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0 Download: 0

사실적시 명예훼손죄에 대한 연구

Title
사실적시 명예훼손죄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Fact Statement Defamation against Public Figures
Authors
강선영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미
Abstract
Defamation is occurring much more frequently in the space of the internet and SNS which has newly appeared with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is has caused not a few cases where victims are much more severely harmed than in the past and criminal punishment from defamation continues to occur. The sharing and propagation of information as become faster, but many more journalists and citizens have stood at court as defendants against defam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limitations on the freedom of speech must be lifted when public figures are victims of defamation. Thu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considered is the range of the term public figure. Honor is important as a fundamental right to the protection of an individual’s personality value. so actions that damage another’s honor must be sanctioned. However, public figures, unlike private citizens, are able to use public power and media by easy access to information, so if the range excluding illegality in defamation is the same for both public and private persons, then it can affect the freedom of expression of many citizens.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public figures often collide with the right to know of citizens, which causes side effects makes it inadequate to apply the same legal principles of defamation to pubic figures. Hence, domestic defamation lawsuits by public figures were politically exploited rather than used to restore individual value. Therefore, the study inquires into the actual status of defamation lawsuits filed by public figures and examines the tendency of rulings by investigating the standard of the court in identifying public figures. The abolition of criminal defamation is the current world trend. Therefore, the study attempts to discuss a direction of decriminalization of criminal defamation. The discussion on whether to criminally punish defamation continues to exist despite methods of relief like civil compensation. In 2006,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reviews cases of criminal punishment for defamation after journalists criticized the government or politicians and ruled that a prison sentence for defamation was an excessive punishment for the reason that it oppressed the right to know of citizens and the freedom of speech. The reason that the abolition of criminal defamation continues to be discussed is that most countries abuse criminal defamation to maintain regimes. Consequently, public officials are able to control the criticism of the press or citizens by using taxes from the people, without any diminishment to their own wealth. Article 307, clause 1 of the Criminal Law in Korea has a regulation that punishes defamation that points out true fact. This continues to arouse controversy for the reason that criminal law protects the so-called false name of people.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reveal the necessity to stipulate the exclusion of illegality in cases of public figures in Criminal Law article 310, the illegality judgement regulation of fact statement defamation. Ultimately, an amendment to article 310 of the Criminal Law must be reviewed, in a direction toward excluding illegality if the stated fact is proved to be true by interpreting the conditions of public interest more widely, in cases of fact statement defamation in which the subject of defamation is a public figure.;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인터넷 또는 SNS등의 공간에서 훨씬 빈번하게 명예훼손이 이루어지고 있고, 공인에 대한 사실이나 허위적시로 언론사와 개인이 명예훼손죄로 형사처벌을 받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정보의 공유와 전파력은 빨라졌지만, 오히려 공인에 대한 정보를 게시판에 올리거나 전파한 시민들이 명예훼손죄의 피고인 신분으로 법정에 드나드는 일이 잦아진 것이다. 따라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공인의 범위이다. 명예는 개인의 인격 가치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기본권으로서 중요한 가치이기 때문에,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에 대하여는 제재가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공인은 사인과 달리 공권력을 이용할 수 있고, 정보에 쉽게 접근하여 언론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인과 사인의 명예훼손 위법성조각 범위를 같은 기준에 두게 되면 다수 국민의 표현의 자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인의 경우는 직무특성상 국민의 알권리와 충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적인 명예훼손 법리와 똑같이 평가하기에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서, 지금까지 국내의 공인 대상 명예훼손 소송이 개인의 가치를 복구하고자 하는 측면보다는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공인이 제기하는 명예훼손 소송의 실태를 알아보며, 법원이 판단하는 공인의 판단기준을 따져 판결경향을 알아보도록 한다. 현재 형사상 명예훼손죄 폐지는 세계적 추세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형법상 명예훼손죄에 관하여 비범죄화 방향의 논의를 하고자 한다. 우리나라도 명예훼손행위에 대해 민법상 손해배상 등과 같이 구제 가능한 수단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형사처벌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계속하여 진행 중이다. 2006년 유럽인권재판소에서는 언론인들이 정부나 정치인을 비판했다가 명예훼손죄로 형사처벌받은 사례들을 검토하여, 국민의 알권리와 언론의 자유를 억압한다는 이유로 명예훼손에 대해 징역형을 선고하는 것은 과도한 형벌이라 결정하였다. 계속하여 형법상 명예훼손의 폐지가 논의가 되고 있는 것은 대부분 국가에서 형사상 명예훼손죄는 정부의 체제유지를 위해 남용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덕분에 공직자들은 자신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국민의 세금을 써가면서 자신을 비판하는 언론이나 국민의 비판을 제압할 수 있다. 우리형법은 제307조 제1항 진실한 사실을 적시한 명예훼손행위에 대해서도 처벌하는 규정을 두고 있는데, 이는 형법이 소위 사람의 허명(虛名)을 보호한다는 이유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의 위법성판단규정인 형법 제310조에서 공인의 경우는 위법성조각이 되어야 함을 명문화 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결국 명예훼손의 주체대상이 공인이라면, 사실적시 명예훼손의 경우 공익성의 요건을 보다 넓게 해석하여 적시 사실이 진실이라는 입증만 된다면 위법성이 조각되는 방향으로 형법 제310조 개정안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