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나영이-
dc.creator나영이-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5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2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5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민가정 자녀들의 생활에 대해 살펴보고,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자녀관 및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과 실제를 이해하며, 자녀교육 시 어머니가 경험하는 구체적인 어려움을 알아봄으로써 베트남 결혼이민가정 자녀교육을 위한 실질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베트남 결혼이민가정 자녀들의 생활은 어떠한가? 2.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은 자녀가 어떤 존재라고 인식하며, 어떤 사람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하는가? 3.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과 실제는 어떠한가? 4.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이 자녀교육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가? 5. 베트남 결혼이민가정의 바람직한 자녀교육을 위해 필요한 사회·문화적 지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2013년과 2014년에 ‘다문화아동 외가방문 지원사업’에 참여했던 44가정 중 10가정에 속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10명과 그들의 자녀 21명, 남편 6명, 자녀의 교사 10명이다. 연구자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어머니, 아버지, 교사와의 심층면담을 2014년 10월 1일부터 2015년 9월 15일까지 진행했다. 어머니들과 4회씩 총 40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했고, 아버지, 교사들과는 1~2회씩 면담했다. 연구자는 자녀들과 가족을 각 가정 당 2회씩 총 20회 참여관찰을 진행했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을 통해 귀납적 방법으로 자료를 추론하여 결론을 도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가정의 자녀들의 생활모습은 각양각색으로 나타났고, 10가정은 공통된 경험인 ‘다문화아동 외가방문 지원사업’과 ‘외가방문 교육프로그램’의 영향으로 긍정적인 성취와 변화의 체험을 가지고 있었다. 가정별로 지니는 다양성 속에서 이들이 외가방문으로부터 성취한 효과를 발휘하며 자녀교육을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베트남 결혼이민 여성들은 자녀를 재능을 지닌 존재, 자율적인 존재, 독립적인 존재로 생각했다. 그리고 자녀가 자신감 있는 사람, 정체성 지닌 사람, 다른 사람과 잘 지내는 사람,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는 사람, 다른 사람을 돕는 사람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했다. 셋째,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이 인식하고 있는 부모역할은 건강 돌보기, 안전하게 보호하기, 상담자 되어주기, 함께 놀아주기, 생활습관 지도하기, 인성 교육하기, 학업 지원하기, 베트남에 대해 가르치기, 생활비 벌어 지원하기로 나타났다.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의 부모역할 인식은 일반적인 범주와 대체로 유사했으나, 각 역할을 실제로 담당하는 범위와 수준은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은 자녀교육 시 한국어 능력 부족, 사회적 지지의 부재, 사회적 편견과 차별, 문화적 차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한국어 능력의 부족으로 자녀의 생활지도, 언어지도, 학업지도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자녀와의 의사소통에서도 한계가 나타났다. 이들은 사회적 지지의 부족으로 임신·출산 시기부터 자녀를 교육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정서적, 육체적으로 힘들어했으며,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 인한 어려움도 겪고 있었다. 자녀교육 시 한국 가정과 사회의 가부장적 분위기, 자녀교육에 대한 가족 간 의견 차 등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은 자녀를 위해 결혼이민가정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이 개선되기를 원했다. 또한 가정과 사회가 결혼이민가정의 어머니로서의 자녀교육에 대한 권리를 인정해주기를 바랐으며, 어머니와 자녀가 지속적인 한국어교육을 받기를 원했다. 정체성 확립과 글로벌 인재로서의 준비를 위해 자녀들의 베트남어 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기를 요구했다.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은 바람직한 자녀관과 자녀에 대한 큰 기대를 가지고 있었고, 주어진 환경에서 최선을 다해 부모역할을 해내고 있었다. 한국사회의 배타적 시선, 결혼이민여성의 자녀교육 귄리 무시, 엄마나라의 문화가 배제하는 분위기, 언어적 한계로 인해 이들이 겪는 자녀교육의 어려움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가 나서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해결해야 한다.;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life of children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families, understand the children views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heir perceptions and reality of parent roles, and figure out difficulties that mothers experienced with child education, thus searching for practical support plans for child education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families. For those purpos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 children live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families? 2. How do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perceive their children? What kind of person do they expect their children to be? 3. What are the perceptions and reality of parent roles among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4. What difficulties do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 with child education? What efforts do they make to solve them? 5. What social and cultural supports are needed for the right education of children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families? The subjects include te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ten of 44 families that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Supporting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Mother's parents' home" in 2013 and 2014, their 21 children, six husbands, and ten teachers of their children.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from them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mothers, fathers, and teachers lasted from October 1, 2014 to September 15, 2015 with total 40 in-depth interviews with the mothers each of whom gave four interviews. Fathers and teachers gave one or two interviews. The researcher had total 20 sessions of participant observation with two sessions for each family, observi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Data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inferred inductively to reach conclusion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ories of children in the ten families were very diverse as the lives widely varied among the families. The families had common experiences of "visiting Mother's parents' home" and "the program Supporting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Mother's parents' home" through which both children and parents had positive achievement and changes. Second,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considered their children as those who had talents, were autonomous, and independent and expected them to grow into individuals that would have confidence and identity, get along well with others, accept various cultures, and help other people. Third, the parent roles perceived by the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nclude taking care of health, protecting children safe, being counselors for them, playing with them, instructing them with life habits, providing personality education, supporting their study, teaching about Vietnam, and contributing to the living expenses. While their perceptions of parent roles were generally similar to the common categories, the scope and level of their performance in each role were different. Fourth, the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had difficulties with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due to lack of Korean command, absence of social support,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and cultural differences. As their Korean skills were deficient, they had to endure difficulties with life guidance for their children, language instruction, and learning guidance and faced limitations with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They suffered both emotionally and physically from pregnancy and delivery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due to lack of social supports. Their difficulties were also attributed to the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They also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due to cultural differences including the patriarchal atmosphere of Korean family and society and different opinions about child education among the family members. Finally, the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hoped that the South Korean society would improve its perceptions of marriage immigrant families for their children. They also wished that both family and society would recognize their rights to child education as mothers in their marriage immigrant families and that continuous Korean education would be provided for their children and them. They demanded that systematic Vietnames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ir children to help them establish an identity and prepare to be global talents. The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had the right views of children and great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 they were doing their very best to take care of and educate their children in their situations. Korean society should provide them with ongoing, systematic supports to deal with the exclusive views in the society, disregard for marriage immigrant women's rights to the education of children, atmosphere of suppressing and excluding the cultures of mothers' countries, and difficulties with child education due to linguistic limit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연구자 7 Ⅱ. 이론적 배경 12 A. 한국의 다문화사회 진입과 결혼이민가정 12 1. 한국의 다문화사회 진입과 과제 12 2. 결혼이민가정의 증가와 현황 16 B. 자녀교육 21 1. 자녀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1 2. 부모의 역할 29 3.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자녀교육 32 Ⅲ. 연구방법 36 A. 문화기술적 연구 36 B. 연구참여자 38 C. 연구 절차 45 D. 자료 수집 46 E. 자료 분석 48 F. 신뢰도 49 Ⅳ. 베트남 결혼이민가정 자녀들의 생활 51 A. 세연지연승민이네 이야기 : 동생을 데리러 가야 해요. 51 B. 현주현아현미네 이야기 : 학교 끝나고 빈 집으로 들어가요. 56 C. 혜주경주네 이야기 : 엄마가 자전거로 유치원에 데려다줘요. 59 D. 진호민호네 이야기 : 반은 베트남, 반은 한국 사람이래요. 63 E. 태우혜지네 이야기 : 할머니, 할아버지와 함께 살아요. 67 F. 윤주네 이야기 : 윤주는 엄마의 응원을 원해요. 70 G. 준수수미네 이야기 : 학교에 한 살 일찍 들어갔어요. 73 H. 영지은지지희네 이야기 : 친구에게 놀림 받기 싫어요. 76 I. 은혜승혜네 이야기 : 우리 자매는 둘 다 모범생이에요. 79 J. 진규네 이야기 : 베트남어로 말하면 엄마가 좋아해요. 83 Ⅴ.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자녀관 87 A. 자녀에 대한 생각 87 1. 재능을 지닌 존재 87 2. 자율적인 존재 89 3. 독립적인 존재 93 B. 자녀에 대한 기대 96 1. 자신감 있는 사람 96 2. 정체성 지닌 사람 98 3. 다른 사람과 잘 지내는 사람 101 4.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는 사람 103 5.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사람 104 Ⅵ.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과 실제 107 A. 건강 돌보기 107 B. 안전하게 보호하기 110 C. 상담자 되어주기 113 D. 함께 놀아주기 116 E. 생활습관 지도하기 117 F. 인성 교육하기 119 G. 학업 지원하기 121 H. 베트남에 대해 가르치기 125 I. 생활비 벌어서 지원하기 130 Ⅶ.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이 자녀교육 시 겪는 어려움과 노력 134 A.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134 1. 훈계가 통하지 않는 생활지도 135 2. 한계가 있는 언어지도 137 3. 이해도 설명도 미흡한 학업지도 140 4. 마음이 잘 전달되지 않는 의사소통 143 B. 사회적 지지의 부재로 인한 어려움 147 1. 외롭고 불안한 출산 148 2. 서툴고 힘겨운 육아 149 3. 고군분투해야 하는 교육 152 C.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 인한 어려움 155 1. 편견의 대물림 155 2. 부당한 차별 158 D.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 161 1. 낯선 가부장적 한국 사회 162 2. 자녀교육에 관한 가족 간 의견차 166 Ⅷ.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이 요구하는 사회문화적 지원 171 A. 결혼이민가정에 대한 사회인식의 변화 172 B. 결혼이민가정 어머니의 자녀교육 권리 신장 176 C. 지속적인 한국어교육 실시 181 D. 체계적인 베트남어교육 실시 184 Ⅸ. 논의 및 결론 188 A. 요약 및 논의 188 B. 결론 및 제언 201 참고문헌 207 부록 219 ABSTRACT 2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360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자녀교육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n Ethnographic Study on the Education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Children-
dc.creator.othernameRa, Young E-
dc.format.pagevii, 227 p.-
dc.description.localremark박068-
dc.contributor.examiner엄정애-
dc.contributor.examiner조순경-
dc.contributor.examiner배지희-
dc.contributor.examiner정가윤-
dc.contributor.examiner홍용희-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