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경원-
dc.contributor.author송수연-
dc.creator송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7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2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787-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에서 종교의 문제는 복합적인 양상을 갖는다. 물질문명에 대한 대안으로서 인간의 정신적 삶을 회복할 수 있는 종교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한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교조적인 신앙을 강요하는 종교로 인하여 인간이 이기적이고 배타적이 되고, 종교 갈등으로 인한 사회 문제 역시 심각해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육은 인간의 정신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종교적 도그마에 빠지지 않도록 아동을 교육하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진다. 이와 같은 현대 종교와 교육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서 듀이의 종교론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듀이의 종교론 속에는 오늘날 사회가 직면한 종교적 딜레마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철학적 분석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듀이는 과학과 실험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철학자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인류의 미래를 개선시키는 과학의 발전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모든 철학과 교육이 과학과 실험의 원칙에 입각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그는 다윈의 진화론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로써 인류가 현재를 수정하고 보완 발전시킴으로써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믿었던 낙관주의자였다. 이러한 점 때문에 듀이가 학문을 시작하는 첫 순간부터 종교에 대해 깊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 자주 간과되곤 하였다. 더 나아가서 그의 종교론은 종종 반종교적이거나 무신론적 입장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듀이는 단 한 번도 종교 자체에 대해 반대하거나, 현상의 초월 가능성에 대해 부정하였던 적이 없다. 오히려 듀이는 인간에게는 누구나 현실보다 이상을 꿈꾸며 기획하는 마음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바람직한 인간의 삶이란 미래의 어떤 시점에는 도달할지 모르는 궁극의 이상을 열망하고 기대하면서 열심히 살아가는 것으로 보았고, 실제로 인간의 모든 경험과 탐구의 과정은 바로 이러한 이상의 실현과정이라고 생각하였다. 다만 그가 경계하였던 것은, 특정한 종교가 초월적인 지배자를 가정하고 그 대리인을 자처하면서, 인간의 경험이나 탐구를 외면한 채 맹목적인 권위를 내세우며 복종을 강요하는 것이었다. 듀이는 종교란 인간의 마음속에 들어있는 이상에 대한 열망이라고 생각했다. 이와 같이 모든 인간 속에 공통으로 들어있는 이상적인 목적에 대한 기대감이 곧 종교적인 것으로서, 이것을 ‘공통신앙’이라고 불렀다. 그는 자연 속에는 현재 경험으로는 담지 못하는 풍부하고도 궁극적인 의미의 세계가 존재한다고 믿었고, 이 궁극적인 삶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듀이에게 있어서 종교는 인간의 삶 밖에서 인간을 강제하는 힘이 아니라, 인간이 각자의 경험과 탐구를 통해 궁극적인 것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묘사되었다. 인간의 경험과 탐구가 가장 근본적인 종교적 동기를 이루기 때문에, 이때의 종교는 개별 종교의 특수한 실천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갈등 대신, 모든 인간이 가지는 보편적인 종교성과 그 계발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는 곧 종교가 궁극적인 이상을 향한 인간의 태도와 노력에 관련된 교육적 주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단순한 지식과 윤리를 넘어서서,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삶에 대한 각성과 깨달음을 문제 삼는다는 점에서, 종교는 인간의 전인적 성장이라는 매우 기본적인 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주제가 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입장에 따라서 듀이는 교육자들이 특정한 종교교육 대신, 매일의 교육 장면에서 학생들이 궁극적인 삶의 본질을 이해하고, 의미의 근원이 되는 자연에 대한 경외감을 갖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듀이의 이러한 생각은 오늘날 현대교육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영성교육의 이념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고 보인다. 왜냐하면 영성교육자들은 인간을 영적 존재로 파악하면서, 영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자아와 세계에 대한 궁극적 의미를 발견하고 실현하는데 관심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간의 영적 본질에 관심을 가지고 그 계발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개별 종교의 특수한 교리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교육적 관심이라고 할 수 있다. 듀이는 학교의 교육과정 안에 종교교과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였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듀이는 종종 종교의 교육적 가치를 모르는 인물로 여겨졌다. 그러나 듀이가 종교의 교육적 중요성을 간과하였던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는 교과로 편성된 종교가 특정한 종교의 교리교육으로 변질되거나 종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으로 약화되면서, 자아와 세계에 대한 풍부한 의미를 추구하고 깨닫는 것과 같은 종교의 본질적 영역을 왜곡시킬 가능성을 염려하였다. 그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종교교육은 교과로 가르칠 것이 아니라, 학교교육의 매 순간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더 나아가서 듀이는 각 개인의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실현하는 것은 단순히 개인적인 일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를 통해서 실현되며, 공동체의 발전에까지 이바지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듀이의 생각을 받아들일 때, 종교는 오늘날과 같은 사회 분열과 갈등의 원인이 아니라, 화해와 공존을 모색하는 인류의 노력으로서 그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종교를 교육적 주제로 다루는 일은 쉽지 않다. 듀이가 염려했던 것처럼 특정한 종교의 교리를 강요함으로써 사회의 다양성과 개인의 자유를 위협할 수 있다. 또는 종교성을 기르는 대신 단순히 종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종교를 공정하게 가르치는 일이라고 생각될 수도 있다. 그러나 듀이처럼 종교를 근원적인 것을 향한 인간의 노력으로 받아들일 때, 이상적인 것을 향한 개개인의 타고난 성향으로서의 종교성을 키우는 일은 모든 교육의 실천적인 장면 속에서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관한 과제로서, 교육자들이 늘 염두에 두는 일이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교육자들은 학교교육이 학생들에게 궁극적 이상과 삶의 본질을 추구하는 인간의 타고난 종교성을 제대로 다루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학생 개인 및 사회의 발전을 위해 보편적인 종교성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학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학생들의 영성은 성과 위주의 경쟁 중심의 교육 속에서 제대로 계발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학생들이 앎과 삶의 기쁨을 제대로 배우고 누리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때에 보편적 종교성 및 영성으로서의 듀이의 종교에 대한 이념이 구체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교사들은 노력해야 하며,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Today religion develops in complicated ways. It is sought after than ever as it works as a substitute for material-oriented civilization leading men to spiritual life while making them mutually exclusive and conflicting when it tends to be overly didactic. In this circumstance, religious education for children means two different goals to achieve, spiritual growth and not committing in dogma. Dewey provides philosophical analysis to help us to solve religious dilemmas that we face today through his ideas on religion and religious education. Generally, Dewey is known for a prophet of science and experiment. He was optimistic about the progress of science that promote the future of human life, and thought that all philosophy and education have to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science and experiment. He accepted the evolution theory of Darwin in his philosophy. He was a optimist who believed the ongoing growth of human beings, as they modify and develope their present conditions. His attitude towards the science often makes people to think he was a philosopher who was indifferent to religion, or was an atheist. But Dewey is never opposed to the religion itself or deny the possibility of transcendent the status quo, rather he thought that all humans had a mind which always dreamed about future and ideal over the current conditions. Dewey thinks men looks for ideal beyond reality. He believed that leading a desirable life means commitment to ultimate ideals which may come in some points in the future and be achievable through all the experience and investigation that men may have. He insists that religion would be present as human minds aspire for ideal, if there is any as well as god. He refuses to accept any enforcing theology and religious institution that would prevent them from reflection and exploration. “Common faith”, as Dewey calls, refers to aspiration for ideal ends which men have in common. It is also the title of his book published in his eighties, in which he writes about what thinks religion is and true faith is. He considers that in the nature exists a rich, ultimate, and meaningful world, which should not be perceived by the current limiting experience. Also he thinks men should try to understand this world as it is the essential qualities of life. As mentioned above, to Dewey, the religion is not described as an enforcing outer power on a human life, but as a course of searching for the ultimate by his own experience and inquiry. Since a man’s own experience and inquiry is to be a fundamental religious motive at all, it has to be focused on the general religiousness of human nature and its development, rather the various conflicts between specific practices of different religions. It shows that the religion is to be a educational subject about a man’s attitudes and efforts towards the ultimate ideal. And the religious questions enlighten the fundamental meaning of life, which means the religious subject fits for the purpose as the whole-person education. Dewey’s perspective on religion has implications to educational matters. Educators should inspire children to perceive the essence of life and to awe at the nature as source of meanings. His argument on common faith provides conceptual foundation for spiritual growth which has drawn attention recently as alternative to traditional religion education. In the area of spiritu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conceive a man as a transcendent being and try to support him to search for the fundamental meanings of himself and the world around. The concern for human soul goes beyond any particular ecclesiastical authority. It is generally apprehend by any educators. However, Dewey disagrees with placing religion as a subject within school curriculum, which makes him understood as an opponent to religion itself or its educational value. It is not precise to think that Dewey ignores how religion is worth for education. He is well aware of what religion means in education as well as what it brings when it goes wrong. He recognizes how risky a religion can be as well as how it can be valuable. His concern is that religion as a subject might be deformed into making children to believe particular abstruse doctrines, which might be far from substance of religion, for example, searching for significance of self and world. He insists that religion should be addressed in every specific circumstance of schooling not as a separate matter. Also he contends that children should explore and try to fulfill what life and world means on their own initiatives. Moreover Dewey asserts that an individual determination toward quintessence of life goes beyond one’s own realm. He thinks it should come in reality through community and eventually reach for improvement of whole community. In his view, it is possible to consider religion as a solution for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not a source of split and conflicts. His arguments make educators today to reflect if schooling should elucidate students to reach for ideals and substance of life in a proper way, which might be considered as their innate tendency for religion. Also his explanation of religion suggests what schools and educational programs can do for general spirit which contributes not only for individual growth of children but also for development of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방법과 연구내용 6 Ⅱ. 듀이의공통신앙의 종교적 성격 11 A. 공통신앙의 형성 배경 12 B. 공통신앙에 나타난 종교적 경험의 특성 19 1. 초자연주의를 배제한 종교 20 2. 제도로서의 종교 대 진정한 종교 24 C. 종교적 경험의 현재성 29 1. 종교적 경험의 원형적 특징 29 2. 환원주의에 대한 비판 33 3. 듀이의 종교적 경험의 현재적 성격 36 D. 종교적 경험의 인본주의적 성격 43 Ⅲ. 듀이의 종교적 경험의 의미: 이상과 통합 57 A. 이상적 목적 탐구로서의 종교적 경험 57 1. 듀이의 신 개념의 문제 57 2. 이상적 목적의 탐구 63 B. 통합과 완성을 지향하는 종교 경험 73 1. 존재의 근원으로서의 자연과 경험의 문제 73 2. 능동적 탐구로서의 신앙 83 3. 삶으로서의 자연에 대한 신앙 90 Ⅳ. 공통신앙의 교육적 가치 97 A. 영적 발달의 근거로서의 공통신앙 99 B. 개인의 영성발달로서의 종교교육 114 C. 화해와 공존의 공통신앙 121 Ⅴ. 결 론 138 참 고 문 헌 144 ABSTRACT 1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35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듀이의 ‘공통신앙’으로 비추어 본 종교적 경험의 교육적 가치-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vi, 156 p.-
dc.contributor.examiner임현식-
dc.contributor.examiner한유경-
dc.contributor.examiner오인수-
dc.contributor.examiner홍은숙-
dc.contributor.examiner조경원-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