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5 Download: 0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 관련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Title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 관련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Specialized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홍유나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주영주
Abstract
Just as in the recent financial crisis of Greece, South Korea also experienced hard time due to large-scale unemployment in the late the 1990s and the consequences thereof has continued until recently. Most teenagers have received only uniformed education structured solely to prepare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excessive number of college graduates caused the imbalance in personnel supply and demand on the market while aggravating youth unemployment problem. As a way to solve such a social problem,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for adolescents to acquire specialized skills according to their talent and aptitude and gain jobs right after their high school graduation. However, since the governmental support and policy implementation for these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are in a mere initial stage, for policy implementation development, relevant empirical study is necessary. In this recognition, this present study seeks to find out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from various different angles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choice model;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empirically in an integrative structure model; and test any change betwee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group and meister high school group.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shares the policy goal to promote the employment of high school graduates. However, if meister high schools are established for employment support, specialized high schools are for both employment and university study. Meister high schools have three times more budget tha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have twice higher employment rate than specialized high schools. Preceding studies reported that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vocational value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is study, it was also assumed that, depending upon school types, the latent mean or influence of career attitude maturity-related variables would be different. And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on what kind of strategies are necessary to help improve specialized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what kind of governmental support plans are necessary for these students; and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future relevant study activation and national skilled worker promotion policies. According to these study background and purposes, the present study set specific agenda as follows; 1. Do program experience, program flow,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 affect specialized high schoolㆍmeister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2. Do program experience, program flow,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 affect specialized high schoolㆍ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3. Do school types (specialized high schoolㆍmeister high school) make any difference in the latent mean and effect of program experience, program flow,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 self-efficacy and latent mean of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this research, specialized high schoolㆍmeister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skilled technique transfer program implemented by the Global Institute for Transferring Skills a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and 491 sets o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September 2015. To verify the correspondence of the collected data to hypothetical model and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re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herein. In terms of the research processes, th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first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he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run to see the correlation with multi-variate normal distribution normality. Based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assessment instrument validity was tested along with the correspondence of assessment model. Then the structural model correspondence was verified; inter-variable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were analyzed; Bootstrapping method was employ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Finally, based on the confirmed models,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two groups of specialized schools and meister schools, verifying mean difference in latent variables and their path coefficient difference. The study findings under the research agenda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question was examined, which is on the effect on self-efficacy by program experience, program flow,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 in the skilled technique transfer program for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As a result, program flow and career barrier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while the former showed greater influence than the latter. But the program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The second study question was examined, which is on th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by program experience, program flow,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 and self-efficacy in the skilled technique transfer program for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As a result, the program experience,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relatively, the career barrier showed the stronges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followed by program experienc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order. However, program flow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hile having only an indirect effect by the medium of self-efficacy. The third study question was investigated, which is on any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type in the latent mean and influence of program experience, program flow,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s a result, this research model showed good correspondence to both group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hypothetical model was found to well explain both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atent variable response levels between each variable or inter-variable influence among the specializedㆍmeister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bove,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or subsequent study; First, for more specific variable search of career attitude maturity, separate interest, goal and behavior into individual variables or apply variables factoring in specific environment of learners to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for empirical verification in theoretic framework based on diverse variable application. Second, since this study skill transfer program includes students in different school years and study areas such as machine engineering, electronicsㆍelectricity, automobile, fiber, architecture, and IT; it is suggested to look at the difference i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inter-variable caus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students’ major study areas and perform the multi-group analysis. Thir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elf-reporting likert scale method, include the assessment by outside experts based on their observation. By doing so, the gap between the respondents’ perception level and actual level would be narrowed and scale objectivity will be secured. Forth, a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a single specific program, future study is advised to look at field training or more diverse future programs to see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while school type-specific differences. Fifth, examine the entire participating students for the generalization of study findings. Not only the skilled technique transfer program, but long-term field practice training programs directly implemented by specializedㆍmeister schools will need to be examined for their variables affec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to lead more specific system improvement. Based on the present study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are foun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e program experience as a variable with direc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is finding indicates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experience in enhance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Also, to facilitate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practical training programs focused on the field will be necessary. So far, the career education has been centered on psychological test and information provision. But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career education act, a paradigm shift in this field is expected. In this situation more research will be necessary on improving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employment ratio of students at vocational preparatory schools such as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capacity-oriented career education helping students continue to develop own career after graduation; self-initiated career study based on diverse activities and experiences; and caree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y support system. Second, it was found herein that program flow had a 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and i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by the medium of self-efficacy. This finding implies the need for suitable teaching strategies considering clear goals for program flow, concrete and instant feedback, and challenging tasks at a proper level for enhanced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ird, as this study has found, social support directly influenced career attitude matur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pecializedㆍmeister high school students would increase amid family, local community and relevant institutional attention as well as active support by the society. And high school graduate employees could grow as a competent talent especially when public career education is reinforced for the vulnerable and policy support is continued for efficient high school graduate employment. Forth, the career barrier was found as a variable with 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is finding suggests the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lower the career barrier by using governmental broadcasting channel, developingㆍoperating specialized occupational psychology test, building a skilled worker career development model, connecting military specialist scheme, etc. Also, to help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grow into genuine masters, a career development model for skilled techniques should be established. Also, institutional measures are necessary to address one of the big problems for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military service. A specialized soldier scheme could be such an institutional effort. Fifth, latent-variable response levels or influence of the two group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school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uch a result implies that at the school entrance, students of both types of schools may have a difference in their theoretical learning ability but they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actice-focused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Also, compared with meister school students who have a clear goal to have a job, specialized school students consider two different options of employment and study at the same time and tend to join the school due to their test results. In these senses, the specialized school students are deemed to have lower career attitude maturity levels before but after practical training based on role model program and experiencing the skilled technique transfer program, they seem to improve their awareness on career and become more confident in their career.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deemed necessary to specifically analyz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and verif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school year and area of major study for better policy measures to cultivate quality skilled technicia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dentifying factors expected to have an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from diversified aspects based on theoretical ground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esting their causal relationships and differences between school type-specific groups; and expanded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alysis previously focused on elementaryㆍmiddle schools into vocational education-centered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amid the limited amount of studies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pecializedㆍmeister high school students. Also, together with the role model, the effectiveness of skilled technique transfer program providing more practical career training was investigated herein where students practice specific aspects in an apprentice scheme. The final model verifi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fundamental model for specializedㆍ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improving program designing and infrastructure build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ntroducing empirical research and educational technological approach to find out useful implications and lessons for specific teaching-learning strategy building and relevant future study.;최근 세계 경제의 화두가 되고 있는 그리스의 경제위기처럼 1990년대 후반 우리 경제도 대량 실업사태에 빠져 어려움을 겪었고 그 여파는 최근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대부분 대학진학을 위한 획일적 교육을 받아왔고 과도한 대학진학은 노동시장 인력수급의 불일치와 청년실업 문제를 가중시켰다. 이러한 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자구책으로 정부에서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따라 전문기술을 습득하여 고등학교 졸업 후 바로 직업현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정책적 시행은 아직 초기단계에 불과하여 효율적인 정책 수행을 위해서는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인지진로이론 선택모형을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도출하여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통합적인 구조모형 속에서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이와 더불어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의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는 고졸취업을 위한 정책의 한 맥을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마이스터고등학교가 취업을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면 특성화고등학교는 취업과 진을 동시에 고려하였고, 예산규모가 특성화고등학교에 비해 마이스터고등학교의 예산이 약 3배가 많으며, 취업률도 마이스터고등학교가 약 2배 높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보다 직업가치관 및 진로성숙도가 높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학교유형에 따라 진로태도성숙도와 관련변인들의 잠재평균이나 영향력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떠한 전략이 필요하고 정부차원에서 학생들에게 어떠한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관련 연구 활성화와 국가 숙련기술장려 정책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배경과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 경험, 프로그램 몰입,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은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2. 프로그램 경험, 프로그램 몰입,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기효능감은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3. 학교유형(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에 따라 프로그램 경험, 프로그램 몰입,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도의 잠재평균과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2015년 4월부터 9월까지 한국산업인력공단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에서 실시되는 '숙련기술전수프로그램'에 참여한 63개의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91개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가설적 모형의 부합도 검증과 변인 간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통계 방법이 사용되었다. 분석 절차는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후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다변량정규분포정상성과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측정모형의 부합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구조모형의 부합도를 검증하고 변인 간의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분석한 후 부트스트래핑 방식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정된 모형을 기반으로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두 집단에 대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고 잠재변인 간의 평균차이를 검증하고 관련변인 간의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 대상 '숙련기술전수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 경험, 프로그램 몰입,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 몰입, 진로장벽이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에 대한 프로그램 몰입의 영향력이 진로장벽의 영향력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그램 경험과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 대상 '숙련기술전수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 경험, 프로그램 몰입,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기효능감이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 경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기효능감이 진로태도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태도성숙도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은 진로장벽, 프로그램 경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그램 몰입은 진로태도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효과만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학교유형에 따라 프로그램 경험, 프로그램 몰입,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도의 잠재평균과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상정된 연구모형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과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 두 집단 모두에 좋은 부합도를 보였고, 가설모형이 두 집단을 모두 잘 설명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특성화고등학교 학생과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이 각 변인 간의 잠재평균이나 영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진로태도성숙도의 구체적인 변인 탐색을 위해 흥미, 목표, 행동을 다른 개별 변인으로 분리하거나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에 학습자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할 수 있는 변인들을 적용하여 다양한 변인의 적용을 통한 이론적 틀의 실증적 검증을 제안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숙련기술전수프로그램’에 기계, 전기전자, 자동차, 섬유, 건축, IT 등 전공이 다른 학생들과 학년이 다른 학생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전공별, 학년별 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와 관련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다집단 분석을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자기보고방식의 Likert 척도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향후 외부 전문가의 관찰에 따른 측정을 포함함으로써 응답자의 지각 수준과 실제 수준과의 간극을 좁히고 척도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할 것을 제안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정부에서 제공하는 '숙련기술전수프로그램'을 경험한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태도성숙도를 관찰하였기에 향후 다양한 진로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를 관찰하고 학교유형별 차이를 검증해 볼 것을 제안한다. 다섯째, 전체 참여 학생들을 표본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숙련기술전수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에서 직접 실시하고 있는 장기간의 현장실습 훈련을 대상으로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연구하여 구체적인 제도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경험이 진로태도성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검증된 본 연구의 결과는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 향상에 있어 학습경험의 중요성과 고졸 학생들의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을 원활하게하기 위해 '숙련기술전수프로그램'과 같이 현장 중심의 실제적인 훈련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심리검사 및 정보제공 중심의 진로교육이 이루어졌다면 진로교육법 시행을 기점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 졸업 이후에도 자신의 진로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역량중심의 진로교육, 다양한 활동과 체험을 통한 학생 중심의 자기주도적 진로학습, 지역사회의 지원체제와 연계된 진로교육 등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와 같은 취업중심 학교 학생들의 취업률을 높이고 진로태도성숙도를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프로그램 몰입이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태도성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는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 제고를 위해 프로그램 몰입을 위한 명확한 목표,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피드백, 적절한 수준의 도전적인 과제 제공을 고려한 교수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진로태도성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본 연구의 결과는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족과 지역사회, 유관기관의 관심과 사회적 지원이 적극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취약계층에 대한 공공의 진로교육을 강화하고 고졸취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고졸 취업자가 일과 학습을 병행하여 유능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진로장벽이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장벽 해소를 위해 정부에서 운영하는 ‘한국직업방송’ 채널을 이용하고 특화된 직업심리검사를 개발ㆍ운영하는 등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이 진정한 마이스터로 성장할 수 있도록 숙련기술인 경력개발 모형이 구축되어야 하며, 고졸 취업의 큰 장애 중의 하나인 병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군 특기병 연계 등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섯째, 진로태도성숙도 관련 변인들이 특성화고등학교 및 마이스터고등학교 두 집단 간에 잠재변인의 응답수준이나 영향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입학당시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능력 수준이 이론적 학습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실습 중심으로 진행된 교육훈련이라는 프로그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또한 취업이라는 뚜렷한 목표를 갖고 입학한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해 취업과 진학을 함께 고려하고 성적에 맞추어 입학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기존에 갖고 있는 진로태도성숙도는 낮았으나 역할모델을 통한 실제적인 실습 수업과 진로교육이 이루어진 ‘숙련기술전수프로그램’의 경험을 통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그동안 생각하지 못했던 진로에 대한 자각이 높아지고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특성과 환경을 분석하고 학년별, 전공별 차이를 검증하여 양질의 숙련기술인 육성을 위한 정책마련 방안에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와 관련된 연구가 제한적인 가운데 사회인지진로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되는 요인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도출하여 그 인과관계 및 학교유형별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는 점, 대부분 초ㆍ중등학교와 대학의 맥락에서 진행되어 온 진로태도성숙도 관련 연구를 직업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환경으로 확대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역할모델과 함께 기업현장에서 실제로 접하게 되는 구체적인 실습을 하고 도제식으로 진행되는 '숙련기술전수프로그램'이라는 실제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최종모형은 특성화고등학교ㆍ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설계 및 인프라 구축의 기저 모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실증적 연구와 교육공학적 접근을 통해 구체적인 교수-학습전략 수립 및 향후 관련 후속 연구에 유용한 시사점과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