은 한국형 노인체력(문화체육관광부, 2012)으로 심폐지구력(2분 제자리 걷기), 민첩성·균형성(2.44M 돌아오기), 하지근력(30초간 의자에 앉았다가 일어나기), 상·하지 유연성(등 긁기 자세,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전신근력(좌·우 악력), 신체구성(체중, 체지방, 근육량, 제지방량, 골격근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 기초대사량)이다. 코어근력 검사는 스타 익스컬젼 발란스 테스트(Star Excursion Balance Test, SEB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Earl & Hertel, 2001). 자료 처리는 IBM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지면의 종류에 따른 두 집단의 동질성 검정을 위해 독립 t검정을 한 결과 집단 간 발바닥 감각과 무지외반각의 사전 측정 결과가 동일하지 않아 사전의 영향력을 공변량(covariance)으로 분석하였다. 지면의 종류별 체력, 코어근력은 운동 전, 4주, 8주 3회 측정하여 비모수 혼합변량분석(MANOVA : mixed ANOVA)을 이용하였다. 자세정렬 검사는 사전 사후로 2회 측정하였고, 윌콕슨의 부호 순위 검정(Wilcox signed rank test)으로 집단 간 차이를, 그리고 집단별 사후 검증은 맨 휘트니의 U 검증법(Mann 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다. 지면에 따른 발바닥 감각과 무지외반각, 자세정렬, 체력, 코어근력간의 설명력을 구하기 위해 비모수 상관관계(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 발바닥 감각 무른 탄성 지면과 딱딱한 지면 모두에서 발바닥 감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무른 탄성 지면이 딱딱한 지면보다 운동의 향상도가 높아 무른 탄성 지면에서의 운동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 무지외반각 지면에 따른 무지외반각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무지외반각은 뼈의 변형으로 온 질환이기에 운동의 효과를 보기에 운동 기간과 시간이 짧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지외반각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간의 증가가 필요하고, 무지외반각에 집중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C. 자세정렬 실험집단은 왼다리 굴곡 각도, 경추 기울기 각도, 왼다리 굴곡 평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아졌다. 반면 비교집단에서는 왼쪽 종골의 기울기 각도가 좋아졌다. 노인의 휜 다리를 교정하는데 무른 탄성 지면에서의 다감각 운동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D. 체력 실험집단은 심폐 지구력, 민첩성 및 평형성, 좌·우 악력,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아졌다. 체지방률은 오른쪽 다섯 번째 중족골의 발바닥 감각과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E. 코어근력 코어근력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실험집단에서 코어근력이 0주에서 4주, 4주와 8주, 0주와 8주 사이에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비교집단은 0주와 4주, 0주와 8주에서만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4주와 8주 사이는 향상은 되었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것은 무른 탄성 지면이 딱딱한 지면보다 코어근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다. 무른 탄성 지면에서의 다감각 운동은 딱딱한 지면보다 발바닥 감각, 코어근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체중과 체지방률, BMI의 감소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무른 탄성 지면에서의 다감각 운동이 딱딱한 지면보다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무른 탄성 지면에서의 다감각 운동은 발바닥 감각, 심폐 지구력, 민첩성·평형성, 좌우 악력을 향상시키고, 체중을 감소하게 하였다. 이것이 자세정렬과 코어근력을 향상시킨다. 반면 딱딱한 지면에서 다감각 운동도 발바닥 감각, 심폐 지구력, 상·하지 유연성, 코어근력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체중 감소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무른 탄성 지면에서의 다감각 운동이 딱딱한 지면에서의 운동보다 좀 더 다양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딱딱한 지면에서의 다감각 운동도 노인에게 필요한 코어 근력에 따른 균형 능력 증가에 효과적이어서 다감각 운동이 코어근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운동 프로그램은 넘어짐 예방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생활 불편감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ti-sensory exercise on the plantar sensation, balance, hallux valgus angle, posture, physical strength, and multi-direction core strength according to the type of ground. The subjec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more than 65 years of independent ambulant elderly women 34 people. The ground was divided into hard and soft ground. Both groups were all applying the same exercise program, and it was carried out for 50 minutes 3 times a week during eight week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plantar sensation, hallux valgus angle, posture, physical strength, multi-directional core strength. Plantar sensation was measured by using monofilament (Semmes-Weinstein Monofilament, SWMT) tool, on the right and left foot toe, first metatarsal, third metatarsal, and fifth metatarsal bottom. The hallux valgus angle was measured by Harris, Matt (Harris mat) on the footprints inspection, and the posture was measured the static posture when standing, using a high-resolution camera, body style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distance and angle (M-zen, Korea). The physical strength was the Korean elderly fitnes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as cardiorespiratory endurance (2 minutes walking place), agility, balance (2.44M return), strength of lower extremity (30 seconds sit and stand up in the chair), the upper and down flexible (including the posture scratching, bending forward to sit-ups), body strength (grip strength left and right),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body fat, muscle mass, total weight without fat, muscle volume, body fat mass, body fat, BMI, BMR). The multidirectional core strength test was measured using a Star Excursion Balance Test(SEBT) (Earl & Hertel, 2001). Data processing was utilizing IBM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independent t-test results for the homogeneity test in accordance with the kind of ground, were that as the results of pre-test on the plantar sensation and hallux valgus angle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ame, the impact was analyzed by covariance. By the type of ground, the physical strength, and multidirectional core strength were measured before exercise, after 4 weeks, after 8 weeks, total three measurements were used non-parametric (MANOVA : mixed ANOVA). The posture check was measured twice with pre and post exercise,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Wilcox signed rank test, and the group-specific post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with U-validated methods (Mann Whitney U test). The plantar sensation, hallux valgus angle, posture, physical strength, and the multi-direction core strength by the ground were performed non-parametric correlations between body composition in order to take the explanatory power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verified by setting the p <.05. If you comprehensively summar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plantar sensation On the soft ground and hard ground, the plantar sens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d in both. But as the improvement in the exercise of the soft ground surface than a hard was high,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of soft ground was more effective. B. hallux valgus angl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of the ground were not significant. Because the hallux valgus angle is the strain on the bone disease, the time to see the effect of the exercise was short. The duration increase was required to reduce the hallux valgus angle and it will require the concentration of the solid programs of the hallux valgus angle. C. posture alignment The posture of the group that performed multi-sense exercise in the soft floor has improved significantly on left leg flexion angle, cervical tilt angle in the statistical evaluation of left leg flexion. On the other hand, the group that performed multi-sense exercise in the hard floor was improved on the slope angle of the left calcaneus. It can be seen that the multi-sensory exercise on hard ground was effective to correct a bent leg of the elderly. D. physical strength The group that performed multi-sense exercise on the soft grou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on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gility and balance, right and left hand grip strength, body weight, fat mass, percent body fat, BMI.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ody fat and the plantar sensation of the right fifth metatarsal. E. multidirectional core strength The multidirectional core muscle strength has improv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In particular, the multidirectional core strength on the soft ground all between 0 weeks to 4 weeks, 4 weeks and 8 weeks, 0 and 8 week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a group of multi-sensory exercise on hard ground was only between 0 and 4 weeks 0 and 8 weeks significantly improved statistically but between 4 and 8 weeks, the impr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can be seen that the core strength continually improved on the soft ground floor than the hard. The multi-sense exercise on the soft ground has improved significantly plantar sensory, multi-direction core strength than the hard floors, and it showed a decrease in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BMI. Therefore, the multi-sense exercise on the soft ground than the hard ground can be effective. The multi-sense exercise on the soft ground improved the sense of the plantar surfa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gility, balance, the left and right grip, and reduced weight. This improves multidirectional core strength and posture. On the other hand the multi-sense exercise even on hard ground improved the plantar sense, cardiovascular endurance, upper and under flexibility, and core strengths. But it did not affect the weight loss.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multi-sense exercise is more diverse on the soft ground than on the hard ground.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multi-sensory exercise on the hard ground was also effective to increase the ability to balance a sense exercise of the core strength needed for the elderly. Therefore, this exercise program will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fall, as well as contribute to reducing uncomfortable feeling of living of the elder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연구 가설 6 D. 용어의 정의 7 E. 연구의 제한점 11 Ⅱ. 이론적 배경 12 A. 노화와 감각기능의 저하 12 B. 노인의 발바닥 감각 문제 13 C. 노인의 자세정렬 14 D. 무지외반각 15 E. 노인의 균형 능력과 코어근력 감소 및 체력 17 Ⅲ. 연구 방법 18 A. 연구 대상 18 B. 연구 변인 19 C. 실험 장비 20 D. 운동 프로그램 내용 32 E. 다감각 운동 프로그램 구성 내용 36 F. 실험 방법 43 G. 자료 처리 44 Ⅳ. 연구 결과 45 A. 발바닥 감각의 차이 45 B. 무지외반각의 차이 56 C. 자세정렬의 차이 57 D. 체력의 차이 65 E. 코어근력의 차이 83 F. 운동 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97 V. 논의 112 A. 다감각 운동을 통한 발바닥 감각의 차이 112 B. 다감각 운동을 통한 무지외반각의 차이 113 C. 다감각 운동을 통한 자세정렬의 차이 114 D. 다감각 운동을 통한 따른 체력의 차이 115 E. 다감각 운동을 통한 코어근력의 차이 116 F. 지면에 따른 다감각 운동 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117 VI. 결론 및 제언 121 참 고 문 헌 124 Abstract 1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564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지면의 종류에 따른 다감각 운동이 여성노인의 발바닥 감각, 무지외반각, 자세정렬, 체력, 코어근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the multi-sensory excercise on older women's plantar sensation, hallux valgus angle, posture alignment, physical strength, core strength according to the type of ground-
dc.creator.othernameKang, Ji-Eun-
dc.format.pagex, 143 p.-
dc.description.localremark박110-
dc.contributor.examiner최규정-
dc.contributor.examiner정덕유-
dc.contributor.examiner김옥자-
dc.contributor.examiner홍은아-
dc.contributor.examiner이경옥-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과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