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9 Download: 0

대장 폴립절제술 후 지연 출혈 예방을 위한 지혈술의 유용성

Title
대장 폴립절제술 후 지연 출혈 예방을 위한 지혈술의 유용성
Other Titles
The utility of prophylactic hemostasis for preventing delayed bleeding complication after colonoscopic polypectomy
Authors
김지윤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은
Abstract
연구배경 대장 폴립절제술 후 발생하는 가장 흔한 합병증은 출혈이다. 시술 후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대장내시경을 이용한 폴립절제 후 지연 출혈에 대한 예방적 지혈술의 유용성에 대해 확인하고, 출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 인자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10월부터 2014년 6월까지 대장 폴립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절제된, 크기가 1 cm 이상인 폴립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폴립은 예방적 지혈술의 방법에 따라 5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클립 결찰술, 아르곤플라즈마 응고술, 박리성 올가미 결찰술, 복합시술, 예방적 지혈술 비시행), 각 그룹에서 폴립의 특징 (크기, 위치, 모양, 조직학적 소견)과 환자의 특징 (연령, 성별, 기저병력, 복용 약물)을 비교하였다. 폴립 절제 후 출혈이 발생한 폴립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추가적으로 시술 후 지연 출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383명에게 시행한 대장 폴립절제술로 절제된 총 457개의 폴립은 259개의 클립 결찰술 시행군, 18개의 아르곤플라즈마 응고술 시행군, 31개의 박리성 올가미 결찰술 시행군, 27개의 복합시술군, 122개의 예방적 지혈술 비시행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에서 폴립의 특징과 환자의 특징은 유의할만한 차이는 없었다. 시술 후 출혈은 예방적 지혈술 비시행군에서 4건, 클립 결찰술 군에서 10건으로 총 14건이 발생하였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출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중 관상동맥질환 (Odd ratio [OR] 10.38, 95% confidence interval [CI]=1.95-55.30, p=0.030), 항응고제의 사용 (OR 8.01, 95%CI=1.57-41.27, p=0.040), 항혈전제의 병합사용 (OR 9.06, 95%CI=1.74-47.3, p=0.030) 이 유의한 인자이었으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항응고제 (OR 9.4, 95%CI=1.74-50.8, p=0.010) 만이 유의한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결론 대장 폴립절제술 후 예방적 지혈술은 지연 출혈의 발생을 줄이지 않았다. 예방적 시술과 무관하게 항응고제를 복용 중인 환자에서 폴립절제술 후의 출혈 합병증은 증가하였다.;Background Post-procedure bleeding is one of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s of colonoscopic polypectomy. To reduce the risk of bleeding, various methods for hemostasis are us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prophylactic hemostasis after colon polypectomy/EM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elucidate the risk factors for the post-procedure bleeding. Method The polyps, larger than 1 cm, from patients who had colonoscopic polypectomy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between October 2011 and June 2014 were included. They are divided by 5 groups according to the methods of prophylactic hemostasis (clip use, argon plasma coagulation, endoloop use, combined use of procedures, and no specific prophylactic procedure). Baseline characteristics of polyps (size, macroscopic form, pathology, location) and patients (age, gender, underlying disease, medication) were compared between each group. The frequency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yps with bleeding complication after removal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Additionally, the risk factors for post-procedure bleeding were analysis. Results There were 457 polyps from 383 patients, composed of 259 with clip use, 18 with argon plasma coagulation, 31 with endoloop use, 27 with combined procedures and 122 of no prophylactic hemosta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in the characteristics of polyps and patients. Post-polypectomy/EMR bleeding occurred in 14 polyps: 10 with prophylactic hemostasis (3.9%) and 4 with no prophylactic hemostasis (3.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lyps with post-procedure bleeding from the 2 groups. Although Coronary artery obstructive disease (OR 10.38, 95%C.I.=1.95-55.30, p=0.03), use of anticoagulant (OR 8.01, 95%C.I.=1.57-41.27, p=0.04), dual antiplatelet therapy (OR 9.06, 95%C.I.=1.74-47.3, p=0.03)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 of bleeding in univariate analysis, only anticoagulant (OR 9.4, 95%C.I.=0.1.74-50.8, p=0.01) was a significant bleeding risk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Prophylactic hemostasis did not decrease the incidence of delayed bleeding after colonoscopic polypectomy/EMR. Regardless of prophylactic procedures, polyps with anticoagulant use had increased risk of post-polypectomy/EMR bleed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