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6 Download: 0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만성통증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

Title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만성통증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
Other Titles
The effe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outpatients with chronic pain
Authors
최은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선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whether psychosoci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among outpatients with chronic pain. Participants were 100 from psychiatric center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 city,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3, 2015 to Jun 20, 2015.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life of quality (WHOQOL-BREF; Min et al., 2002), catastrophizing (K-PSC; Cho et al., 2013), spirituality (SPS-K; Kim et al., 2012), pain acceptance (KCPAQ; Cho et al., 2012), personality (BFI-K-10; Kim et al., 2010) and medication attitude (K-PMAQ; Cho et al., 2014). Data wer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were as follows; 2.2±0.68(1-5) of quality of life, 36.0±12.35(0-52) of catastrophizing, 3.1±1.47(1-6) of spirituality, 33.2±15.44(0-120) of pain acceptance, 3.5±0.93(1-5) of neuroticism and 97.8±25.27(0-180) of medication attitude. 2. In individual factors, pain acceptance(r=.544, p<.01) and spirituality(r=.417, p<.01)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however, catastrophizing(r=-.584, p<.01), neuroticism(r=-.420, p<.01) and medication attitude(r=-.440, p<.01)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tients' quality of life. 3.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using quality of lif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four predictors in the model shown that catastrophizing(β=-.259, p<.05), spirituality(β=.255, p<.01), pain acceptance(β=.246, p<.01) and neuroticism(β=-.244, p<.01). However, medication attitude was not significant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The overall model explained 52.8% of the variance in turnover intention (F=23.107, p<.001).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tients' pain catastrophizing, spirituality, pain acceptance and neuroticism were significant for patients' quality of life. Therefor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pain may be needed to develop spirituality, pain acceptance and to reduce catastrophizing and neuroticism of personality;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만성통증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을 파악하여 만성통증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만성통증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5년 5월 25일부터 6월 20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도구로 만성통증환자의 삶의 질은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척도(WHOQOL-BREF; 민성길 등, 2000), 재앙화는 한국 통증재앙화척도(K-PSC; Cho et al., 2013), 영성은 한국판 영적관점척도(SPS-K; Kim et al., 2012), 통증수용은 한국 만성통증수용 설문지(KCPAQ; Cho et al., 2012), 성격은 한국판 성격5요인 척도(BFI-K-10; 김선영 등, 2010), 약물태도는 한국판 통증 약물태도(K-PMAQ; 조성근 등, 2014)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s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삶의 질은 평균 2.2±0.68점(1-5)이었다. 대상자의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재앙화 36.0±12.35점(0-52), 영성 3.1±1.47점(1-6), 통증 수용 33.2점±15.44점(0-120)이었다. 성격특성 중 성실성 3.7±0.78점(1-5), 신경성 3.5±0.93점(1-5), 친화성 3.4±0.76점(1-5), 개방성 3.3±0.95점(1-5), 외향성 2.7점±0.78점(1-5)이었으며, 마지막으로 약물태도는 97.8±25.27점(0-180)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삶의 질은 통증 수용(r=.544, p<.001), 영성(r=.417,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재앙화(r=-.584, p<.001), 신경성(r=-.420, p<.001), 약물태도(r=-.440, p<.001)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대상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살펴본 결과, 재앙화(β=-.259, p=.01)가 가장 큰 영향 요인이었으며, 영성(β=.255, p=.01), 통증 수용(β=.246, p=.05), 신경성(β=-.244, p=.01) 순으로 나타났다. 약물태도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2.8%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만성통증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앙화, 영성, 통증 수용, 성격특성 중 신경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통증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재앙화는 낮추고, 영성과 통증수용은 높이며. 신경성의 부정적인 특성을 완화시키는 간호중재 적용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