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하은희-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creat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7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2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7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산모·영유아의 환경유해인자 노출 및 건강영향 연구’에 등록한 산모와 출생아를 대상으로 그들의 거주지를 통해 예측된 PM10 노출 자료를 이용하여 임신 및 출생 후 PM10 노출이 출생체중 및 6, 12, 24, 36, 60개월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통계적 분석 모형은 일반화 선형모형과 일반화 추정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7-12개월의 PM10 노출 증가는 12, 36, 60개월 체중의 감소와 관련성이 있었으며 그 이후 성장시기의 PM10 노출은 각 시기의 체중을 감소시키는 방향성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50 ㎍/㎥를 기준으로 임신부터 24개월까지 지속해서 높은 PM10 농도에 노출되었던 군과 같은 기간에 지속적으로 낮은 농도에 노출되었던 군의 체중을 출생 후 시기별로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노출이 지속해서 높았던 군은 노출이 낮았던 군에 비해 60개월 체중 표준화 점수가 0.44 유의하게 낮았으며 체중은 1.11 kg 유의하게 낮았다. 평균 출생체중인 3.3 kg을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PM10 노출 수준에 따른 체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출생체중이 3.3 kg 미만인 경우 0-6개월에 기준치보다 높은 수준의 PM10에 노출된 어린이는 그렇지 않은 어린이에 비해 24개월의 체중이 낮았으며 7-12개월에서 기준치보다 초과하여 노출된 경우 12, 36, 60개월의 체중이 유의하게 낮았다. 출생체중이 3.3 kg 이상인 경우도 7-12개월의 PM10 기준치 초과 노출이 60개월의 체중 표준화 점수를 유의하게 낮추었으나 그 외의 시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PM10의 노출이 초기 어린이 성장발달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특히 1세 이전이 PM10 노출에 감수성이 큰 시기일 가능성을 나타내며 출생체중이 낮은 어린이의 경우 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초기 어린이 성장의 지연은 향후 다양한 형태의 건강영향과 관련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Background and aims: There have been some evidences that exposure to air pollution might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renatal and postnatal exposure to PM10 and weight in children from birth to 60 months of age. Methods: This study is a part of MOCEH (Mother and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Study) study, which is an ongoing, prospective birth cohort study in South Korea. Average exposure levels to PM10 of 1,129 mother-child pairs during the entire pregnancy and early childhood were estimated using 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 method. Birth outcomes such as birth weight, sex, and gestational age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Child weight was measured at each visits of children at 6, 12, 24, 36, and 60 months of age and the weights were transformed to weight-for-age z-scores.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residential factors, environmental exposur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prenatal exposure to PM10 lowered children’s weight at 12 months and negative effect of PM10 exposure from 7 to 12 months was found on children’s weight at 12, 24, 36, and 60 months. The average concentration from 13 to 24 months, 25 to 36 months, and 37 to 60 months in children were also associated with weight at 60 months. In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considering repeated measures of exposure to PM10 and children’s weight from 12 to 60 months and 24 months, postnatal exposure to PM10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weight. The children who had lived in constantly higher level of PM10 (> 50 ㎍/㎥) from pregnancy to 24 months of age were 0.44 lower in weight z-scores (1.11 kg lower in weight) at 60 months than the children who had lived in lower level of PM10 (≤ 50 ㎍/㎥) during the same period. Among the children whose birth weight was lower than 3.3 kg, higher postnatal exposure to PM10 (> 50 ㎍/㎥) significantly lowered their weight. This significance was not found in the children with birth weight over 3.3 kg. Conclusions: Exposure to air pollution during pregnancy and at early childhood may affect children’s weight. Furthermore, the 7-12 months of age may be one of the most susceptible period to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children’s growth and children with lower birth weight might be more vulnerable to the air pollution. Further follow-up in the study will be need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 will be shown continuously or differently as a catch-up growth for children with low weight. Moreover, long-term investigation will be required to find if the growth delay will be related with further health problems in children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1 B. 연구 목적 4 Ⅱ. 이론적 배경 5 A. PM의 특성과 노출 요인 5 B. PM의 건강영향 6 C. 출생체중 및 초기 어린이 성장연구의 중요성 9 D. PM이 출생체중 및 초기 어린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 10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15 A. 연구 대상 15 B. 연구 자료 18 1. 자료 수집 18 2. 환경 노출 분석 19 C. 통계 분석 22 1. 일반화선형모형 22 2. 일반화추정방정식 23 Ⅳ. 연구 결과 26 A. 연구 자료의 일반적 특성 26 1. 산모와 어린이의 일반적 특성 26 2. 시기 별 PM10 평균 농도 28 B. PM10과 어린이 체중의 선형 관련성 분석 29 1. 시기별 PM10 노출과 출생 후 체중 표준화 점수 29 2. 시기별 PM10 노출과 출생 후 체중 32 C. 지속적인 PM10의 고 노출 환경에 따른 영유아 체중의 차이 34 D. 어린이 성장의 출생체중에 따른 PM10 노출의 민감도 차이 36 1. 출생체중 3.3kg을 기준으로 PM10 노출 수준에 따른 체중 영향 35 2. 지속적인 PM10의 고 노출 환경에서 출생체중의 차이에 따른 성장 39 Ⅴ. 고찰 43 A. PM10 노출 농도 고찰 43 B. PM10과 어린이 성장 및 시기별 감수성에 대한 고찰 45 C. 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고찰 47 D. 낮은 출생체중과 초기 성장 지연에 따른 건강영향에 대한 고찰 49 E. 본 연구의 강점 및 제한점 51 Ⅵ. 결론 53 참고문헌 55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101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미세먼지가 5세까지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과 시기별 감수성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Susceptible windows to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body-
dc.format.pagev, 68 p.-
dc.description.localremark박099-
dc.contributor.examiner하미나-
dc.contributor.examiner홍윤철-
dc.contributor.examiner박은애-
dc.contributor.examiner박혜숙-
dc.contributor.examiner하은희-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과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