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0 Download: 0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itle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ction Learning-Based Media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uthors
권연정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교수역량 증진을 위해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평가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도출하고,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참여교사의 인식과 행동의 변화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시안 개발-적용 및 평가-최종 프로그램 도출)한다. 2.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에 따른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행동의 변화를 탐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프로그램 시안 도출, 적용 및 평가, 최종 프로그램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미디어교육, 유아 미디어교육, 액션러닝 교육방법에 관한 문헌연구와 예비연구를 통해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고, 내용의 타당성과 실현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 검토를 거쳤다. 이를 통해 수정·보완된 프로그램 시안은 6명의 유치원교사와 연구자(러닝코치)로 구성된 소규모 학습 팀에서 적용 및 평가되었다. 프로그램 차시별 활동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내용·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프로그램 총괄평가, 연구자 평가를 종합하여 최종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였다. 개발된 최종 프로그램은 총 7차시로 구성하며, 현직 유아교사의 실정을 반영하여 오프라인 모임 횟수를 줄이고 온라인 커뮤니티를 보완적으로 활용하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1~3차시에는 기본적인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과지식의 이해를 위하여 강의 및 토론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며, 4~7차시에는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실제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처하기 위해 액션러닝 교육방법의 7단계 과정을 적용하여 학습 팀이 과제를 선정, 해결(적용 및 평가)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프로그램 운영의 측면에서는 먼저 교육대상자는 최대 24명으로 제한하고 한 학습 팀의 인원수는 5~6명으로 구성하며, 기관별 2명으로 제한한다. 교육 횟수와 시간은 학기 중과 방학 중 실행으로 구분하여 융통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교수자와 러닝코치의 역할은 분리하는 것이 원칙이나 겸할 수도 있다. 교육장소는 지역교육청이나 관련 연구기관(예: 서울특별시 유아교육진흥원)에서 실행하는 것이 좋으나, 참여교사의 접근이 용이하고 익숙한 환경인 유치원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기타 지원 사항으로는 교육참가비 지원, 학점 부여, 교육연구대회 참여 지원, 프로그램 시작 전 안내메일 발송, 참여교사의 일과 및 퇴근 시간 조정 등이 있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수역량이 향상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소극적·부정적 인식에서의 탈피,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사고의 확장, 유아 주도적인 미디어교육 활동에 대한 확신으로의 변화를 보였다.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행동은 실행을 통한 교수역량 강화하기, 자기 성찰을 통한 학습의지 높이기, 열정으로 성장하고 파급하기로 변화하였다. 즉, 교사들은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수역량의 향상을 통해 유아의 특성과 관심을 더 깊이 이해하고 유아 주도적인 미디어교육 활동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확신을 키웠을 뿐만 아니라, 교사로서의 삶에 대해 성찰하면서 학습의지를 향상시켰다. 이와 더불어 본 프로그램은 유아 미디어교육의 지속적인 현장 적용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발전시키고 유치원 안에서의 전달연수 및 협력적 실행을 통해 유아 미디어교육을 파급시키는 열정을 갖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해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일반적인 교사나 유아교사 대상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모형 및 전략과는 달리 교사교육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내용과 절차를 구체화하였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과지식 전달에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유아 미디어교육의 실천 과제를 교사들이 선정하여 직접 해결안을 모색하여 교실에 적용·평가하여 스스로의 교수역량 향상을 도모하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교사에게 이론과 실제를 연계하여 지식·기술·태도를 함양하는데 도움이 되는 입문과정으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디어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유아교사 교육과정의 개발이나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유아 발달에 기초한 단계적·지속적인 미디어교육을 유아교육 현장에 도입하는 계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action learning-based media education program geared towar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amine its effects by looking for any possible changes in their perspectives and actions about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The following efforts were made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1. To develop an action learning-based media education program geared towar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order of making out a draft, tryout, evaluation and finalizing. 2.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developed by looking for changes in their perspectives and actions about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 action learning-based media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ages: making out a draft, tryout, evaluation and finalizing. After literature review on the educational methods of media education,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and action learning, pilot studies were implemented to draw up a draft, and experts were asked to review the draft to improve its content validity and feasibility. The draft was modifi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ir review, and then it was tried out and evaluated in a small learning team that was made up of six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researcher who served as a learning coach. The activity materials used in each session were gather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see if there's anything wrong with the content or management of the program, and the results of a summative evaluation and the researcher's evaluation were all reflected to finalize the program. The finalized program consists of seven sessions. In the program, the frequency of offline gathering is reduced, and an online community is utilized, instead. To be specific,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ssions are mainly composed of lectures and discussions to understand basic subject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In the fourth to seventh sessions, learning should takes place while the learning team selects a task and resolves it according to the seven stages of action learning to provide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As for the management of the program,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24 or less, and there are five or six members in each learning team. Maximum two teachers in a kindergarten can be included in the program. The frequency and time of education are determined in a flexible way by allowing the participants to take the program during the semester or vacation at their own convenience. The roles of the instructor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the learning coach in principle, but the same person could serve as the instructor and learning coach at the same time. Concerning the place of education, it's advisable to conduct the program in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or in a related research institution(e.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evelopment Institution of Seoul); or it may be conducted in a kindergarten which is easily accessible to the participant teachers and with which they are familiar. Besides, the participants should be supported by being given financial aid necessary for the participation, by being given a credit, or by being allowed to take part in an educational contest. Also, they should be informed of the program by e-mail in advance, and it will be advisable to regulate their daily timetable or the time they get off work. Secon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came cognizant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and showed improvement in teaching competency. As for the changes of their perspectives, there was a change in their passive or negative way of looking at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Their thinking was extended, and they became convinced of child-led media education activities. At the same time, there were action changes such as bolstering teaching competency, boosting will to learn through reflection, and growing with passion and spreading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The teachers had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young children while they improved in teaching competency about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and they were convinced of the positive effects of child-led media education activities. Also, their will to learn was strengthened while they reflected on their own lives as teachers. Moreover, the program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teachers to acquire more advanced practical knowledge and try to spread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other teachers in their kindergarten. Unlike the models and strategies of existing media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teachers 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action learning-based media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more specific in terms of content and process to improve its feasibility. The program was designed to enabl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their own professionalism in teaching by choosing tasks for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on their own, seeking solutions and applying them instead of merely conveying necessary subject knowledge. Accordingly, the program is expected to be an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which is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to foster their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on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Furthermore, the program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bout early childhood media education and for relevant policy setting, and to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sequential, sustained media education tailored to young children in pract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