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유주연-
dc.creator유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8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2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88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정서적 가용성의 양상 및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교사 마음 읽어내기의 양상은 어떠한가? 2. 영아-교사 간 정서적 가용성의 양상은 어떠한가? 3. 영아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영아-교사 간 정서적 가용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13개월에서 24개월 사이의 영아 80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40명이었다. 교사의 마음 읽어내기 측정을 위해서는 Meins와 Fernyhough(2012)에 의해 개발된 ‘마음 읽어내기 코딩 매뉴얼 2.1판(Mind-Mindedness Coding Manual Version 2.1)’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영아-교사 간 정서적 가용성의 측정을 위해서는 Biringen(2008)의 ‘정서적 가용성 척도 제 4판, 영유아 버전(Emotional Availability Scales, 4th Edition, Infancy/Early Childhood Version)’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에 앞서 마음 읽어내기 자료에 대해서는 비율자료를 연속자료로 변환함으로써 정규성분포를 만족시키기 위해 로그 전환 과정을 거쳤다. 분석을 위해서는 평균 및 표준편차, Pearson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 종속표본 t검증, Kruskal-Wallis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영아의 마음과 관련된 적절한 발화를 마음과 관련된 적절하지 않은 발화보다 더 자주 사용하였으며, 영아의 마음을 적절하게 읽는 말과 적절하지 않게 읽는 말 간에는 관련이 없었다. 영아 관련 변인과 관련해서, 교사는 영아의 월령이 어릴수록 마음과 관련된 적절한 발화를 자주 사용하였으며, 영아가 여아일 때 마음과 관련된 적절하지 않은 발화를 자주 사용하였다. 그러나 영아가 어린이집에 다닌 기간과 교사와 함께한 기간은 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관련이 없었다. 교사 관련 변인과 관련해서는 교사가 경력이 높을수록 영아의 마음과 관련된 적절한 발화를 자주 사용하였으나 교사의 연령과 자녀유무는 마음 읽어내기와 관련이 없었다. 기관 관련 변인과 관련해서, 영아 대 교사 비율이 낮은 학급에서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마음과 관련된 적절한 발화를 자주 사용하고, 민간/가정어린이집 교사보다는 직장어린이집 교사가 마음과 관련된 적절한 발화를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 간 정서적 가용성은 보통보다 높았다. 영아 변인과 관련해서, 영아의 월령이 높을수록 교사의 비방해와 영아의 참여, 정서적 가용성 전체가 높았고, 영아가 어린이집에 다닌 총 기간이 짧을수록 교사의 민감성과 영아의 반응이 높았다. 또한 교사와 영아가 함께한 기간이 길수록 교사의 비적대와 영아의 반응, 참여, 정서적 가용성 전체가 높았다. 영아의 성별에 따른 영아-교사 간 정서적 가용성의 차이는 없었다. 교사 변인과 관련해서, 교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교사에게 자녀가 없을 때, 영아-교사 간 정서적 가용성의 모든 하위영역 및 전체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경력은 정서적 가용성과 관련이 없었다. 기관 변인과 관련해서, 영아 대 교사 비율이 높을 때 교사의 비방해가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서는 직장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민간/가정어린이집의 순으로 비적대가 높았다. 셋째, 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영아-교사 간 정서적 가용성의 관계는 교사가 영아의 마음을 적절하게 읽는 경우가 자주 있을수록 영아의 반응이 높았으며, 교사가 영아의 마음을 적절하지 않게 읽는 경우가 자주 있을수록 정서적 가용성의 모든 하위영역 및 전체가 낮아지는 양상을 띠었다. 즉, 영아는 자신의 마음을 적절한 방식으로 맞게 표현해주는 교사에게 더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며, 교사 또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영아의 마음을 더 정확하게 인식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영아-교사 간의 정서적으로 가용한 관계는 영아의 마음을 적절하게 읽는 것 뿐 아니라 영아의 마음을 틀리게 해석하지 않는 것과도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마음 읽어내기와 정서적 가용성의 개념을 사용하여 영아교사의 인지·언어·신체·정서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영아교사가 스스로의 역할을 전문적인 것으로 인식·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책임 있고 효과적인 교육, 영아교사 역할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지원, 영아의 마음 상태에 대한 의식적인 관찰 및 해석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적인 장치의 마련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mind-mindedness of infant teachers and emotional availability and the relationship of the two variable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the aspects of the mind-mindedness of infant teachers? 2. What are the aspects of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mindedness of infant teachers and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0 infants and their 40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months of the infants were between 13 and 24.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mind-mindedness of the teachers was Meins and Fernyhough(2012)'s Mind-Mindedness Coding Manual Version 2.1 with some modifications. To measure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the 4th edition of Biringen(2008)'s Emotional Availability Scales(infancy/early childhood version) was utilized. Befo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log conversion was carried out in the data of mind-mindedness by converting ratio data into continuous data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normal distribution.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is study,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samples t-test, dependent-samples t-test, and Kruskal-Wallis test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 teachers made more appropriate mind-related comments than non-attuned mind-related comments, 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ir appropriate mind-related comments and non-attuned mind-related comments. The teachers made more appropriate mind-related comments when the infants were younger, and they made non-attuned mind-related comments toward the girls more often. But their mind-mindedness had nothing to do with how long the infants had attended the child care centers and how long the infants had been with the teachers. The teachers who were more experienced made appropriate mind-related comments more often, but their age was not linked to their mind-mindedness. The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classes where the ratio of infant to teacher was smaller made appropriate mind-related comments more often, and th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teachers made appropriate mind-related comments more often than the private and home-based child care center teachers. Second, the level of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was above average. There were more nonintrusiveness from the teachers, more involvement of the infants, and more overall emotional availability when the infants were younger, and there were more sensitivity of the teachers and the more responsiveness of the infants when the total period that the infants attended child care centers was shorter. There were more nonhostility from the teachers, more responsiveness, and involvement of the infants and more overall emotional availability when the teachers and the infants spent more time together.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infants. Every subfactor of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and overall emotional availability appeared higher when the teachers were younger and when the teachers had no children. In contrast, the career of the teachers was not bound up with emotional availability. When the ratio of infant to teacher was higher, there were more nonintrusiveness from the teachers, and th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teachers showed more nonhostility than the private and home-based child care center teachers. Third,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mindedness of the teachers and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the infants were more responsive when the teachers made appropriate mind-related comments more often, and every subfactor of emotional availability and overall emotional availability became worse when the teachers made non-attuned mind-related comments more often. In other words, the infants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 toward the teachers who described what is on their mind in a more appropriate way. Likewise, the teachers had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infants who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 and interpreted their minds more precisely. In addition, the emotionally available infant-teacher relationship had something to do with not only reading the minds of the infants properly but discreetness that was to interpret their minds correctly.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had a comprehensive and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the cognitive, verbal, physical, and emotional interactions of the infant teachers by using the concepts of mind-mindedness and emotional availability.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more responsible, effectiv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expectations for the successful role performance of infant teachers so that they could view their own roles as professionals and perform the roles as professionals, and that it is required to take measures to offer proper support for infant teachers and to carefully observe and interpret the minds of infa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9 A. 마음 읽어내기 9 B. 정서적 가용성 17 C. 마음 읽어내기와 정서적 가용성의 관계 28 Ⅲ. 연구방법 34 A. 연구대상 34 B. 연구도구 36 C. 연구절차 49 D. 자료분석 59 E. 윤리적 고려 60 Ⅳ. 연구결과 62 A. 마음 읽어내기의 양상 62 B. 정서적 가용성의 양상 67 C. 마음 읽어내기와 정서적 가용성의 관계 73 Ⅴ. 논의 및 결론 75 A. 논의 75 B. 결론 및 제언 95 참고문헌 101 <부록 1> 연구 설명문 및 동의서(교사용) 117 <부록 2> 연구 설명문 및 동의서(부모용) 120 <부록 3> 마음 읽어내기 관찰평가지 및 분석의 예 123 <부록 4> 정서적 가용성 관찰평가지 127 ABSTRACT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19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영아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영아-교사 간 정서적 가용성의 양상 및 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spects and Relationships of Mind-Mindedness of Infant Teachers and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dc.creator.othernameRyu, Joo Yeon-
dc.format.pagevi, 132 p.-
dc.description.localremark박069-
dc.contributor.examiner김희진-
dc.contributor.examiner엄정애-
dc.contributor.examiner이영선-
dc.contributor.examiner박혜준-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